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Vocational Information Search and Vocational Choice Anxiety of Senior Fashion Students

패션 전공 대학생의 취업정보 탐색과 취업관련 불안에 관한 연구

  • 최은영 (영산대학교 문화산업대학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6.10
  • Accepted : 2011.09.0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regarding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of senior fashion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and vocation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senior fashion students. And this study also intended to analyse vocational choice anxiety factors and its relationship with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261 senior fashion students at eleven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imension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of fashion student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judgement of eligibility to apply for the job & company, information of work environment, information of fashion company that has the potential to hire them, information of level of compensation, stability of employment and promotion, and information of kind of job & job roles in the fashion field. Second, the senior fashion students faced few obstacles obtaining vocational information such as insufficient online vocational information, difficulties in discovering the sources of vocational information and time restriction for job search & career indecision. Third, the fashion students perceived diverse anxieties about making vocational choices. The survey identified five categories of the anxieties; anxiety about adapting to new job environment & recruiting process of the fashion company, anxiety about too heavy workload, anxiety about stability of employment & level of compensation, anxiety about lack confidence of their ability to do the job and anxiety about ability in English & th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choice anxiety and requirement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This result proved providing vocational information relieves anxiety about getting a job.

Keywords

References

  1. 박선희 (2010. 10. 11), "패션 업계 인력 수급 구멍", 어패럴뉴스, p. 2.
  2. 박동렬, 김대영 (2006),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직업교육연구, 26(1), pp. 1-32.
  3. 윤명희, 신현순, 서희정 (2010), 대학생의 직업세계 인식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9(4), pp. 305-327.
  4. 박가열 (2009),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진로교육연구, 22(2), pp. 181-198.
  5. 윤명희, 신현순, 서희정 (2010), 대학생의 직업세계 인식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9(4), p. 317.
  6. 안선영, 이용환, 양안나, 금지헌 (2008), 항구대학교 환경교육과 학생들의 진로 전망인식과 진로준비 고찰, 환경교육, 21(1), pp. 82-96.
  7. 박기문, 이규녀 (2009),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pp. 103-127.
  8. 박동렬, 김대영 (2006),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직업교육연구, 26(1), p. 27.
  9. 유은정 (2003), 청년 실업 장기화에 따른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40.
  10. 김병숙, 박현주 (2007),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직업정보요구도 분석, 진로교육연구, 20(3), pp. 149-171.
  11. 오성환 (2010), 직업정보론, 서울: 고시각, pp. 5-7.
  12. 서지윤 (2008), 대학졸업예정자의 취업불안과 취업처선정 기준 간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13. 박현주 (2007),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정보요구도,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2-54.
  14. 박현주 (2007),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정보요구도,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9.
  15. 서지윤 (2008), 대학졸업예정자의 취업불안과 취업처선정 기준 간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8-29.
  16. 진미석, 정혜령, 이수영 (2010), 국내 4년제 대학의 진로개발지원 현황과 과제, 진로교육연구, 23(1), pp. 135-152.
  17. Schwab, D. P., Rynes, S. L., & Aldag, R. J. (1987), Theories and research on job search and choice,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5, pp. 129-166.
  18. Blau, G. (1993) Furthe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 and voluntary individual turnover, Personnel Psychology 46(2), pp. 313-330.
  19. 장재윤 외 (2003), 대학 졸업예정자들의 직업탐색행동,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 논문집, pp. 183-184.
  20. 노연희, 장재윤 (2005), 대학 졸업자들의 진로 미결정 및 직업 탐색행동이 개인 -직무 적합과 개인-조직 적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4), pp. 23-43.
  21. 박기문, 이규녀 (2009),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pp. 118-119.
  22. 서지윤 (2008), 대학졸업예정자의 취업불안과 취업처선정 기준 간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
  23. 조민제 (2010),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취업불안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p. 16.
  24. 서지윤 (2008), 대학졸업예정자의 취업불안과 취업처선정 기준 간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25. 조민제 (2010),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취업불안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p. 17.
  26. Hawkins, J. G., Bradely, R. W., & White, G. W. (1977), Anxiety and the process of deciding about a major and voc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5), pp. 398-403. https://doi.org/10.1037/0022-0167.24.5.398
  27. 유은정 (2003), 청년 실업 장기화에 따른 고학력자의 진로행동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40.
  28. 서지윤 (2008), 대학졸업예정자의 취업불안과 취업처선정 기준 간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8-41.
  29. 손은령 (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
  30. 장재윤 외 (2004), 대학 4학년생의 구직 행태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pp. 145-165.
  31. 박미경, 이현림 (2008), 진로 장벽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5), pp. 239-259.
  32. 이현정, 김기석 (2008), 성격적 특성이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산학경영연구, 21(1), pp. 51-71.
  33. 노연희, 장재윤 (2005), 대학 졸업자들의 진로 미결정 및 직업 탐색행동이 개인 -직무 적합과 개인-조직 적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4), p. 31.
  34. 박기문, 이규녀 (2009),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p. 113.
  35. 이필재, 송지원, "CEO 신세대와 통하라", 자료검색일 2011. 5. 12, http://blog.naver.com/jumpplus?Redirect=Log&logNo=20127674331
  36. 전미옥, "신세대를 뛰게 해야 조직이 난다", 자료검색일 2011. 5. 12, http://blog.naver.com/ecooh?Redirect=Log&logNo=60131708818
  37. 박동렬, 김대영 (2006),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직업교육연구, 26(1), p. 12.
  38. 윤명희, 김진화, 윤현희, 박성실 (2006), 대학의 산학협동 인턴쉽 프로그램 평가, 직업교육연구, 25(3), pp. 183-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