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ice of career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3초

의료경영계열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직업선택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upational Value and Job Choice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Healthcare Management)

  • 김도희;이정원
    • 서비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106-117
    • /
    • 2021
  • 본 연구는 의료경영계열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직업선택의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자가 보고식 설문 조사법을 이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3곳의 의료경영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139부의 유효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업가치가 병원 원무·행정직으로의 직업선택에 있어 사회헌신과 안정추구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직업가치가 의무기록사로의 직업선택에 있어 사회헌신과 안정추구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업가치가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로의 직업선택에 있어 인간관계중심과 체면유지, 안정추구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업가치가 보건교육사로의 직업선택에 있어 사회헌신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를 비교한 결과, 성별의 경우 지식추구와 사회헌신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사회헌신, 안정추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유·무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의 경우 경제우선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경영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서 전문 의료경영인으로서 직업사회로의 첫발을 내딛기 위해 준비하는 의료경영계열 대학생들이 직업가치 인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직업선택에 있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교사 희망 학생의 진로 특성: 의사 희망 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Career Maturity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eaching Job in Comparison t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being a Doctor)

  • 백선희;허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10
    • /
    • 2020
  • 이 연구는 교직 희망 학생의 진로 특성(자기 이해, 진로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을 의사직 희망 학생과 비교하여 진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학생 자료를 분석, 교직 희망 학생과 의사직 희망 학생을 추출하고, 이들의 진로 특성을 비교하고 아울러 학년별 추이를 진단하였다. 연구결과, 진로 특성의 하위 영역인 '자기이해'와 '진로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교직 희망 학생은 의사직 희망 학생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장래 희망 직업에 관계없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 특성의 하위 영역의 점수가 낮아지고 있었고, 모든 학년에 걸쳐 의사 희망 학생에 비해 교직 희망 학생의 하위 영역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1-2학년에만 측정된 '일에 대한 태도' 점수는 의사 및 교직 희망 학생 모두 다른 하위 영역 점수에 비해 낮게 나타나 중학생들이 바람직한 직업 가치에 기반하여 장래 희망 직업을 정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연구결과에 바탕하여 바람직한 교직 희망 학생을 유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패션 전공 대학생의 취업정보 탐색과 취업관련 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ocational Information Search and Vocational Choice Anxiety of Senior Fashion Students)

  • 최은영
    • 복식
    • /
    • 제61권8호
    • /
    • pp.127-14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regarding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of senior fashion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and vocation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senior fashion students. And this study also intended to analyse vocational choice anxiety factors and its relationship with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261 senior fashion students at eleven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imension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of fashion student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judgement of eligibility to apply for the job & company, information of work environment, information of fashion company that has the potential to hire them, information of level of compensation, stability of employment and promotion, and information of kind of job & job roles in the fashion field. Second, the senior fashion students faced few obstacles obtaining vocational information such as insufficient online vocational information, difficulties in discovering the sources of vocational information and time restriction for job search & career indecision. Third, the fashion students perceived diverse anxieties about making vocational choices. The survey identified five categories of the anxieties; anxiety about adapting to new job environment & recruiting process of the fashion company, anxiety about too heavy workload, anxiety about stability of employment & level of compensation, anxiety about lack confidence of their ability to do the job and anxiety about ability in English & th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choice anxiety and requirement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This result proved providing vocational information relieves anxiety about getting a job.

한국판 학생진로구성검사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K-SCCI))

  • 박지연;조경덕;심호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91-40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Savickas 등(2018)이 개발한 학생진로구성검사(Student Career Construct Inventory, SCCI)를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학생진로구성검사(K-SCCI)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5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항의 내용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준거타당도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문항의 내용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K-SCCI는 4요인 모형과 18문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요인은 직업적 자기개념 구체화, 직업탐색행동, 진로결정, 직업훈련으로 명명하였다. 4요인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생진로구성은 취업불안과는 부적상관을 진로적응력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amongst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영희;김경은;최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23-123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3명이다.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직관적 의사결정, 의존적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식성숙에서 스스로 진로를 정하는 진로독립성, 진로관여성은 높은데 비해 직업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진로타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는 2, 3학년에 비해 1, 4학년이 진로결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도 상류층은 하류층에 비해 진로결정성이 높았으나 진로독립성은 낮았다.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집단이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집단에 비해 진로독립성이 높고 직업 선택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의 차이를 보여 진로지도에서 의사결정유형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으며, 더불어 대학교 취업교육현장에서 진로의식성숙을 함양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직장여성고객의 패밀리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Restaurant Choice Attributors of Female Has Job)

  • 이재련;송기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36
    • /
    • 2003
  • Women customer is one of main target of Family restaurant as known. In addition, they are powerful consumer group now days. According to the social variation, to expand to participation to career opportunity not only unmarried but also married women and increase to single female household make women more expend money and go out to eat. So, this study is examined family restaurant choice attributor of women customer depends on status of marriage, scale of household and age. It will be contributed to Family restaurant industry to segment of their women customer by neo-demographic variables be reflected with social variations.

  • PDF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나타난 부각요인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Procedures of Becoming a Scientist)

  • 장경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31-1142
    • /
    • 2004
  •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드러난 부각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 면담자의 83%는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과학자들은 진로선택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관심을 중요시하였으며 동시에 왜 흥미를 느끼는지에 대한 이유를 명확히 진술하였다. 학교 성적은 87%의 과학자가 초 중 고등학교 전체 성적이 상위 10%이내에 들었다. 가정환경에서는 부모의 영향이 가장 부각되었는데, 특히 진로에 대해 조언을 한 아버지의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학교환경에서 가장 부각된 요인은 교사였다. 특히 과학교사의 수업과 대학 교수의 영향이 중요하게 언급되었다. 고등학교 3학년에 진로를 결정한 경우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영향이, 대학교 1학년 이후에 진로를 결정한 경우는 대학교 교수의 영향이 부각되었다. 사회문화적 환경에서는 미래 직업 기회와 관련된 사회적인 전망이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연령이 젊을수록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전망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물리학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이, 화학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전망이, 생물학자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다양한 요인들이, 공학자는 아버지의 조언과 사회적인 전망이 부각되었다. 그리고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 제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해야하는 고등학교 3학년과 대학교 1학년말에 진로를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과학자들은 현재의 진로를 선택하면서 자신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다. 내부적 요인으로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하도록 한 것에는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대학교수의 역할이 관련되었으며, 외부적 요인인 사회적인 전망은 아버지가 진로에 대해 조언한 것과 관련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수한 과학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할 기회, 과학자와 과학적 연구 활동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인식과 전망의 제시, 우수한 능력을 지닌 교사와 교수의 확보,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등이 이뤄질 수 있는 과학교육적 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치기공과 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연관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 강월;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job seeking stres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Method: For this, the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daegu and daejeon and wonkwang university selected at May 2016. A question investigation was used in a entry method of self-estimation. Furthermore a total of 151 person was used as final analysis data. Sta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22.0. An analysis of frequency,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Results: Firstly,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Job Seeking Stress(p<.05). Secondly, sex, Score, Major satisfaction,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5). Thirdly,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the Job Seeking Stres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hoice target). Conclusion: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when increased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Job Seeking Stres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decreased. So the study proved that when helping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is important to decreased their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간호활동 참여도,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Association of nurs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ith career maturity during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한서영;곽수진;최보경;전형주;이명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7-3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association of nurs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with career maturity during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01 nursing college students located in nationwide region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tween July 18 and August 8, 2019.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through an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5.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e ra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see which critical factors influenced career matur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were preference for clinical nursing, admission to nursing college due to belief, time off, and being satisfied with clinical practice. Regarding clinical practice stress, clinic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flict, inappropriate role model and conflict with pati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areer maturity, nursing colleges and training fields should collaboratively make an efforts to reduce students' stress by building educational clinic environments including managing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patients, caregivers, and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and improving inappropriate role models in nursing.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 - 교육과정 및 진로교육 측면 - (A Study of the Enhancing Educational Capacity of General High-school in Gyeongsangbuk-do : Focusing on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 권동택;김정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25-45
    • /
    • 2014
  • 최근 고교체제가 다양화되었지만, 일반계 고등학교(이하 일반고)가 상대적으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경상북도 일반고 발전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 발전을 위한 공감대 형성, 일반고의 교육적 책무성 강화, 실질적인 교육과정 자율화 보장,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의 다양화 추구, 교육과정과 진로교육의 통합화, 교사 확보 및 배치의 탄력적 운영 등의 전제가 필요하며, 진로직업교육 측면에서 학생들의 진로, 적성, 흥미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심층적인 진로직업지도를 위한 단위 학교 및 지역사회의 노력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단위 학교에서 학생들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과목 선택권이 보장되고 있는지는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일반고 교육과정의 정상화는 곧 자연스러운 진로교육의 내실화의 방향이 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