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in the Education and Care of Children of Married 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사회적 지지 경험연구

  • Received : 2023.08.17
  • Accepted : 2023.09.22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social support in the education and rearing of children of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und its essential meaning. First of all, the husband's social support was very important, but the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had a different effect on childrearing and education. Parents-in-law had a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child rearing and education of them due to cultural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ir own mother was a strong support that gave them great strength just by being there, and as their children grew up, they regarded their mother as the source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Other supporters around them were Korean friends who connected Korean society by sharing information on child care and education. Friends who spoke and communicated in their native language wer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ers that bonded the same experience of parenting and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cted a better life for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by using a multi-layered social support system as well as a transnational family network in the process of child education and care. Accordingly, it was proposed to systematically improve the laws, systems, and policy support so that the social support system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t the family, community, and transnational levels for the education and care of children of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사회적 지지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로 6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4개의 범주에서 총 24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고 10개의 대주제로 정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낯선 타국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가족이었다. 특히, 남편의 사회적 지지는 자녀 교육과 돌봄에서 도움을 주지만 남편과의 관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랐다. 시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에너지로 나타났다. 친정엄마는 심리적인 지지자이며 자녀의 이중언어교육과 모국문화의 전달자 역할을 한다. 주변의 한국친구는 자녀를 키우며 필요한 한국문화와 교육 정보를 제공하며 세상과 소통하는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지만, 모국친구는 모국어로 소통하며 자녀 양육정보와 함께 문화적 동질감과 연대의식 형성을 도왔다. 사회적 범주에서 한국사회의 인터넷은 모국가족과 초국가적 연결은 물론 자녀돌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용한 도구적 역할을 하였다. 공공기관 그리고 법과 제도 등도 자녀 교육과 돌봄을 위한 중요한 지지체계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과 자녀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제거하고자 국적 취득을 통해 한국인으로서 공적인 자격을 갖추며 스스로 사회적 지지체계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자녀 교육과 돌봄 과정에 초국가적인 가족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층적인 사회적 지지체계를 활용하며 자신과 자녀의 보다 나은 삶을 기대하였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과 돌봄을 위해 가족과 지역사회 그리고 초국가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지체계를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법과 제도 그리고 정책 지원 등이 체계적으로 개선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법무부,「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3년 6 월호, 2023.08.07.(검색), https://viewer.moj.go.kr/skin/doc.html?rs=/result/bbs/227&fn=temp_1690437069088100 법무부, 출입국 통계, 연도별 인구대비 체류외국인 현황, https://www.moj.go.kr/moj/2412/subview.do
  2. 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2021, 2023.08.07.(검색), 시군구별 유형별 외국인주민 자녀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0&tblId=DT_110025_A041_A&conn_path=I2
  3. 남부현, 김옥남(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질적연구: 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pp 113-142.
  4. 홍은미, 신승연(2015),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와 양육스트레스", 다문화와 평화, 9(3), pp 101-121. https://doi.org/10.22446/mnpisk.2015.9.3.005
  5. 최미영(2019),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영리연구, 18(2), pp 21-39.
  6. 윤연숙(2003), "유급 '아동 보살핌' 노동에 관한 연구: 보살핌의 제도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가형, 정선아(2015), "'돌봄'의 관점에서 유아교사의 삶의 특성",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pp 307-326. https://doi.org/10.24211/TJKTE.2015.32.4.307
  8. 이민하(2019), "자녀 돌봄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의 모성적 돌봄 경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Gottlied, B. H.(1983), "Social support strategies",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10. 정명희(2013), "사회적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방삭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모효능감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8), pp 257-276.
  11. 김갑순, 김정화(2018),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코칭연구, 11(3), pp 93-112. https://doi.org/10.20325/KCA.2018.11.3.93
  12.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3. Snowden, A. W., Canmeron, S., & Dunham, K. (1994),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coping resource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functioning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6(3), pp 63-76.
  14. Cochran, M. M., and Brassrd, J. A.(1979),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 social networks", Child Development, 50, pp 601-616. https://doi.org/10.2307/1128926
  15. 최정아(2022), "필리핀 결혼이민자 어머니의 삶에서 나타난 초국가주의 실천과 자녀양육",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트투이홍늉(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자녀양육의 어려움 탐색", 중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유나(2020),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계 중국인 출신 어머니의 한국 유아교육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강하라(2019), "유아기 첫 자녀를 둔 다문화 가족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김미현(2019),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6, pp 147-180.
  20. 이지연(2018),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위계의 교차 위에 놓여 있는 이중민족사회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황 정(2015),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서양임(2014), "일본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문화심리적 현상",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봉진영(2011),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녀 양육과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장흔성(2018),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상북도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임안나(2005),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가족관계와 초국가적 연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정미진(2017),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역할 인식 및 학부모교육 참여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문희(2014), "결혼이주여성의 학부모 역할 경험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2004),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9. 남부현, 오정아(2013),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pp 131-154.
  30. 최운선, 홍기순(2017),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의 자녀양육 인식과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4), pp 585-603.
  31. 김미연(2011), "'축복결혼' 이주여성의 종교적 실천과 적응: 강화도 A군의 통일교 일본여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육수현, 허정원(2020), "본국가족초청제도가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10,(3), pp 81-129. https://doi.org/10.35281/cms.2020.08.10.3.81
  33. 송유진, 이윤석(2021),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가족연계: 결혼이주여성 본국 가족과의 동거 현황과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60(2), pp 331-355. https://doi.org/10.22418/JSS.2021.8.60.2.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