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informatization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7초

4차 산업혁명시대, 생산적인 프로슈머 이코노미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제언: 일자리문제 해결을 위한 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The Government's Supporting Strategies to the Productive Prosumer Economy for the Successful Transi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spectives for Solving Job problems)

  • 임지선
    • 정보화정책
    • /
    • 제24권2호
    • /
    • pp.87-104
    • /
    • 2017
  • 정보통신기술 발달에 기반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지식노동을 대체함으로써 대량실업문제 및 일자리 양극화를 통한 소득격차문제를 확산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욱이 그 변화의 속도와 범위가 빠르고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되어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조치 마련을 요구하고 있으나, 기존연구에서는 전통적 형태의 일자리가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제한적인 해결방안만을 내어놓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은 기존직무의 유연화 과정 등을 통해 기업의 생산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기존직무의 유연화 과정은 궁극적으로 소비자가 생산자가 되는 프로슈머 이코노미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만일, 소비자가 생산자가 되는 프로슈머 이코노미가 도래하게 될 경우 기존의 일자리문제는 더 이상 일자리문제가 아닌 일거리 문제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일자리문제의 근본적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시대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프로슈머 이코노미로의 안정적 전환을 제안하고 있으며, 보다 생산적인 프로슈머 이코노미로 전환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첫째, 노동시간단축을 통한 교육시간의 확보, 둘째, 온라인 대중교육 무료지원을 통한 평생교육 활성화, 셋째, 전자정부 사용 의무화를 통한 정보격차해소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ICT by Middle School Teacher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85-89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가 시행한 ICILS 2013의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였다. ICILS 2013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18개 참여국 중 컴퓨터 정보 소양 점수가 높은 호주, 체코, 노르웨이, 폴란드와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의 ICT 활용 실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ILS 2013의 교사 설문지 중에서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9문항을 선택하였는데, 문항들은 교사의 컴퓨터 이용 실태, 수업에서 ICT 활용 현황, 학교의 ICT 활용 지원 환경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컴퓨터 사용 실태를 보면, 컴퓨터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며 컴퓨터에 대한 자아효능감도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컴퓨터 활용은 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지만 교수학습과 관련된 컴퓨터 활용에서는 낮은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수업에서 활용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프레젠테이션이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 대한 활용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학습활동이나 교수활동에서도 교사주도의 정보 제공이나 과제 제시에 대한 활동의 비중은 높지만 협업이나 상호작용이 많은 활동에서는 낮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은 ICT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점보다는 부정적인 관점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학교에서 컴퓨터 관련 자원을 지원하는 정도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사 항목 대부분에서 호주나 체코에 비해 지원 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충분한 ICT 기기나 컴퓨터가 구식 모델이고 디지털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기서 드러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ICT 교육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더불어 학생활동 중심의 ICT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능정보시대의 전망과 정책대응 방향 모색 (A Review of Intelligent Society Studies: A look on the future of AI and policy issues.)

  • 성욱준;황성수
    • 정보화정책
    • /
    • 제24권2호
    • /
    • pp.3-19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인 알파고 대국 이후 관심이 급증되고 있는 지능정보시대의 도래에 대한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여 지능정보시대에 관한 이슈들을 전망해 보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지능정보시대를 연구한 실증적인 논문이 아직은 부족한 상태임을 알게 되었다. 광범위한 연구동향 분석의 리뷰를 하기 에는 연구의 축척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며 그러나 주요 보고서 및 연구를 중심으로 미래에 도래할 지능정보시대의 모습과 이슈를 조망해보고 해외사례 및 우리나라 사례를 통해 정책적 대응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대응 모색으로는 크게 기술연속성의 확보, 정책 및 제도 정비, 인식 문화 수용성 증대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다양한 내용들이 제언되었다. 특히 정부의 기대되는 역할에는 공공분야에 파급력이 클, 국민생활에 체감이 될 스마트 시티, 도심재생사업에 관한 지능정보 기술의 활용이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추후 이러한 제언된 내용들에 관한 시급성과 파급력에 관한 우선순위 설정의 논의와 연구가 있어야 하겠다.

교육 데이터를 활용한 정보시스템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Based on Educational Data)

  • 장용수;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36-451
    • /
    • 2017
  • 초 중등학교에서는 교육활동 과정에서 생성된 성적 자료, 관찰 상담 자료, 심리검사 자료 등의 다양한 정보를 여러 형태로 축적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을 다차원적으로 진단하고 파악하는 데 필요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용 정보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마치 환자에 대한 각종 검사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임상 경험에만 의존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상황을 연상시킨다. 교육부가 '제5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2014~2018)'의 '교육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대책'에서 지적하였듯이, 교육용 정보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아직 이 분야에 대한 기초 연구뿐만 아니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분석정보시스템의 개념을 교육 분야에 도입하여 맞춤형 학생지도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용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분석과 표적집단면접조사를 통해 교육용 정보시스템의 핵심 기능과 내용을 정의하였으며, 네이버 프로토나우를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노인의 인터넷 사용 실태, 자아효능감,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attern of Elderly's Internet Usag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 황은희;신수진;정덕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8-12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internet usag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Method: Study participants were 139 older than 60 years of age who had used internet and could access internet anytime at hom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September, 2009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WIN 18.0 program. Results: The meantime of internet use was 8.74 hours per week, frequently used web-site was 'Newspaper and magazine', and subjects mainly used internet 'not to fall behind the times'. The mean score of internet use capability was 2.42, among theses the score of 'Searching necessary information' was the highest. The internet use capability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education level, spouse, economic status, and the length of use. The mean scores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28.22{\pm}4.42$ and $28.51{\pm}4.2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lderly people use internet not to fall behind the times but they have enough capability to use internet searching or e-mailing. Also,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influencing factors on internet use and capability of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internet use of the elderly more closely.

국내 노인생애체험전시관 공간구성에 관한 분석 연구 (Study on Space Composition Analysis of the Local Old Age Experience Hall)

  • 조정미;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3-178
    • /
    • 2006
  •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Korean population in older age is much faster than the rest of the world. Along with rise of nuclear family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materialization, ageing, on current situation in Korea that a reality of being diminished consciousness involving the sense of filial piety, and of respect or honor for the elders, does mean that such topics in ageing have become sociocultural issues that a nation should get more deeply involved in caring later life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an official and obligatory manner. Under this circumstance, an exhibition space in the hall intended for experiencing the later life of the elderly will surely play the role of locomotive in the respect of education to understand aging adults, and to promote development of health and welfare industry, especially for older population, also in creating and developing a positive and desirable culture and environment. To implement design project concerned with the space for the elderly population in a more careful and effective manner, the features of the Old Age Experience Hall that will satisfy the requirements thereof and the space composition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three exhibition halls having already been operated were analyzed examining closely the current facing issues in this aging society and also investigating the aging process related to physical functions of older adults. Based on those analyses, this study was aimed to prepare an efficient and systematic theoretical foundation for planning space composition of the Old Age Experience Hall further having extracted basic directions for design from, which should be meticulously considered and reflected so as to make the Old Age Experience Hall function properly.

  • PDF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격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Digital Divide'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강인서;김혜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33-352
    • /
    • 2020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에서 다뤄지는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관련 4개 학술지에서 발행한 195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해당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대상(11개 하위 범주), 연구목적(4개 하위 범주), 연구방법(4개 하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것을 저자 키워드와 함께 패스파인더 알고리즘을 적용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취약계층(연구대상) 중 장애인, 다문화가정,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79.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 요인 연구 (A Study on Key Influencing Factors in Smart Grid Consumer Engagement)

  • 김현제;박지현;박찬국
    • 정보화정책
    • /
    • 제19권1호
    • /
    • pp.91-106
    • /
    • 2012
  • 스마트그리드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수용성 확보라는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소비자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나가야 한다. 결국 최종 소비자가 스마트그리드 제품 및 서비스를 받아들이느냐 여부에 따라 스마트그리드의 확산이 달려 있기 때문이다. 아직 국내에서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 요인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사례가 없는 가운데, 본 연구는 기존 스마트그리드 수용성 요인에 대한 검토를 통해 스마트그리드 수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수용요인으로 금전적 편익, 친환경성, 사이버 보안, 이해도 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중심의 스마트그리드 교육 및 홍보, 환경 친화적 제도와 연계, 스마트그리드 사이버보안 강화 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수용성 관련 실증분석을 시행함에 있어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스마트그리드 소비자 세분화 연구에 있어서도 주요 이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 PDF

온라인 정치참여에서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 디지털 기기 이용자의 기기 운용 기술 격차를 중심으로 (Impact of Digital Divide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With Focus on the Gap of Operational Skills of Digital Device Users)

  • 장창기;성욱준
    • 정보화정책
    • /
    • 제27권1호
    • /
    • pp.36-5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 이용을 위한 동기와 운용 기술 차원에서의 디지털 정보격차가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2018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터넷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표본선택의 편의를 통제하기 위해 Heckman 선택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개별 시민들이 원하는 활동을 하기 위한 동기와 기기 운용 기술에 있어서의 격차는 온라인 정치참여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또한 사회경제적 수준에서 연령, 교육수준 및 지역적 요인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만, 성별 및 소득수준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간 정보격차의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즉, 모바일 기기 이용자의 경우에는 디지털 기기 이용 동기가, 개인용 컴퓨터 이용자의 경우에는 기기 운용 기술이 중요한 요인으로 식별되었다.

유아교육 정보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결정요소 - 사용자 저항성의 관점으로 - (The Determinants for the Preschool's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s: User Resistance Perspective)

  • 최재원;장지화;김범수
    • 정보화정책
    • /
    • 제21권1호
    • /
    • pp.77-98
    • /
    • 2014
  • 최근 저출산 노령화 등의 사회 현상으로 출산 및 육아 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유아 교육에 대해 정부 및 기업, 가정 등의 이해관계자들은 제도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유아 교육 지원체계 기반 강화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은 유아교육 업무의 효율화 및 교육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정부 차원의 목표 설정에 비하여 향후 시스템 도입 이후 실질적으로 사용할 유치원 교원의 인식에는 인식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종합정보시스템 도입 전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확인 하였다. 연구 결과로 예상되는 성과, 사회적 영향, 예상되는 노력, 심리적 비용이 사용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제시되었다. 또한 사용자 특성 변수 중 근무기관 유형과 컴퓨터 활용 능력 정도에 따라 예상되는 노력과의 관계에서 사용자 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 시스템의 실제 사용자와 관련된 저항 요인들을 극복하고 시스템 도입 이후 전체 유치원들의 시스템 사용 기회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실질적 정책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