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n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45-160
    • /
    • 2012
  •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their initial perception with regar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during the teacher education period.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in relation to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a total of 265 prospective teachers from four institute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lection of content, and construction of curriculum as important for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However, they revealed relatively low levels of agreement agains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aterials,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On the ba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each element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is paper raises issues for discussion and includes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측정 영역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의한 좋은 수학 수업 분석 (An Analysis of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Key Instructional Elements of Measurement)

  • 방정숙;김정원;김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77-89
    • /
    • 2012
  • 좋은 수학 수업을 이루는 많은 요소들은 여러 내용 영역에 걸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지만, 각 내용 영역의 특징을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측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이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핵심 교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초등 우수 수업으로 인정받은 수업 중 동일한 학습 주제 및 유사한 수업 흐름을 가진 수업을 2편씩 2세트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 수업 분석틀에 의해 각 수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의미 있게 다른 측면이 일관되게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측정 영역에서 좋은 수업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볼 기회를 제공하며,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연구가 수학의 내용 영역별 특성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초등학교 수준별 수학 수업에서 열린 문제의 활용과 열린 문제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Improving Differentiated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Open Problems and Inventing Open Problems in the Elementary School)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315-330
    • /
    • 2012
  • 다양한 수준에 있는 학생 모두에게 일정 정도의 수학을 가르치기 위해서 제7차 교육과정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수준별 수업을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수준별 수업 방식은 학생들을 그 수준에 따라 두 세 그룹으로 분리한 후 각 수준에 맞는 별도의 활동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분리된 수준별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수준의 학생들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재아를 지도하거나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수학 수업과 관련해서만 열린 문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보통의 수학 교실에서 열린 문제는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도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반응을 교사가 통합할 수 있다면 낮은 수준의 학생이 잠재적 발달수준으로 수준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열린 문제와 병행 과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하여 보았다.

  • PDF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및 초등 교사와의 인식 비교 (School Administrators' Perspective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and Comparison to Teachers' Perspectiv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29-347
    • /
    • 2016
  • 본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와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관리자 32명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등위식, 척도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결과, 자유기술식 설문에서는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하는 수업, 학생들이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이 좋은 수학 수업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등위식 설문에서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중영역 중 교육과정 구성이 좋은 수학 수업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척도식 설문에서는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수학과 기본 개념 사이의 연계성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은 매우 좋은 수학 수업으로, 계산을 능숙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물리적 환경이 잘 조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은 상대적으로 덜 좋은 수학 수업이라는 인식이 드러났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하였다. 하지만 각 요소별로 실시한 t 검정 결과 총 48개 중 20개의 요소에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과 초등 교사와의 인식 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학교수학에서의 함수 개념 지도 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struction of function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 강윤수;정성현;강덕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381-403
    • /
    • 1998
  • As a researcher engaged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mathematics teachers are interested in instructional methods. While it is unlikely that the viewpoints of individual mathematics teachers are reflected in making decisions on instructional purpos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a good many parts of instructional methods on mathematical facts are decided by individual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role of mathematics teachers is given much weight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Therefore, the mathematics teachers must not be excluded in all parts of the study of mathematical education. We studied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function concept, a central topic in school mathematics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correspondence-centered, middle, dependence centered) viewpoints about the essence of function concept. And we should that which of them should be the viewpoint of instruction of function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Second, we investigated the questions regarding the process of function instruction in school mathematics and presented alternative instruction methods of function concept to solve the questions. Third, we postulated the importance of polynomial function, relating college mathematics in order to present the reason why the polynomial function is importantly treated in functional instruction of school mathematics.

  • PDF

교수 질 프로필(IQP)에 기반한 중학교 2학년 수학과 교수의 질 분석 (An evaluation on the quality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r 8th grade based on the instructional quality profile)

  • 이봉주;한인기;서보억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03-125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project to evaluate the quality of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onsistency between teaching goals of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s presentation of textbooks, and testing including adequacy of each element in mathematics instruction for 8th grade. To do this, we used MIQP (instructional quality profile for Mathematics) developed basing on the instructional quality profile (IQP) in the previous research of the project. First, the quality of textbooks' content presentation for 8th grade was found that the desirable levels in number and operation area and geometric area was relatively less compared to other areas, but it was generally goo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mathematics testing for 8th grade was good in terms of consistency with the curriculum's teaching goals, consistency with the content presentation of textbooks, and adequacy of testing. However, regional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esting showed that there were some deficiencies in regions outside the metropolitan.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Hearing Teachers' Voic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31-2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하위 48개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 교사 223명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수업, 개념에 초점을 두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학을 사용하는 수업, 좋은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좋은 수학 수업의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What Constitutes a Good Mathematics Lesson?: A Narrative Inquiry into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Mathematics Lessons

  • Han, Jaepi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135-147
    • /
    • 2020
  • What constitutes a good mathematics lesson plan? In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 preservice teachers (PSTs) are trained for planning mathematics instruction but often have difficulty in evaluating existing lesson plans and creating their own lesson plans.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understand PSTs' experiences of evaluating or designing mathematics lessons that they perceive as being good. The narratives of three PSTs who pursu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ing certification will inform us not only of their perceptions of a good mathematics lesson and lesson plan but also their process of finding the one that exists or creating their own.

MQI를 이용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성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397-416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of mathematics classes with observations using the instrument, MQI(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Class recording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2 pre-service teachers and 4 in-service teachers. This study recorded and analyzed 3 or 4 classes for each mathematics teacher by using revised MQI. There were a total of 8 raters: 2 or 3 raters analyzed each class. MQI has four dimensions: Richness of the Mathematics, Working with Students and Mathematic, Errors and Imprecision, Student Participation in Meaning-Making and Reasoning. In the dimension of 'Richness of Mathematics', all teachers had good scores of 'explanations of teacher' but had lower scores of 'linking and connections', 'multiple procedures or solution methods' and 'developing mathematical generalizations.' In the dimension of 'Working with Students and Mathematics', two in-service teachers who have worked and having more experience had higher scores than others. In the dimension of 'Errors and Imprecision', all teachers had high scores. In the dimension of 'Student Participation in Meaning-Making and Reasoning', two pre-service teachers had contrast and also two in-service teachers who hadn't worked not long had contrast. Implications were deducted from finding to improving quality of mathematics classes.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41-263
    • /
    • 2011
  • 학교 교육의 내실화 및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국가 수준의 차원에서 좋은 수업 선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수업평가 시행을 위한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그리고 교사 지식에 관한 특징 규명 및 이를 통한 수업 컨설팅에 관한 연구 등이 교과별로 꾸준히 시행되어 왔다. 이의 궁극적 목적은 교사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문의 계발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자 함이다. 이의 실천적 방안의 하나로, 교사 자신 및 동료 교사의 수업평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이에 관한 평가기준 개발 및 관련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교사 지식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지식에 초점을 두어 이 에 적합한 수업평가의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