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culture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5초

CULTIVATION OF STUDENTS' CORE LITERACY BASED ON THE MATHEMATICAL CULTURE PERSPECTIVE

  • Nan, Hua;Tong, Shan;Xu, Yu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163-172
    • /
    • 2019
  • In recent years, the term core literacy has been popular in educational circles all over the world, and there are more and more research on core literacy. At the same time, the mathematical culture has also been highly valued on a global scale. The mathematical culture is a part of college students' cultural quality, and then, w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thematical culture and mathematical core literacy? How to improve the mathematical core literacy of contemporary college students? This paper gives the corresponding answers to these two questions. By illustrating the concrete implementation of the course "Mathematical Culture" offered by Yanbian University, this paper discusses various measures for cultivating students' core qualities in Chinese universities. It must be useful and promote the research on mathematical core literacy for the educators in various countries.

수학적 의사소통 기반의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ing Mathematics Focused on Establis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Based Classroom Culture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 오미희;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수학교실문화 형성을 위한 규범 협의 및 수학적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2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고 경청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학교실문화 형성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학 교과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실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의 필요성과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이 연계된 수학교실문화의 형성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Changing the Cult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Sociomathematical Norms and Mathematical Practice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283-304
    • /
    • 2004
  • 본 논문은 1년 동안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를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6개의 수학교실문화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중심에서 학생중심의 문화로 바꿔나가는 과정을 상세하게 탐색한다. 연구대상 교실 모두에서 일반적인 사회적 규범과 관련하여 학생중심 교수법의 전형적인 양상이 구현된 반면에,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수학적 담화와 활동의 중심이 되는 정도에 따라서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실문화 개선의 난제,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의 중요성, 교사의 역할 등에 관해 논의한다.

  • PDF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이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ocial Norms of Mathematics Classroom on Mathematical Beliefs)

  • 한경화;강순자;정인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43-356
    • /
    • 2005
  • 본 연구는 수학적 신념에 대한 검사지를 활용한 조사연구와 수학 교실 비디오 촬영을 통해 수학 교실에 새로운 사회적 규범이 형성되었을 때 수학적 신념의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 수학 교실의 문화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에 영향을 주는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일반적인 사회적 규범에만 초점을 두는 수업으로는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수학 교실의 문화분석을 통해 살펴본 수학 교실의 사회수학적 규범은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에 영향을 미쳤다.

  • PDF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 정확한 수학적 언어 사용 문화의 형성 (Establishing the Cult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Focused on the Precise Use of Mathematical Language)

  • 송경화;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2호
    • /
    • pp.181-196
    • /
    • 2007
  • 수학적인 언어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면 수학적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학생들에게 해당 학년 수준의 수학적 언어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줄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언어를 정확히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문화 형성을 시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일어난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 교사는 정확한 수학적 표현을 중시하는 교실 문화를 형성하려는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 과정에서 교사의 의도대로 지시대명사 사용의 감소, 기호화 활동의 증가, 부정확하거나 틀린 표현의 수정, 약속하기에 대한 존중, 주의 깊게 듣는 태도와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4학년 수준에서 해당 단계의 수학적 언어를 정확히 사용하는 교실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교사에 의해 의도적으로 추구된 새로운 문화에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 PDF

수학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교사의 역할 (The Role of Teachers in Reform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2호
    • /
    • pp.151-161
    • /
    • 2007
  • There were a lot of attempt to reform mathematics education. These may include refo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materials and resources for teaching.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reform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mathematics is related with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Thus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Although there is consensus what desirabl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is, the role of teachers is important to make desirabl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So, this paper suggested the role of teachers in reforming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Avoiding from routine and technical teaching, the teachers should play active role in constructing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 PD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and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 Xiaogui, Zh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167-177
    • /
    • 2008
  • The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come from the social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s; and the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to a large extent decides the social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s. So, the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are decided indirectly by the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mainly. The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react to the social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s, and the social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s react to the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Therefore, the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react indirectly to the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and the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are dialectic, and the social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s are the medium.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have some inspirations to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reform in the mainland China.

  • PDF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형성되는 규범에 관한 연구 (Constructing No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 강선미;김민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07-23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두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실사회규범과 사회수학적 규범을 분석하고 두 교실의 교실사회규범, 사회수학적 규범을 비교함으로써 이 규범에 대한 형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년 동안 26차시의 수학수업을 관찰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두 교사가 수업 상황에서 흐름,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를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교실사회규범, 사회수학적 규범 등에서 어떤 유형과 의미를 선택하여 수업하느냐에 따라 교실의 전반적인 분위기,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패턴, 규범에 의한 수학활동의 모습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Object Manipulation Ability and Basic Movement Ability on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 Park, Ji-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65-273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bility, basic movement abi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Next,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e of young children's object manipulation ability and basic movement ability on mathematical ability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children aged 5 years old. As a research tool, the non-mobile movement and mobile movement, the basic movement development test scale, and the young children's picture-mathematical ability test scale were used.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8 to January 2019.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on-mobile ability, movement ability, object manipulation abi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young children's ability to manipulate objects and non-movement abilities had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The movement ability of young children had both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mathematical ability, but it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on-mobile movement, mobile movement ability, and object manipulation ability, which are sub-capabilities of basic movement ability, which had not been investigated so far,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oward Students' Full Understanding of Trigonometric Ratios

  • Yi, Jung-A;Yoo, Jae-Geun;Lee, Kyeong Hw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63-78
    • /
    • 2013
  • Trigonometric ratios are difficult concepts to teach and learn in middle school.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mathematical terms (sine, cosine, tangent) don't convey the idea liter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a concept from the learner's standpoint, and searches the orientation of teaching that make students to have full understanding of trigonometric ratios. Such full understanding contains at least five constructs as follows: skill-algorithm, property-proof, use-application, representation-metaphor, history-culture understanding [Usiskin, Z. (2012). What does it mean to understand some mathematics? In: Proceedings of ICME12, COEX, Seoul Korea; July 8-15,2012 (pp. 502-521). Seoul, Korea: ICME-12]. Despite multi-aspects of understanding, especially, the history-culture aspect is not yet a part of the mathematics class on the trigonometric ratio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istory approach on students' understanding when the history approach focused on the mathematical terms is used to teach the concept of trigonometric ratios in Grade 9 mathematics class. A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help in more full understanding on the trigonometric ratios through such teaching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mplies that the historical derivation of mathematical terms as well as the context of mathematical concepts should be dealt in the math class for the more full understanding of some mathematical conce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