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ve colors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6초

민화의 재해석을 통한 현대한국화의 표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s Expressions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Folk Painting)

  • 오세권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0권
    • /
    • pp.51-72
    • /
    • 2006
  • 민화가 갖는 조형적 특성이 현대 한국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는데 이는 민화가 지니고 있는 조형적 특성에서 오늘날 현대 한국화가 나아가야 할 방법론을 찾아보는 것이다. 그 표현들을 보면 민화에서 나타나는 도상의 재현, 평면화와 다시점적 표현 방법의 재해석, 민화 도상들을 오브제화 하고 혼성모방을 하는 등 실험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모든 표현들이 '민화'를 통한 현대 한국화의 방법들을 제시하는 것들이다. 현대 한국화 표현에서 민화는 오래전부터 응용되었지만 관심이 더욱 높아진 것은 1980년대 들어서이다. 당시 리얼리즘 미술의 민족적 표현 방식과 채색화의 등장으로 인하여 민화에서 나타나는 전통적 오방색과 서민적 내용 그리고 도상들을 차용하면서 점차 작가들이 민화를 재해석하여 자신의 작품 속에 등장시키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특히 '한국의 미'에 대한 관심이 민화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고, 민화는 전통적 조형 표현 방법에 있어 중요한 '한국의 미'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조 민화에서 나타나는 도상을 재현하거나 재해석하여 오늘날 한국화의 새로운 표현으로 등장시킨 작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 작품들에서 어떠한 특성들이 있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민화에서 나타나는 조형적인 특성을 변용하거나 재해석하여 현대적인 작품세계로 나아가는 작가들을 '민화 이미지의 재수용' '민화 특성의 재해석' '실험적 표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민화가 고전적인 표현이며 조선시대에서만 사용된 조형적 방법이 아니라 오늘날 조형 방법론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민족적 표현임을 알 수 있다.

  • PDF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색채계획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n Color Planning for Enhancing Brand Image)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9권1호
    • /
    • pp.63-75
    • /
    • 2006
  •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의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된 기초연구이다. 소비자에게 비춰진 색채 이미지와 브랜드 자체의 고유 색채전략과의 일치성 측정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와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 간의 관계를 밝히려했다.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와 통일성을 가진 웹 색채계획을 통해서 효과적인 색채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브랜드 커피의 색채전략에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온 오프라인의 통합색채전략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여 구체적 해결과제로 시작된 연구로 웹 사이트 설계 시 색채계획의 차원으로 접근하였다. 색채 이미지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두 가지 기준으로는 색채의 감성적 측면과 색채의 기능적 측면인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I.R.I.의 색이미지 척도와 사또루후지의 색채정보전달의 5가지 요인을 사용했다. 오프라인의 자극물을 인쇄물로만 제한했던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전반적인 색채 이미지 조사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웹 사이트 색채 계획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 을 기초로 한 온 오프라인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이루며 이를 통한 총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되길 기대한다.

  • PDF

Cook/Chill System에서의 고기완자 제조에 관한 연구II. Hydrocolloid 첨가 고기완자의 품질 특성 (A Study on Preparation of Wanjajun for Cook/Chill System II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njajun Containing Hydrocolloids)

  • 강은주;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7-672
    • /
    • 2003
  • 조리수율과 지방 보유율 및 보수력은 hydrocolloid 첨가구에 비하여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hydrocolloid는 식품의 증점성, 유화 안정성, gel형성, 피막형성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가열중의 드립의 양을 감소시키고, 지방과 결합하여 지방보유율을 높일 수 있었다. pH는 조리전보다 조리후에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재가열시에는 조리후보다 같거나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hydrocolloid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모든 실험군을 8일간 저장하는 동안 총균수는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며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 또한 검출되지 않아 저장기간동안 비교적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었다. 재가열한 대조구의 경도, 뭉침성, 부서짐성 등은 hydrocolloid를 첨가한 완자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hydrocolloid의 보수력과 유화안정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결국 지방을 줄이면서 hydrocolloid와 두부를 첨가한 완자가 지방을 20% 첨가한 완자보다 조직적 특성이 비슷하거나 우수하여 지방 대체제로서의 hydrocolloid와 두부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hydrocolloid를 첨가한 완자가 전반적인 관능수용도 역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제조 후의 다즙성, 조직감, 종합적인 품질은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좋았으며, 재가열한 제품에서는 sodium alginate 첨가구가 가장 좋았다. 이처럼 조직적인 특성과 함께 관능적인 면에서도 hydrocolloid첨가 완자가 대조구에 비해 좋은 결과를 나타낸 것은 저지방 기능성 육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hydrocolloid첨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차량용 HUD의 인지적 감성 평가 -주행정보의 색채 시인성을 중심으로- (Vehicle HUD's cognitive emotional evaluation - Focused on color visibility of driving information)

  • 최원정;이혜미;이설희;박영경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95-206
    • /
    • 2013
  •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자동차 주행 중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 분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면서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HUD(Head Up Display)시스템을 이용해서 자동차 앞 유리(windshield)에 투영된 주행정보의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주행정보는 전방시선 $0^{\circ}$에서 약 하방 $9^{\circ}$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고, 실험실의 형광등, 5개의 LED 조명등과 TV출력 영상을 통해 25[lux]의 야간 운전 시 조도 환경, 100,000[lux]의 주간 운전 시 조도 환경을 재현하였다. 먼셀 표색계의 기본 5색(R, Y, G, B, P)과 신호등의 색 YR, W 총 7색의 단일 색과 W를 제외한 6개 글자에 각각 흰색 글자 외곽선, 회색 글자 외곽선을 주어 외곽선 있는 글자 12개를 만들었다. 총 19개의 실험 자극물을 주간과 야간 환경에서 각각 주행정보의 컬러 시인성, 피로도, 선호도, 방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시인성이 유의미하게 나왔는데, 첫째, 주간에서는 Y와 G 색상같이 색상 자체의 휘도가 높은 경우 시인성이 높았다. 둘째, 텍스트의 외곽선이 있는 경우, 외곽선이 배경색으로 작용하여 색상과의 휘도대비를 일으켜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셋째, 외곽선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의 휘도가 배경색 휘도로 작용하여 글자의 휘도와 큰 대비를 이룰 때 시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운전자의 주시야를 고려해 전방에 제공되는 가상의 영상, HUD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주행정보의 색채시인성이 중요한데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배경과 글자의 휘도대비를 고려해볼 수 있다.

  • PDF

모바일 화면에서의 효율적인 메뉴구조 - 유목의 명확성, 깊이수준, 아이템의 수, 공간단서를 중심으로 (Search for the Efficient Hierarchical Data Structure in Mobile Screen)

  • 조경자;최향;한광희
    • 인지과학
    • /
    • 제18권2호
    • /
    • pp.193-22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화면에서의 효율적인 메뉴구조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유목의 명확성(명확, 불명확)과 깊이수준(2,3,5층), 아이템의 수(32, 64, 128개)에 따른 탐색 과제 수행 시간과 오류수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목이 명확할수록, 깊이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제시된 아이템의 수가 적을수록 과제 수행 시간이 짧았고 오류를 적게 보였다. 또한 유목이 명확한 조건에서는 깊이수준과 아이템의 수에 따른 과제 수행 시간과 오류 수에 차이가 없었으나, 유목이 불명확한 조건에서는 깊이가 깊은 조건과 아이템의 수가 많은 조건에서 과제수행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고,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깊이가 5수준인 메뉴 구조에서 유목의 명확성(명확, 불명확), 아이템의 수(32, 64, 128개), 공간단서 (색, 창, 숫자단서)에 따라 과제 수행시간과 오류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목이 명확할수록, 아이템의 수가 적을수록 과제수행시간이 더 적게 걸렸고 더 적은 오류를 보였다. 특히 유목이 불명확한 조건에서는 아이템의 수가 많을수록 더 좋지 않은 수행을 보여 실험 1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실험 2의 결과, 그림이나 숫자를 통해 공간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탐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Algol의 광전측광관측과 UBVRI 광도곡선의 분석 (PHOTOELECTRIC OBSERVATIONS AND UBVRI LIGHT CURVES ANALYSIS OF ALGOL)

  • 정장해;이용삼;임조령;양감징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23-145
    • /
    • 1993
  •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의 UBVRI 측광기가 부착된 20 cm 망원경을 이용하여 1988년 12월부터 1991년 3월 사이의 33일밤 동안 Algol을 광전측광 관측하여 총 3465점의 관측값을 얻었다. 이 관측값을 이용하여 UBVRI 광도곡선을 만들었고 5개의 극심시각 JDHel 2447898.0938, JDHel 2447908.1014, JDHel 2448265.1205, JDHel 2448288.0598, JDHel 2448275.146 을 결정하였다. 우리가 얻은 UBVRI 광도곡선을 동시에 Wilson-Devinney 방법으로 분석하여 측광학적 해를 구했다. 이 해로 부터 얻은 i= $82.{\circ}47$, q=0.227, $r_1$=0.2102, $r_2$=0.2512와 Hill et al.(1971)의 분광학적 해의 인수들을 이용하여 Algol A,B,C, 각각에 대한 질량에 반경을 $m_1$=3.36, $m_2$=0.76, $m_3$=1.6, $R_1$=2.97, $R_2$=0.76과 같이 구했다. 여기서 사용한 단위는 태양질량 단위와 태양반경 단위이다. 이러한 우리의 결과들은 Kim(1989)이 보고한 값들과 대체로 비슷하다. 우리의 해로 부터 은 5색의 $l_1$, $l_2$, $l_3$ 값들을 Planck 곡선에 fitting 시키는 방법에 의해 Algol C의 온도를 $T_3$=8800로, 그리고 $R_3$=$1.6R_\odot$을 유도했다. Algol A와 B의 배치 형태가 준접촉형인 것은 case B 질량 이동에 의해 생긴 결과로 믿어지며, 질량-반경동에 나타난 이들의 위치에 의하면 Algol B는 수소연소 단계에서도 상당히 진화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로 추정된다.

  • PDF

건축물 외장재의 사용 현황과 친환경 성능 (Usage Statu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Guidelines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 박종수;고훈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861-5869
    • /
    • 2014
  • 외장재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디자인 측면에서 계획적인 접근이 많아 외장재의 성능보다 외장재의 색채나 질감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많았으며 용도에 따른 공학적인 접근에서는 환경과 설비, 화재 구조 등 일반적인 연구 주제들에 국한되어 건물 유형에 적합한 외장재 선정과 성능제시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물론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인 관점에서 건축물 외장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친환경적인 외장재 선택에 대한 실무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여 년간 국내에서 사용된 외장재에 대한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건물용도별 외장재의 특성과 친환경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국내 건설업체 및 설계사무소 등이 친환경적이면서 성능이 적합한 외장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외장재 사용현황은 정량적인 빈도수 분석, 친환경 성능은 복합적인(정성+정량)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조사된 건물의 외장재종류 개수의 평균은 2.59개로 나타났으며 유리, 금속, 석재, 수지, 시멘트, 목재, 점토 순서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4개의 친환경 외장재 특성에 의거하여 5종류의 고친환경재료를 선정하였으며 8가지 친환경적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종간(種間) 교잡(交雜)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florida Following Protoplast Fusion)

  • 유영복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8-125
    • /
    • 1992
  • 노랑느타리 Pleuroltus cornucopiae와 사철느타리 Pleurolus florida의 영양요구주(營養要求株)로부터 나출(裸出)한 원형질체(原形質體)를 polyethylene glycol로 융합(融合)하여 종간(種間) 체세포잡종(體細胞雜種)을 얻었다. 이들은 핵융합주(核融合株) nuclear hybrid 또는 이질이배체(異質二倍體) allodiploid, 이핵체(異核體) heterokaryon, 자연적(自然的) 분리성이핵체(分離性異核體) spontaneous segregated heterokaryon로 나누어졌으며, 6융합조합(融合組合)중에서 1조합(組合)에서만 꺽쇠연결체 clamp connection를 가진 것이 나타났다. 총 59 융합주 중에서 꺽쇠연결체를 가진 2균주와 가지지 않은 10균주가 완전한 자실체(子實體)를 형성하였는데 거의 사철느타리 형태(形態)와 유사(有似)하였으나 버섯의 갓 색택(色澤)이 양친(兩親)인 노랑느타리가 어릴때 yellow, 사철느타리가 orange white 인데비해 체세포 잡종은 light blond-greyish brown 으로 다양한 혼합색(混合色)으로 나타났다. 꺽쇠연결체가 없는 융합주로부터 발용(發茸)된 자실체는 두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졌으며, 이 자실체(子實體) 조직(組織)을 완전배지(完全培地)에 배양(培養)한 결과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빠르고 균사도 꺽쇠연결체를 가져 본래(本來)의 융합주와는 다른 형태로 변하였다.

  • PDF

거베라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가해양상, 발생소장 및 색상별 유인량 (Damaged Aspects, Seasonal Fluctuations, and Attractivity of Various Colors on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in Gerbera)

  • 박종대;구용수;최덕수;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7-103
    • /
    • 2001
  • 전남지역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한 거베라 피해엽율은 정식후 1년차에 89.7%, 2년차에 85.5%이었다. 피해주에서 갱도에 의한 피해엽율과 흡즙흔에 의한 피해엽율은 각각 44.7%와 55.3%이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성충은 5월 하순에 정식한 경우 정식 1년차에는 초기부터 성충이 포획되어 8월 상순까지 포획량이 계속 증가하였으나 이후 8월 하순까지는 밀도가 감소하다가 9월 상순부터 다시 포획량이 증가하였다. 정식 2년차에는 4월 하순부터 성충이 포획되기 시작하여 5월 중순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7월 상순까지 높은밀도를 유지하다가 7월 중순부터 점차 밀도가 감소하여 7월 하순부터는 낮은 밀도를 유지하였으나,포충망에 의한 조사는 9월 상순과 10월 하순에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유충과 번데기 밀도변동은 성충발생과 비슷하였으나 번데기 발생 peak가 유충보다 일주일 가량 늦었다. 거베라에서 기생봉에 기생당한 유충수는 정식 5주째부터 많아지기 시작하여 8월 하순까지 기생율이 평균 65%로 높았으나 9월 상순부터는 50%수준이었다. 유색끈끈이트랩에 유인량은 황색에서 가장 많았으며, 트랩의 설치위치는 지상 30~60cm범위에서 포획량이 많았다.

  • PDF

발효음식이 의치상레진의 색상 및 표면경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ED FOODS ON THE COLOR AND HARDNESS CHANGE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 전열매;임헌송;신수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4-355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For a long time, many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have been used for edentulous and partial edentulous patients because of easy manipulation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but its esthetic aspect has not been commented enough. Denture base acrylic resins also has caused esthetic problems due to discoloration or staining as in esthetic restoration. Many researches and reports have treated the problems and accomplished esthetic improvement. But these researches and reports dealt with general food colors or beverages, not with fermented foods.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assess what fermented foods, such as soy sauce, gochujang, and toenjang that many of Koreans have taken in, influence on the color and hardness variation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procedure, twelve disks per 4 denture base acrylic resins were fabricated with a thickness of 2mm and 16mm in diameter. Each seven specimen were measured for discoloration with spectrophotometer, while the others, five specimen, for surface hardness change with Barcol hardness tester, over time. Each 12 specimen were immersed into the 4 beakers of fermented foods(soy sauces, gochujangs, toenjangs, deionized water), and $L^{*},a^{*}$, and $b^*$ values were measured for the color difference$({\Delta}E^*)$, on the 1st, 7th, and 28th day with spectrophotometer, with the measurement of surface hardness change. Each data observed was processed statistically.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Discoloration 1. All of denture base resins was not influenced by the kind of fermented foods, except for $QC20^{(R)}$ 2.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caused more change for denture base resins than deionized water and soy bean paste, except for Perform$^{(R)}$ 3. Most significant change was shown in Lucitone 199$^{(R)}$, whereas Perform$^{(R)}$ results in the least change for all immersed solution,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ardness change 1. Barcol hardness values in deposited specimens have been changed low degree, but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change according to the kind of food and duration. 2. Lucitone$^{(R)}$ 199 as significantly lower Barcol hardness value than others do.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suggests that the habitual intake of fermented foods is not helpful for the color stability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because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mainly caused discoloration and surface hardness change. Particularly $Lucitone199^{(R)}$ shows specific discoloration and low surface hardness valu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giving caution patients with denture of $Lucitone199^{(R)}$ especially against the habitual intake of fermented foods like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