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Institutional Resources, and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aching Competency of Infant Teachers

원장역량, 기관 내 자원, 학부모의 기대 및 참여가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의 코칭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정희 (총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8.15
  • Accepted : 2016.10.14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which were child care center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institutional resources, and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that have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9 infant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A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questionnaire, institutional resources questionnaire,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questionnaire, infant-teacher relationships questionnaire, and coaching competency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fluence of director management competency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econdly,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resources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Thirdly, the influence of parent expectation and participation o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i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infant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Keywords

References

  1. 권미성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2. 김미영, 정옥분 (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3. 김순천 (2008). 리더십 코칭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유정, 박수경, 임정진, 안선희 (2011). 보육교사-원장 간의 관계의 질과 근무기관 내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89-213.
  5. 김정희 (2015).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91-208.
  6. 도미향, 채경선 (2006). 부모 자녀관계 코칭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부모교육연구, 3(2), 69-89.
  7.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 (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8. 박찬옥, 구수연, 이옥임 (2010).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 경기: 정민사.
  9. 박창현 (2012).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보건복지부 (2013).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1. 서수진 (2013).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인숙, 송진숙 (2004). 부모와 교사 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 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39, 111-128.
  13. 송영수 (2007). 리더웨이. 서울: 크레듀.
  14. 양숙경 (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경희 (2010).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변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금란 (2004). 유치원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계숙, 견주연 (2015).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실태와 형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바람: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토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103-12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3
  18. 정대현, 신원애 (2012).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 탐색 및 검사도구 개발: 유아기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1), 179-208.
  19. 정미조 (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은경 (2011). 만 2세 영아-어머니 애착안정성과 영아-보육교사 관계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22. 주은지 (2012).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윤진, 김정희 (2014).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225-246.
  24. 최효영 (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search,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6. De Schipper, E. J., Riksen-Walraven, M., & Geurts, S. A. E. (2006). Effects of child-caregiver ratio on interactions between caregivers and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An experimental study. Child Development, 77(4), 861-874.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6.00907.x
  27. Diamond, K. E., & Powell, D. R. (2011). An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vention for head start teacher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3(1), 75-93. https://doi.org/10.1177/1053815111400416
  28. Epstein, J. L. (2005). School-initiated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 In T. Erb (Ed.), This we believe in action: Implementing successful middle level schools (pp. 77-96). Westerville, OH: National Middleschool Association.
  29. Goelman, H., Forer, B., Kershaw, P., Doherty, G., Lero, D., & LaGrange, A. (2006). Towards a predictive model of quality in Canadian child care cent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3), 280-295.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7.005
  30. Gridle, M. S. (1980). Politics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third world. NJ: Princeton University.
  31. Litjens, I., & Taguma, M. (2010). Revised literature overview for the 7th meeting of the network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32. OECD. (2006).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33. OECD. (2012). Starting Strong I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34. Pianta, R. C. (2001).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Lute,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35. Sanders, M. G. (2005). Building school-community partnerships: Collaborating for student succes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6. Sroufe, L. A. (1983). Infant-caregiver attachment and patterns of adaptation in preschool: The roots of maladaptation and competence. In M. Perlmutter (Ed.), Minnesota symposium in child psychology, 16 (pp. 41-91). Hillsdale: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