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learning achievement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 강좌의 대면 및 비대면 운영 결과 비교 분석 (Analysis of the Results between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in 'Calculus' & 'Mathematical Education Theory')

  • 서보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257-273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 대상의 수학교육론과 미적분학 강좌를 비대면수업으로 진행한 결과와 대면수업으로 진행한 결과 사이의 차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수학교육론' 및 '미적분학' 강좌의 비대면수업은 '비대면수업 수업설계 모형'에 근거하여 계획, 개발, 실행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교과교육학 및 수학교과내용학 강좌운영에서 '비대면수업/혼합수업'과 '대면수업'의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수학교과교육학 과목과 수학교과내용학 과목에 대한 비대면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수학교육론' 강좌와 '미적분학' 강좌에서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에서 평가결과의 차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향후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비대면수업 및 혼합수업 역량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학교수학의 각 영영에 대한 선호도 연구 (Studies on the Degree of Likings for Each Units of School Mathematics)

  • 김영국;박기양;박규홍;박혜숙;박윤범;임재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27-144
    • /
    • 2000
  • School mathematics are composed of five major units of numbers& algebraic expressions, equations & inequalities, functions, figures, and statistics & probabilities. But if we look into the general activ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in their class, they rather do not take into account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traits or degree of difficulty which each of the unit has. For successful teaching of mathematics, teacher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many affective items which influence the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mong them student\`s liking for the mathematics is commonly accep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learning. In this study, with the five units of school mathematics, we investigated the students\` degree of likings for each unit. To fined out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tudents\` likings for the mathematics, between regions and kind of schools, we classified the popul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s and kinds of schools. To do this, we divided the whole region into four parts such as Seoul, large city, medium city and town. Moreover, we partitioned the whole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o four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o-science students of academic high schools, and pro-liberal arts students of academic high schools. From each partition, we sampled similar size of experimental groups which came up to total 1260 students. Analysing the answer sheets which the students responded about the questionnaire, we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using the ANOVA test. 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rend of likings for each unit between the regional classifications? 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trend of likings for each unit between the classifications of secondary schools? 3. What trends of changes are there in the degree of likings for each unit according to the rising of students\` grade?

  • PDF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초등 수학교육 비교 연구: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French and Korean Primary Mathematics Education)

  • 서동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7-22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초등 수학교육 비교를 위하여 일반적인 초등수학교육 체계, 수학 교육과정의 문서 체계,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 교육과정의 지도 내용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수업 시수는 프랑스가 우리나라보다 약 5% 더 많이 배우고 있고, 수학 교육과정 문서는 전반적으로 우리나라보다 더 구체적인 특성을 보인다. 수와 연산 영역 교육과정의 비교 결과 특히 혼합계산과 분수의 계산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학 교육과정 문서의 구체화와 학교 수학적 관점에서 허용되는 구체적인 사례 제시, 분수의 계산 중에서 특히 분수의 나눗셈의 지도 시기와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 수학에서 계산의 중요성과 지도 방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 증진: 가상학습교구를 통한 분수 개념 이해의 결과 (Impacting Student Confidence : The effects of using virtual manipulatives and increasing fraction understanding.)

  • 허혜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07-219
    • /
    • 2004
  • 본 연구는 가상학습교구를 이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개념 이해를 돕고, 이러한 개념 이해의 증가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질 높은 수학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비용상의 문제로 사용에 제약을 받았던 수학교실 상황에, 무료로 제공되는 가상학습교구의 활용 가능성 모색은 본 연구가 갖는 또 다른 의미이다. 워싱턴 디씨 근교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상학습교구를 이용하여 분수개념을 지도하였고, 학생들이 분수개념을 획득함에 따라 나타내는 자신감의 증거를 찾았다. 실험 전후에 성취도와 자신감 검사가 실시되었고, 수업 중의 인터뷰와 학생 활동지 수업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 PDF

한국, 호주,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법 영역 비교 (Comparison of Trigonometry in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ustralia, and Finland)

  • 최은;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393-419
    • /
    • 2020
  • 삼각법은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하도록 하며 삼각함수와의 연계를 통해 고등 수학 개념의 기반을 다진다. 본 연구는 호주와 핀란드를 비교 대상 국가로 정하여 Charalambous 외(2010)가 제시한 수평적 및 수직적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세 국가가 삼각비에서 다루는 각을 확장한 학습 순서가 유사하며 삼각함수의 도입 시기 및 학습의 연속성에 차이가 있다. 삼각비의 정의 방법에 대한 학습경로는 공통적으로 삼각형 방법, 단위원 방법, 삼각함수 순서로 나타났는데 우리나라는 제 1사분면의 단위원에서 삼각비를 정의한 후 바로 일반각과 삼각함수가 전개된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위장 맥락 문제와 인위적 맥락 문제는 우리나라가 호주나 핀란드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학습경로에서 생략되었던 단위원 방법을 제시하는 것, 실생활 맥락을 강조하는 문제를 제시하고 공학적 도구를 활용할 것, 삼각법을 다루는 교육과정 방식과 영역에 대해 재고할 것을 제안한다.

수학 평가 결과의 분석을 위한 인지 진단 이론의 활용 (Using Cognitive Diagnosis Theory to Analyze the Test Results of Mathematics)

  • 김선희;김수진;송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59-277
    • /
    • 2008
  • 본 연구는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하여 수학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교수 학습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3{\sim}2006$년에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3학년 수학 검사에서 30개의 선다형 문항을 선정하여 검사지를 재구성하고 검사를 실시하였고 인지 진단 이론의 한 모형인 Fusion Model을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검사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숙달한 수학적 속성을 판별하고, 학생 전체와 성취수준별로 숙달한 속성과 그 속성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진단과 처방, 추후 학습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뉴질랜드 초등학교에서의 수지도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에 관한 고찰 (A Note on Some Characteristics of Number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of New Zealand)

  • 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43-863
    • /
    • 2010
  • 본 연구는 2007개정 초등수학과 교육과정의 5개 내용영역 중, 수와 연산영역의 수(number)와 관련하여 각 나라마다 지도하는 소재나 방법적인 측면에서 조금씩은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외국 특히 뉴질랜드의 초등학교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지도나 수업설계 등에서 어떤 점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우리와는 다른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뉴질랜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텍스트와 실제 초등학교에서의 포트폴리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이를 통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 PDF

로봇 활용 수학수업의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Math Class with Robot)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3-52
    • /
    • 2013
  • 로봇은 프로그래밍 교육의 도구로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실제적, 조작적 학습경험을 제공하므로 교과학습의 도구로 활용될 때 학습내용의 구체적 이해를 돕고 능동적인 학습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로봇의 도구적 쓰임에 주안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로봇의 기능 분석, 기능별 교육적 활용 방안 추출 후 4학년 수학교과와 연계된 수업 액티비티를 개발하였다. 로봇활용 수학수업을 10차시 실시한 후 성취도 평가, 학생 호감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설문에서 로봇이 수학 수업의 흥미와 적극적 수업참여를 이끌어내며 수학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결과에서도 기존의 수학수업에선 찾기 힘든 역동적이고 협력적인 의사소통, 체험적, 실천적인 수업 등의 긍정적 반응이 나타났다.

  • PDF

The Geometer's Sketchpad를 활용한 8학년 학생들의 사각형 학습 (The Use of the Geometer's Sketchpad in Eighth-Grade Students' Quadrilateral Learning)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513-54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8학년 학생들의 사각형 학습 및 기하학적 추론 능력의 발달을 위해서 GSP의 사용이 자와 각도기 같은 전통적인 도구의 사용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탐구하고, 어떻게 그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학생들의 사각형 학습과 추론 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에 의하면 GSP를 사용한 집단과 자와 각도기를 사용한 집단의 평균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GSP를 사용한 집단이 자와 각도기를 사용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 성적을 보여주었다. 학생 면접 결과에 의하면, GSP의 사용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추론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GSP를 사용한 집단의 학생들이 자와 각도기를 사용한 집단의 학생들보다 van Hiele 2와 3수준에서 더 높은 정도의 달성도를 보여주었다. GSP가 제공하는 수학적 개념에 대한 역동적인 시각적 효과와 조작 경험이 학생들이 사각형 학습을 개념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그런 경험들이 학생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수학적 개념에 처한 오류를 확인하고 개념을 재정립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 PDF

ADHD 학생의 분수학습을 위한 개별지도 사례연구 (Case Study of Individualized Teaching for an ADHD Student's Learning of Fraction)

  • 천진승;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07-825
    • /
    • 2010
  • 오늘날 학교 현장에는 ADHD 증상으로 간주되는 산만하고 주의력이 부족하며 과잉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학업 성적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주의집중 부족으로 인해 교사들의 지도시 어려움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ADHD 학생을 대상으로 분수단원에 대한 적절한 개별지도를 계획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생의 분수 관련 이해 및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 사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ADHD 학생이 보이는 분수학습의 오류 유형으로 등분할의 개념 부족, 분수의 분모와 분자 개념 미흡, 분모가 같은 분수 및 대분수의 덧셈과 뺄셈의 오류 등을 찾을 수 있었고, ADHD 학생의 학력차, 학습 적성, 시간차에 따른 학습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서 지도한다면 학생의 분수 개념 이해 및 계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