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care teacher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1초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 박보경;박선영;이시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3-89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infant ca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 effect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er sensi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6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teacher-parent partnership, their sensitiv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eacher-parent partnership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Second, teacher-parent partnership indirectly influence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rough teacher sensitivity. In other words, a high level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sensitivity, subsequently resulting in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interactions for infan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teacher sensitivity as a mechanism to explain how teacher-parent partnership is linked to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enhancing teachers' sensitivity and, ultimately, providing high-quality child care to infants.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사-영아 관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s of Teacher Efficacy on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 윤정민;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3-225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infant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s. Methods: A total of 137 child care teachers that liv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answer two survey questionnaires for two inf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infant relationship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wo sub-factors (prosocial behavior and day work adjustment) of adjustment in child care centers. Unlikely as it was, several sub-factors such as positive emotion, peer adaptation, and self-strength were fully mediated by teacher-infant relationship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infant relationships with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infants' adaptation to daycare.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factor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factors of the child care adjustment.

원장역량, 기관 내 자원, 학부모의 기대 및 참여가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의 코칭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Institutional Resources, and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aching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 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71-9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which were child care center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institutional resources, and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that have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9 infant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A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questionnaire, institutional resources questionnaire,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questionnaire, infant-teacher relationships questionnaire, and coaching competency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fluence of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econdly,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resources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Thirdly, the influence of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관계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Infant Temperament Associated with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2-year-olds class)

  • 이기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9-107
    • /
    • 2007
  • 본 연구는 영아 보육시설에서의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 기질에 따라 교사-영아 관계가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 보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주지역의 27개 보육시설에서 영아반 교사 50명과 교사가 담당하는 영아 175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시설유형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은 교사가 연령이 낮은 교사들보다 더 높았고, 반면,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이 낮은 교사들이 높은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아 성별과 월령에 따른 영아 기질은 차이가 없었다. 교사-영아관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어서 여아가 남아의 경우보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어린 영아들이 교사와 더욱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직무만족도는 교사-영아 관계에서 친밀성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친밀한 교사-영아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과 의존성의 부정적인 교사-영아 관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 기질에 따른 교사-영아 관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질은 교사-영아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아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리적 환경수준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미진;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1-57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3 teachers in charge of one-year-old and two-year-old infants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sking the teachers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positive play beliefs of the infant teacher,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showed significant proportional correlations. Second,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moderate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particular,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interior space configuration, outdoor playground composition and facilities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had a moderating effec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with positive play beliefs have positive teacher-infant interaction when there is sufficient space available for infants and teachers. This indicates that the human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child care centers can promote teacher-child interaction.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Job Satisfaction)

  • 유서희;김상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9-140
    • /
    • 2019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0세~만2세반 담임을 맡고 있는 보육교사 32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의 수준에서 영아교사의 전문성은 돌봄의 상호작용이 가장 높고,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행동적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는 직무자체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전문성,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사 전문성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전문성의 하위요인 중 돌봄의 상호작용과 교사-부모-지역사회관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전문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전문성의 아위요인 증 영아발달과 교육과정과 교사-부모-지역사회관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김현지;한성민;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시설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영아의 발달수준, 교사의 민감성 및 초기 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Infant-Child Care Teacher Interaction : Infant Development, Teachers' Sensitivity and Early Home Environment)

  • 최은정;하지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95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infant development, teacher's sensitivity,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in the child care setting.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30 2-year-old infant-teacher pairs were video-recorded during free play activities; teachers' sensitivity was observed by trained observers; infant development was assessed by teachers; data on the early home literacy environment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boys showed more naming; girls showed more physical contact with teachers. Infants high in overall developmental level showed more behavioral interaction with teachers. Teacher's sensi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behavioral imitating and negatively with questioning and nodding. Verbal interaction in the home correlated positively with nodding.

  • PDF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효과검증 및 향후 과제 (A Study of Infant Care Teacher's Training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서소정;오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69-19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시대 사회적인 필요성에 입각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건복지령에서 정하는 전문기관에서 위탁하여 실시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영아기의 발달적 특수성, 보살핌과 가르침의 통합성, 영아보육에서의 포괄적 서비스제공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영아전문가과정(Infant Care Specialist Program)"을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내 한 영아전문가 과정의 실제를 소개하고, 본 과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사후 교사효능감과 영아발달지식수준이 사전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영아교사 현직 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정책적, 제도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gesture)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 신애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1-1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63곳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8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애착은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애착 유형별로는 긍정적정서, 접촉추구, 자기희생적온정, 근접추구, 결속, 기대감 모두 수용언어,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보호는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냉담만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몸짓의 하위요인 중 지시적몸짓은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관습적몸짓과 표상적몸짓은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애착과 영아 몸짓이 영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 언어 유형별로는 수용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표현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결속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 언어발달에는 영아의 몸짓보다 영아교사의 애착이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