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Infant Care Teacher's Training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효과검증 및 향후 과제

  • 서소정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오선진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구원 &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for infant car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In addition, the training program(titled "infant specialist program") which had been developed in one district of Seoul in order to assist the job performance and speciality for infant care teachers was discussed. The focus in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its teaching content and method were addressed in detail. The results related to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of interest were reported. The infant car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reported that the levels of their teaching efficacy and those of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from post-tes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In line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시대 사회적인 필요성에 입각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건복지령에서 정하는 전문기관에서 위탁하여 실시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영아기의 발달적 특수성, 보살핌과 가르침의 통합성, 영아보육에서의 포괄적 서비스제공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영아전문가과정(Infant Care Specialist Program)"을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내 한 영아전문가 과정의 실제를 소개하고, 본 과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사후 교사효능감과 영아발달지식수준이 사전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영아교사 현직 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정책적, 제도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구보육정보센터(2011). 영아전문가과정 교육프로그램. 강남구보육정보센터.
  2. 김선영, 서소정(2008). 유아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31(4), 91-110.
  3. 김선영, 서소정(2010). 이원화된 유아교사(유치원과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교사효능감 및 일원화에 대한 인식: 교사의 대학전공과 근무 기관에 따른 비교. 아동학회지, 31(3), 215-233.
  4. 김옥주, 조혜진(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23-249.
  5.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제 3판). 서울: 창지사.
  6. 보육사업안내(2012). 보건복지부.
  7.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2012). 온라인 특별직무교육과정. http://child.samsungfoundation.org.
  8. 손순복, 장영희(2009). 영아교사를 위한 직무교육과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8), 273-301.
  9. 서소정(2009). 보육의 다양성과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향상 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추계 학술대회주제발표.
  10. 이미화, 김경희, 김문정(2010).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보수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177-205.
  11. 정미라, 이방실, 문원선(2012). 영아 프로그램 관련 연구경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127-149.
  12. 탁정화, 황해익 (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73-103.
  13. 황해익, 김병만, 김미진(2011).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43-65.
  14. Ackerman, D. (2008). Continuity of care, professional community, and the policy context: Potential benefits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5),753-772. https://doi.org/10.1080/10409280801960505
  15. Brandscomb, K., & Ethridge, E. (2010). Promoting professionalism in infant care: Lessons from a yearlong teacher preparation project.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1(3), 207-221. https://doi.org/10.1080/10901027.2010.500513
  16. MacPhee, D. (1981). Manual for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Unpublished manuscript.
  17. Norman-Murch, T. (2005). Keeping our balance on a slippery slope: Training and supporting infant/family specialists within an organizational context. Infant and Young Children, 18(4), 308-322. https://doi.org/10.1097/00001163-200510000-00007
  18. Norris, D. (2010). Raising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teachers in infant-toddler classroom: Implications fo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1(2), 146-158. https://doi.org/10.1080/10901021003781221
  19. Seo, S. J. (2006). A study of infant developmental outcome with a sample of Korean working mothers of infants in poverty: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3(4), 253-260. https://doi.org/10.1007/s10643-006-0069-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