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ELECTRIC OBSERVATIONS AND UBVRI LIGHT CURVES ANALYSIS OF ALGOL

Algol의 광전측광관측과 UBVRI 광도곡선의 분석

  • 정장해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 이용삼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 임조령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
  • 양감징 (미국 네브라스키대학 물리천문학과)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UBVRi photometry of Algol was carried out from December of 1988 to March of 1991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and a total of 3465 observations in U, B, V, R, I were obtained. Three times of primary minimum light of JDH el 2447898.0938, JEH el 2448265.1205 and JDH el 2448288.0598, and two secondary minimum light of JDH el 2447808.1014 and JDH el 2448275.146 were determined from our observations. We analyzed simultaneously the UBVRI light curves of the Algol system with the Wilson-Devinney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hotometric parameters. Indivisual masses for the 3 components of Algol are derived as $m_1$=3.36, $m_2$=0.76, $m_3$=1.6 in solar mass and radii as $R_1$=2.97, $R_2$=0.76 in solar radinus using i=$82.{\circ}47$, q=0.227, $r_1$=0.2102, $r_2$=0.2512 of our solution and some parameters of the spectroscopic solution of Hill et al. (1971). Our results is simiar to those reported by Kim (1989). The temperature of Algol C, $T_3$=8800 was obtained by means of fitting $l_1$, $l_2$, and $l_3$ of five colors to Planckian curve, and $R_3$=$1.6R_\odot$ is derived from its result. It is believed that its semidetached configuration of Algol A and B is the consequence of case B mass transfer. According to its location in a mass-radius diagram. Algol b may have evolved significantly in its Hburnning phase.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의 UBVRI 측광기가 부착된 20 cm 망원경을 이용하여 1988년 12월부터 1991년 3월 사이의 33일밤 동안 Algol을 광전측광 관측하여 총 3465점의 관측값을 얻었다. 이 관측값을 이용하여 UBVRI 광도곡선을 만들었고 5개의 극심시각 JDHel 2447898.0938, JDHel 2447908.1014, JDHel 2448265.1205, JDHel 2448288.0598, JDHel 2448275.146 을 결정하였다. 우리가 얻은 UBVRI 광도곡선을 동시에 Wilson-Devinney 방법으로 분석하여 측광학적 해를 구했다. 이 해로 부터 얻은 i= $82.{\circ}47$, q=0.227, $r_1$=0.2102, $r_2$=0.2512와 Hill et al.(1971)의 분광학적 해의 인수들을 이용하여 Algol A,B,C, 각각에 대한 질량에 반경을 $m_1$=3.36, $m_2$=0.76, $m_3$=1.6, $R_1$=2.97, $R_2$=0.76과 같이 구했다. 여기서 사용한 단위는 태양질량 단위와 태양반경 단위이다. 이러한 우리의 결과들은 Kim(1989)이 보고한 값들과 대체로 비슷하다. 우리의 해로 부터 은 5색의 $l_1$, $l_2$, $l_3$ 값들을 Planck 곡선에 fitting 시키는 방법에 의해 Algol C의 온도를 $T_3$=8800로, 그리고 $R_3$=$1.6R_\odot$을 유도했다. Algol A와 B의 배치 형태가 준접촉형인 것은 case B 질량 이동에 의해 생긴 결과로 믿어지며, 질량-반경동에 나타난 이들의 위치에 의하면 Algol B는 수소연소 단계에서도 상당히 진화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