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9초

한국과 뉴질랜드 초등학교 저학년의 덧셈과 뺄셈 지도방법에 관한 고찰 (A Note on Teaching Method of Addition and Subtraction between Korea and New Zealand Primary School)

  • 최창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05-52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ing method of addition and subtraction of whole number in Korea and New Zealand lower grade textbook and to get some suggestive points to develop mathematics curriculum and for a qualitative improvement of textbook. To do this, we will analyze focusing on teaching material, type and method of teaching, cases of real teaching and in the case of New Zealand, we will analyze portfolios together to see what kind of things do they deal with related to addition and subtraction. From these analy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uideline of accomplishment of group of year are stated in 2009 revised curriculum in Korea but it is rough.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accomplishment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re stated divided by eight kinds of thing in New Zealand curriculum. Second, there wer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in the aspect of teaching material. The common points are that both of our Korea and New Zealand are using materials related to real life intimately and the diifferent points are to use technology such as calculator and computer. They are more widely used in New Zealand than our Korea. Third, Korea had used routine method mainly but New Zealand had used method to develop creativity of learner such as to write problem corresponding to expression, posing problem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to complete table and find pattern and to write word problem to explain pattern and so on. Fourth, we could see special calculation strategies in the case of teaching addition and subtraction such as concept of double, compensation, various strategy based on counting of number, addition of the same number, magic square, near-double which are not finding in our mathematics textbook. Fifth, in the New Zealand textbook they had used teaching methods inducing curiosity of learner such as finding message and puzzle problem than solving given problem simply.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도형수 과제의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 개발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 (A Study o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Figurate Number Tasks for Elementary Math Gifted Students)

  • 김양권;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45-768
    • /
    • 2010
  • 본 연구는 수준이 다른 여러 영재 집단의 소속 학생들이 도형수와 관련된 과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산출물을 도출하는 가운데 그들의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도록 수준별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절차와 방법을 탐구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의 준거와 절차 모형에 따라 도형수 과제의 교수 학습 자료의 원형과 실제적인 자료를 개발하고 그것을 현장 수업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과정을 분석하면서 그 자료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집단의 수준별로 산출물 탐구가 가능한 도형수의 내용 범위를 설정해 보면서 차후 유사한 다른 수학 영재 교수 학습 자료 개발할 때 고려한 네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범교과적 학습 내용을 수반하는 수학과 교수-학습 자료 - 원자력 에너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al Materials Including Cross-Curriculum Based Contents)

  • 황혜정;조성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9-34
    • /
    • 2002
  •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lays emphasis on an interrelation of several subjects and a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real life. In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he enhancement of sound understanding nuclear energy which is one of important factor(concepts or contents) dealt with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science, environment, social studies, etc.. Recently, even though it is insistent that nuclear energy be so important and request in the future society, there are still strong pro and cons regarding the use of it. In this study, teaching-and-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dealing with using nuclear energy, and consequently they might be used in math class for the purpose of enhance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and of recognition on nuclear energy. In this study, Material 1 included a matter of the necessity for nuclear power plants using the ratio concept, and Material 2 did on a matter of the efficiency of nuclear energy and the unclear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ratio-graph, in the elementary and upper school mathematics. Material 3 focused on a matter of the principles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the properties of exponential law in high school mathematics. Ultimately, it is hoped in the study that more diverse instructional materials dealing with diverse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mathematics would be developed.

  • PDF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Semiotic Analysis on A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Process in th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 김선희;김태익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53-367
    • /
    • 2013
  • 본 연구는 한 예비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서를 기호의 표현체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단위 변환 내용을 대상체로 볼 때, 예비교사의 교과서 분석은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들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체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은 한 가지 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기호 공간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가 교수 자료를 도해로 구성했을 때 수업을 염두에 둔 실험과 반성의 단계에서 예비교사의 추상적 연역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사고 과정을 기호학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기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분야의 연구가 다방면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수학교과의 통합 교수-학습자료 개발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the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 박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31-339
    • /
    • 2017
  • 수학은 오랜 역사를 가진 학문으로 수학으로부터 새로운 학문이 발생하기도 하고 다른 학문과의 관련을 계속 이어왔기에 수학과 타 교과 통합 교육은 수학의 학문적 특성에 비추어 자연스러운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과학 과목의 주제를 수학의 학습 소재로 다루는 시도 외에 타 교과와 통합을 통한 수학 교육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수학과 타 교과 통합 교육의 유형과 통합 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수학 교과와 사회 교과의 통합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수학과 타 교과와의 통합 교수-합습자료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학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흥미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수학과 과학 또는 수학과 사회 외에도 예술, 체육, 국어 교과와의 통합 자료도 최근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수정 보완에 대한 연구는 본고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답사활동 수행 결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Mathematics Field Trip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39-15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현장을 교실이 아닌 교실 밖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최근 수학교육은 다양한 현장체험활동,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등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수학답사활동을 진행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리 고유의 역사적 문화재 속에서 실시한 예비교사의 수학답사활동 전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학답사활동의 목적인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문화-수학적 효과, 수학수업 개선 효과 및 수업목표지식, 수업내용지식 측면에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답사활동은 예비수학교사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CAI 프로그램의 활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3 통계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 이재국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23-131
    • /
    • 2000
  • In order to educate future leaders of the new age, we should help students to increase their basic knowledg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use multi-media, computer as well as old teaching-learning material to improve students' basic knowledge and to motivate their interest in mathematics in the small-sized Middle School situated o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village. In solving this problem, it is ultimately necessary that we should utilize CAI program on the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basic concept, principle, law and to promot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dered on individual different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when we develop CAI program focusing on the lesson statistics in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explain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statistics through using exact and various techniques of computers

  • PDF

Teaching Mathematics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School Mathematics

  • Yanagimoto Tomok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33-241
    • /
    • 2005
  • Mathematics has developed dramatically in today's world and come to be increasingly put into practical use in various fields in society. However, many Japanese students dislike mathematics. We have to study mathematics education with this situation in our mind. When we consider a better educational material, we don't have to consider on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urrent school mathematics. We can expect to find good mathematical materials in fields beyond the school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study how the inclusion of idea such as 'fuzzy theory' and 'graph theory' influences pupils' approaches to learning mathematics.

  • PDF

'수학 과제 탐구' 과목의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 천선빈;이종학;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3호
    • /
    • pp.319-34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Since this subject is newly opened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re are no textbooks and materials. Hence it is required to help teachers plan lessons of the mathematics project inquiry subject. For this study, developing directions and objectives are established. Ten hours of lesson plan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also developed for the two themes of 'big data' and 'industrial mathematics'.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material are verified positively from a survey of 8 teachers and 2 professionals. The detailed resul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and learning notes are suggested for each lesson plan. They are comprised of building inquiry plan, doing inquiry, summarizing results, and presentation. Second, driving questions of each theme are developed as "What is the big data and where is it used for ?" and "How various is the use of the industrial mathematics ?" respectively. Third, poster-types of each project product are developed. Fourth, three inquiry activity sheets and examples which are theme selection, inquiry plan, and group activity are developed. Fifth, 4 assessment sheets of self, peer, group, and teacher-use are developed.

이차곡선 수업에서 공학도구 사용과 수작업 교구 활동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Use of Hands-On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Tools in Teaching Quadratic Curves)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51-17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차곡선 지도 방안으로써 수작업 교구인 Wax-paper를 이용한 활동과 공학도구인 GeoGebra를 이용한 활동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부생 20명을 대상으로 이차곡선에 대한 교구와 공학도구 활용 수업을 진행한 후, 두 가지 수업 방법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 수학교사들은 이차곡선 학습 및 지도에서 전반적으로 공학도구의 활용을 선호했으며, 공학도구의 활용이 시각화를 통해 직관적 사고에 도움이 되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 탐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념 이해와 흥미 유발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학생 또는 교사의 미숙한 공학도구 사용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나타냈으며, 예비 수학교사들이 인식한 교구와 공학도구 활용의 장단점은 상호보완적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수업에서 각 교구와 공학도구가 가진 특성에 맞게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길 제안하며, 학생 또는 교사의 공학도구 사용 능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수업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