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eaching Mathematics Focused on Establis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Based Classroom Culture on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수학적 의사소통 기반의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1.20
  • Accepted : 2018.02.1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e formation of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o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classes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chosen for the study. Twenty math classes were conducted, discussing the norms and us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journal writing activity was carried out. A mathematical achievement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the inspection of the cognitive domains and a mathematical aptitude test was performed for the inspection of the affective domain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In particular, in the course of forming a mathematical classroom culture, students showed a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of a mathematics. Based on these findings, a change in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is needed and a variety of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students suggested the formation of a mathematical classroom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수학교실문화 형성을 위한 규범 협의 및 수학적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2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고 경청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인지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위해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실문화 형성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학교실문화 형성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학 교과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변화가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실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의 필요성과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이 연계된 수학교실문화의 형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4a). 초등학교 사회 교사용 지도서 3-2. 서울: 동아출판.
  2. 교육부 (2014b). 초등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3-2. 서울: (주)천재교육.
  3. 김수진, 이재봉, 박지현, 이문수 (2015).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 TIMSS 2015 본검사 시행.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은하, 오영열 (2012).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97-124.
  5. 김진호 (2009). 수학 수업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하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2(2), 99-115.
  6. 김창남 (201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771에서 2017년 5월 25일 검색.
  7. 김혜정 (2008). 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일지쓰기 활동 효과. 과학교육논총, 21(1), 7-19.
  8. 김홍찬, 이정은 (2010).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으로써의 수학일지 쓰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25-547.
  9. 김효미 (2009). 수학교실문화 형성의 이론과 실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선 (2000). 문제해결 학습을 위한 수학 교실 문화.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4(2), 105-110.
  11. 박성선 (2007). 수학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0(2), 151-161.
  12. 박성선, 조영미 (2002). 초등학교 수학수업에 나타난 수학교실문화 분석. 교육과학연구, 33(1), 65-83.
  13. 방정숙 (2002). 미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실문화 형성사례 및 교수법 개발에 관한 소고. 학교수학, 4(3), 415-433.
  14. 방정숙 (2004).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수학교육학연구, 14(3), 283-304.
  15. 신경미 (1994). 사고와 언어의 관계에 관한 Vygotsky 이론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미연 (2007). 수학적 과제 유형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은주, 이대현 (2011).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4(2), 135-145.
  18. 이종희,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 서울: 교우사.
  19. 이종희, 최승현,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학습 지도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1(2), 157-172.
  20. 전평국 (1999). 초등학교 수학교실의 사회수학적 규범 : 수학지도에서의 개혁상의 문제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관점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3(1), 1-36.
  21. 전평국, 정인수 (2003). 수학적 문제해결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5, 65-70.
  22. 최인숙 (1998). 수학 학습 과정에서 일지쓰기(journal writing)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연구(III)-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24. 허도하, 오영열 (2011).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사 기반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463-485.
  25. Cobb, P. (1996).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 in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4), 458-477. https://doi.org/10.2307/749877
  26. Cobb, P., Wood, T., & Yackel, E. (1993). Discourse, mathematical thinking, and classroom practice. In E. A. Forman, N. Minick, & C. A. Stone (Eds.), Contexts for learning (pp. 91-11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 Cobb, P., & Yackel, E. (1996). Constructivist, emerg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1(3/4), 175-190.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103&4_3
  28. Kazwmi, E. (1998). Discourse that promotes conceptual understanding.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4(7), 410-414.
  29. NCTM.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0. NCTM.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1. Waller, W. (1932). The sociology of teaching. NY: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