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aning of Experiences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y Participating in voluntary Small Groups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발적 소모임 참여 경험의 의미 탐색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지영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 류수민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8.15
  • Accepted : 2016.10.13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in the experiences of voluntary participation in small groups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conducted by targeting five mothers, the total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ix sub-factors. First, mothe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small groups. Free from the role of mother and wife, they focused on their real selves, and had experiences of emotional support by forming close relationships with people. Second, mothers did not just participate in small groups as a hobby, but tried to be role models that help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They also tried to be the catalyst that helps create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ren and husbands. Third, mothers had social experiences,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as members of society or exerted their capabilities through active exchange with other people. Finally, this research hopes to provide the community with parent education-related implication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mothers themselves, their families and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강운선 (2015).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봉사 참여동기 유형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경북지역 D대학교를 대상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2(1), 111-125.
  2. 고경희, 김신영, 김은희, 배지희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와의 공감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19-144.
  3. 권연희 (2013). 유아의 행복에 대한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25-537. https://doi.org/10.5934/kjhe.2013.22.4.525
  4. 권인탁 (2013). 대학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1(3), 139-164.
  5. 김도란, 김정원 (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6. 김동렬 (2011). 마음의 구조. 서울: 바탕소.
  7. 김민정, 김정원 (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28.
  8. 김명자, 계선자, 강기정, 김연화, 박미금, 박수선 등 (2009). 아는 만큼 행복한 결혼 건강한 가족. 서울: 양서원.
  9.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1.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0. 김예리, 박지연 (2010). 장애아동 부모들의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4(4), 445-465.
  11. 김은주, 서영희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육아지원연구, 7(1), 93-114.
  12. 김현령, 류수민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9(2), 193-209.
  13. 네이버국어사전 (2016). 동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198300에서 2016년 3월 25일 인출
  14. 류수민, 이연선, 이소민, 정계숙 (2014).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태 비교에 관한 질적 연구: 생태, 레지오, 몬테소리, 국공립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34, 365-397.
  15. 미래가족연구회 (2011). 결혼과 가족. 서울: 양서원.
  16. 민성혜, 김경은, 김리진 (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아동학회, 32(1), 31-49.
  17. 반신환, 유옥 (2011). 결혼과 가족. 서울: 동문사.
  18. 박근주, 김연진 서명은, 윤매자, 이종숙, 조경옥 (2012). 영유아기 부모역할을 위한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19. 박정모, 김은주 (2004). 영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모성역할 긴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2), 235-242.
  20. 변경애, 김은주 (2013). 어머니 학습공동체의 경험이 영유아기 자녀, 가정, 지역사회에 주는 의미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21-145.
  21. 변혜정 (1991). 임신에서 초기양육까지의 어머니일 수행 경험으로 인한 어머니로의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대졸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미선, 최병진, 윤숙영 (2013). 원예활동이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6(2), 53-59.
  23. 송승민, 도현심, 김민정, 김수지, 윤기봉, 김정은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참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133-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133
  24. 안도희, 박귀화, 정재우 (2008). 자율성 지지, 기본적 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315-338.
  25. 우민정, 주봉관 (20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과정에서 겪는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147-168.
  26. 윤수정 (2015). 영아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의 매개 및 중재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5, 173-193.
  27. 이경숙 (2015).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이주여성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다문화교육연구, 8(1), 107-131.
  28. 이기숙, 박은혜, 김희진, 김현정 (2004). 우리나라 유아의 하루일과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3), 163-188.
  29. 이석진, 이승진 (2015). 성인 평생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평생학습사회, 11(4), 165-193.
  30. 이승하, 배정호 (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중독수준과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및 감각추구와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37(1), 299-323.
  31. 이종훈, 김성환 (2014). 학습공동체 교수자의 조직학습 구축과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Andr 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7(4), 231-251.
  32. 이하정 (2015). 유치원 부모소모임 참여를 통해 나타나는 어머니들의 경험과 변화. 유아교육학논집, 19(4), 295-320.
  33. 이현, 이정숙 (2003). 집단활동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의 자존감과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사회극과 집단미술치료를 기초로. 한국영유아보육학, 34, 215-244.
  34. 임지혜, 문혜련 (2015).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2), 175-199.
  35. 장윤창 (2010). 어머니 배구 동호인의 참여를 통한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5(1), 287-300.
  36. 전춘애, 박성연 (1996).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115-129.
  37. 정계숙, 김미정, 하은실 (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38. 정계숙, 노진형 (2006). 부모역할에 대한 자기반성의 부모교육을 위한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79-105.
  39.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40. 정기범 (2014).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구 인력개발연구), 16(3), 159-184.
  41. 정미라, 김지원, 이영은 (2015).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55-281.
  42. 정혜선 (201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활과학지, 19(3), 429-441.
  43. 조준오, 나정, 홍광표 (2015).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복수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75-98.
  44. 조형숙, 김명하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271-293.
  45. 한상훈 (2003).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9(3), 225-245.
  46. 한선혜, 박승호 (2015). 자폐성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자폐성 장애연구, 15(1), 87-120.
  47. 홍소영, 김경미 (2014). 유아기 아동 어머니의 시간사용과 작업균형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2(3), 125-139.
  48. 황지애, 김성재, 김규수 (201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어머니 됨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297-318.
  49.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50.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2) 109-134. https://doi.org/10.1016/0092-6566(85)90023-6
  51. Denzin, N. K. (1978). Children of the Creche. NY: Appletron-Century-Crofts.
  52. Haberleitner, E. (2002). Coaching leadership, 코칭리더십(이영희 역). 서울: 국일(원판 2002).
  53. Koh, S. J. (1997). Parental Strain, Mastery, sex role attitude, and dyadic adjustment after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dual earner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7-32.
  54. Noddings, N. (2008). Happiness and Education, 행복과 교육(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역). 서울: 학이당(원판 2003).
  55. O'Hara, M. W. (1986). Social support, life event,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nd the puerperium.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3(6), 569-573. https://doi.org/10.1001/archpsyc.1986.01800060063008
  56.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57. Suchman, N. E., & Luthar, S. S. (2001).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in methadone-maintained mothers' parenting.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1(4), 285-315. https://doi.org/10.1207/S15327922PAR0104_2
  58. Webster-Stratton, C., & Hammond, M. (1988). Maternal de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to life stress,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conduc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6(3), 299-315. https://doi.org/10.1007/BF00913802

Cited by

  1.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Fathers' Self-help Group Program in Healthy Families‧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vol.20, pp.1, 2016, https://doi.org/10.31625/issdoi.2017.20.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