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ization of appearanc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가슴 성형 경험자의 성형 동기와 성형 후 평가 -이상적 신체이미지 내면화를 통한 의복 소비행동의 변화- (Motives for Selecting Breast Augmentation and Post-Operative Evaluations of Korean Women who have Undergone Cosmetic Breast Surgery -Internalization of Ideal Body-Image Reflected o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 김수연;이혜영;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40-753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motives of Korean women for choosing breast augmentation in a cultural and relational context;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ir evaluations after surger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received cosmetic breast augmentation. Enlarged and made-up breasts are a form of clothing that symbolize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women. In the vertical and individualized Korean society, the desire of women for a fashionable body invigorated the appearance management market. Fashion consumers have passively internalized the ideal body trends as the concept of the ideal body-image, which has been constructed by the social structure, markets, and the media. The analysis was rooted in post-modern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female body. The ideal body-image internalization process through the social interactions of participants was the main cultural factor to choose breast surgery. The self-image and conformity/individuality of participant were categorized as relational factors for the motivation to undergo breast surgery. The result showed that after surgery the participants achieved positive feedback from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ey expressed or hid their socio-economic statuses through their purchased fashion bodies. They also showed higher self-esteem and feelings of satisfaction by pursuing individuality and conformity as a member of society. Moreover, they achieved wider fashion options and greater controls over their public/private/secret clothing choices for certain occasions. Cosmetic breast surgery positively empowered individual women while reinforcing the socially manipulated body ideals that oppress women at the same time. Participants internalized socially constructed values and justified their surgery choices.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 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로렌스의 패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Gender Identity Revealed in the Movie Laurence Anyways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Laurence's Fashion Images-)

  • 권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91-202
    • /
    • 2015
  • 본 연구는 프랑스계 캐나다인 영화감독 자비에 돌란의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2012)의 주인공 로렌스의 젠더 정체성을 살펴보고 내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생물학적으로 남성으로 태어났지만 여성으로 살고자 하는 로렌스의 외적 변화를 패션 이미지로 살펴보았고 이를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인 모방, 행위의 반복, 그리고 합체의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내적 의미로 '타자의 내면화'와 '탈정체화'를 파악하였다. 로렌스는 여성성의 획득을 위해 여성의 모습을 모방하고 반복적인 행위로 그(녀)의 외적 구성을 완성해간다. 그(녀)의 반복되는 모방적 행위는 타자를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해석되고 새로이 구성되어지는 주체를 시각화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탈정체화는 젠더가 시공간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고 형성된 외형은 곧 내면의 외면화의 개념으로 해석되며 정체하지 않는 젠더의 유동적인 가변성을 의미화 한다. 로렌스의 '여성으로 가꾸기'는 외모를 흉내 내는 것 이상으로 재의미화 된 여성 또는 젠더를 만들고 있으며, 그것이 진정한 자기 변화이자 새로운 세상에 대한 도약으로 해석된다.

성별에 따른 공적 자기의식, 신체이미지, 사회문화적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Image, & Socio-Cultural Influence on Gender Differences)

  • 이승희;이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5호
    • /
    • pp.45-5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public self-consciousness, body image, and socio-cultural influ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Six hundred twenty-six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reliability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males, females had higher scores on appearance orientation(AO), appearance evaluation(AE), and weight occupation(WP). Also females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ies such as lower body part or middle body part than males. That is, women had lower body image than men.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self-esteem between males and females. Third, females had higher scores on public-consciousness than males did. Fourth, compared to males, females were more influenced by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Finally, women had more higher scores on appearance behavior management than me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ould provide more efficient strategies to reduce negative body image, especially in women.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얼굴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elf-Esteem, and the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Behaviors of Facial and Hair Care)

  • 황윤정;유태순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85-9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rough their interests in appearance and the degree of their management among the undergraduates to research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elf-esteem, and perceptive physical attractiveness on their face and hair management behaviors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data to form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beauty and fashion markets for the undergraduates. Total 9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female/male undergraduates students in Daegu and Gyungbuk. 873 questionnaires out of 900 were collected and 82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objects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12.0 statistics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s among variables,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analyzing and considering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statistically processing each variable and those of the existing researches. 1. In terms of face management behaviors,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as sociocultural attitudes and social physical attractiveness among physical attractiveness perceptive showed positive effects. 2. In hair management behaviors, social physical and personal physical attractiveness out of physical attractiveness perceptive seemed to have positive effects.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 콤플렉스가 반영구화장 시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lex on Semi-permanent Treatment Satisfaction)

  • 김영심;모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77-184
    • /
    • 2022
  •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 콤플렉스가 반영구화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반영구화장을 시술받은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이를 SPSS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 중 신체적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시술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는 시술 만족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인 내면화가 시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이 조절효과가 있음이 나타났으나 신체적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차이를 보였다. 넷째, 외모콤플렉스인 타인에 의한 외모콤플렉스와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 모두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추가적인 시술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젠더리스패션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성역할정체감을 중심으로 -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genderless fashion preferences - A focus on self-esteem,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gender role identity -)

  • 이현지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6호
    • /
    • pp.705-719
    • /
    • 2023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less fashion preference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men and women participants aged 20 to 49 living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Data analysis involved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genderless fashion preference comprised four factors, namely individuality pursuit, deviation from norms, fashion pursuit, and social recognition pursuit. Self-esteem encompassed two factor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whil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consisted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Second, positive self-esteem significantly influenced individuality pursuit and deviation from norms in genderless preference factors. Thir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enderless fashion preference, with awareness particularly exerting a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ity pursuit, fashion pursuit, and social recognition pursuit. Fourth, genderless fashion preferences exhibited differences based on gender role identity in factors such as individual pursuit, norm avoidance, and trend pursuit. Last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less fashion preference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nsumers perceived individuality pursuit, fashion pursuit, and social recognition pursuit as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of genderless fashion preferenc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independent brand identity by developing various items to express consumers' individuality, differentiated brand concepts from other brands, and store displays.

여대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Self-esteem among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 허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36-548
    • /
    • 2018
  • 본 연구는 외모스트레스, 알코올 섭취량, 이상섭식태도가 여대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총 참여자는 여대생 150명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외모스트레스 평균은 2.65점, 알코올 섭취 문제 평균은 9.6점, 이상섭식태도 평균은 2.24점, 자아존중감 평균은 29.77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의 영향요인은 대학생활만족(${\beta}=-.226$, p=.026)과 외모스트레스(${\beta}=-.318$, p<.001)로 나타났으며 변수의 설명력은 11%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활과 외모스트레스는 성격적 차원의 핵심요소인 자아존중감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여대생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대학생활 환경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인지하고 직면한 환경과 개인 상황과의 차이를 조절하여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 볼 수 있도록 실질적인 외적 자원이 학 내외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모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자기내면화 모색, 건강한 자아상 형성, 감정 조절을 위한 성격자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완충자원을 제공하여 여대생들의 자아존종감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대생의 미용성형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lastic Surgery Addiction Tendency Among Undergraduate Women)

  • 김영아;정향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21-6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미용성형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여대생 223명을 단순무작위 표집하여 성형수술 수용성,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척도, 신체-자아에 대한 다차원 설문지, 자아존중감을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5월에 이루어졌고 서술적 통계, chi-square 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성형중독 성향과 관련된 각각의 변수를 안정군, 긍정적기대군, 중독위험군, 중독군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정군 21.1%, 긍정적기대군 35.0%, 중독위험군 32.7%, 중독군 11.2%가 확인되었고, 전체의 45.7%는 성형수술의 개인적인 경험이 있었다. 미용성형의 경험, 높은 성형수술 수용성, 높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높은 신체상(외모평가)은 미용성형 중독성향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들을 위한 성형중독 예방, 조기 발견 및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용성형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 가이드라인의 도입이 필요하고, 조기성형수술, 사회문화적 영향, 신체상 변형의 예방이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본글로벌(born global)전략'을 추구하는 벤처기업의 특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rn Global Venture Corporation'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 김형준;정덕화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59
    • /
    • 2007
  • 기업 환경의 국제화에 따라 설립초기에 국제화를 시도하는 벤처 기업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기업 국제화의 단계적인 모델로는 설명에 한계를 가진다. 소위 태생적 글로벌 벤처(born global venture; BGV)은 R&D 밀집도와 경쟁밀집도가 높은 하이테크 산업에서 많이 나타나며 기존의 실증 연구에서 BGV의 환경 및 기업의 역량 특성과 국제화에 따른 기업 성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업의 성과의 경우 실증적인 연구에서 상호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기업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전략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GV에 포함되지 않는 기업(Non_BGV)에 비하여 BGV가 보유하고 있는 기업 역량과 마케팅 전략의 차이 및 BGV의 기업 성과를 성장성, 수익성, 시장 성과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BGV는 Non_BGV에 비하여 기업의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 및 해외 경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두 기업군이 추구하는 마케팅 전략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기업의 성과 측면에서는 성장성과 시장 성과에서는 BGV가 더 나은 성과를 보였으나 수익성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