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day-care center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9초

보육시설의 영양사 배치를 통한 영양교육 및 효과 평가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in Child Care Centers)

  • 장혜자;고은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9-30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ith nutrition services provided by dietitians who were placed in child care facilities from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For this, we investigated the levels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s of children who attended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dietary practices of children assessed by their parents. The treatment for children consisted of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that are provided by the dietitian who have 3 to 5 years experience. Nutrition education was implemented during 10 weeks, 20 times, and a total 400 min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y questionnaire. Data were obtained for 123 children aged 4 to 5 years old who attended four child-care centers, one for a control group and 3 for intervention groups. Dietary intak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one-serving size and plate waste a of child for one-day dietary records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levels of nutrition knowledge of children improved showing 70.80 points before to 83.45 points after nutrition education (p<0.001). Dietary intakes of the children after nutrition service increased significantly on cooked rice (133.66 g), Kimchi (19.41 g), side dish of meat/fish (48.40 g), and side dish of vegetables (24.88 g). Dietary practices of children after treatment also improved especially 'eat diverse meat, fish, egg, and bean' and 'never leave plate waste'. To summariz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nutrition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had influences on increases of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intake, and dietary practices. Therefore, placement of dietitians needs to extend to child care facilities from the 100 persons-over-capacity facility to the 50 persons-over-capacity facility, for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 such as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counseling.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환경의 인식 차이 (The Differ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by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형근혜;박옥임;강희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5-298
    • /
    • 201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of the working environment relate to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ried teach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job itself, supervision, and colleague relations compared to teachers who are not married. Teachers with certificate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job itself compared to teachers without certificates. Second, teachers's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alary, welfare, and colleague relations. Also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correlated with responsibility in the case that teachers have a good relation with their principal and child-care parent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consider substitute teachers, vacation systems, day care systems, compliant with the ratio of teacher and children, job security, order of legal status as important. With regard to external compensation, teachers want salary increase, payment on overtime labor, flexible work-time, use of both full-time and part-time teachers, expan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increase on purchasing cost for textbooks and materi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practical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환아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의 질과 간호사의 간호 업무 만족과의 상관 관계 (The Correlational Study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Nursing Quality and Nurses's Satisfation in their Patient Care)

  • 윤혜봉;조결자
    • 대한간호
    • /
    • 제34권1호
    • /
    • pp.60-73
    • /
    • 1995
  • We carried out this study for recognizing the staue of child inpatient nursing and providing child inpatient with better qualified nursing. We study this research from March 29, 93 to April 23, 93 to April 23, '93. First admission day in hospital, we ask 50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 inpatient about the value of nursing and self-consciousness of mothers, also ask 10 nurse in charge about the satisfaction of tending child inpatient Two times-third admission day in hospital and leaving day, we inquired mothers the value of nursing of mothers by inquiry papers, each measurement was made up of five indexes. The result of research was as follow: 1. The subjects of research had following peculiarities. Average age : 2.5 years 0~ 1 years : 32.0% Baby girl : 56.0% first baby : 58.0% Experienced inpatient : 52.0%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times was 1~2 times : 61. 5% The average period of hospitalization : 7 days Infected inpatient with respiratory organ disease : 40.0% The mother's average age of child inpatient : 30.5 years Mother's who finished high school : 90.9% Family that income about 600,000-700,000 won : 32.0% Mothers who belived an religion : 50.0% 2. As hospitalization time goes by, mothers gradually failed to recognize the value of nursing. 3. Self-estimated tending satisfactions have no connection with the value of nursing that mothers recognized. 4. The value of nursing was effected by mothers own personnality-salf-consciousness car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academic background & religoin. So, we find out that the value of nursing had no connection with satisfaction of tending. Nurses must make every effort to provide child inpatient with nursing of good quality, that mothers confirm and nurses satisfy themselves. Also, we hav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ome and school education, because these education have a great influence upon mother s self-consciousness.

  • PDF

어린이집의 교사전문성 지원환경이 초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직무수행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t a Day Care Center on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Their Work Task Motivation)

  • 조아영;김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13-138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t workplace day care centers on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eginning teachers'work task motivation on that relationship.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9 new teachers currently employed at workplace day care centers. The Current Status for Professional Competence was used to measur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assesses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s. To measure the work task motivation, the Work Tasks Motivation Scale for Teachers was used. Results: First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between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motivation. However, there were also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introjected motivation and amotivation. Secondly, this study partiall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eginning teachers'work task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was mediated by the teachers'own intrinsic motivations, identified motivations, and amotivation.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반응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ther's Verbal Response Types to Her Young Children)

  • 윤혜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9-220
    • /
    • 2013
  •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six mothers to analyze their verbal response types with their young children ages 3-5 attending day-care center. This study was done from 10AM. to 12PM. August 18th 2012 at the director's room at P day care center in Seoul.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four situations mothers experience in child-rearing have been selected: self-achievement, sibling quarrel, nagging and isolation. As for the interview questionnaires the four verbal response types-stimulating, problem-solving, critical and indifferent ones-have been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others tend to use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praise in the situation of self-achievement; problem-solving response types like command in the situation of sibling quarrel; problem-solving response types like warning in the situation of nagging; and lastly, stimulating verbal response types like empathy in the situation of isolation. Mothers need to form more empathy with their children in such difficult situations as sibling quarrel or nagging. For mothers' efficient verbal responses for their children, accordingly, empathy in parent education needs to be more emphasized.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Job Performing Abilities from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전윤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0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놀이지도", "신체 예술활동지도", "언어, 수 과학활동지도", "건강 안전 영양지도"의 일곱 가지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 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 어려움과 적응 프로그램 요구도 (Difficulties of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 in Raising Children and Needs for Adaptation Program -)

  • 현은애;나종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75-68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needs for adaptation program of married immigrant women raising childre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7 Day care centers in Guemsan County, Chungnam Province. 20 senior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nd 58 mothers who had immigrated into Korea by international marriage were asked to complete a packet of questionnaire designed by researchers for this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0 senior teachers and 6 mothers who could communicate in Korea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OVA, and cross-section analysis. The outcome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entire married immigrant women's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s at Guemsan area was 102 persons. 2) Immigrant mothers felt that the lack of thei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makes them difficult in raising children in Korea, whereas the day care teachers felt tha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was delayed. 3) According to the survey of adaptation program a for married immigrant women's children, there was few program at the time of survey, only two daycare centers conduct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once or twice a year. Teachers requi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grievance counseling (?) for the mothers. Immigrant mothers requir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경기 지역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운영관리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t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 Area)

  • 손춘영;박희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77-586
    • /
    • 2011
  • 본 연구는 경기 지역 보육시설 시설장을 대상으로 급식운영 관리의 전반적인 실태를 시설유형별로 분석하여 영유아 보육시설의 실제적인 급식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장은 여성이 97.1%로 대부분이었으며, 학력은 전문대졸 이상이 80.2%로 높은 편이었다. 운영기간은 5년 이하(72.2%)가 가장 많았는데, 특히 가정보육시설이 83.7%로 최근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원아 수는 20명 이하(52.5%)가 가장 많았고 국 공립의 75.0%, 민간시설 84.0%, 가정보육시설 100.0%가 원아 100인 이하 시설이었다. 영양사 고용은 8.8%로 매우 낮았으나, 조리사 56.9%, 조리원은 35.6% 고용하고 있었고 시설별 차이(p<0.001)를 보였다. 2. 급식은 직영이었으며, 급식 횟수는 1회가 77.2%로 가장 많았으며, 간식은 대부분 2회 제공(89.2%)이었고, 1일 평균 급식비는 1,877원으로 유형별 차이는 없었다. 3. 조리실은 97.0%가 갖추었으나, 식당은 4.0%에 불과해, 배식은 88.7%가 교실에서 이루어져 위생관리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식품보관 창고는 29.7%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국 공립 55.0%, 가정보육시설 24.6%, 민간시설 20.8% 였다(p<0.001). 4. 식단은 94.1%가 주기적으로 작성하였으나 보육정보센터 이용이 47.1%로 가장 많았으며, 식단작성시 메뉴에 대한 정보 또한 보육정보센터 이용(86.4%)인 것으로 나타나, 보육정보센터의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식단작성시 고려사항으로는 영양적 균형이 86.2%로 높았다. 급식생산에 표준레시피는 38.0%가 사용하고 있었고 국 공립이 68.4%로 가장 많았고 민간시설 37.5%, 가정보육시설 28.1%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5. 식재료 구매는 시설장(86.7%)이 주로 담당하였고 조리사(10.2%), 영양사(3.1%)의 순이었다(p<0.001). 구매 방법은 직접 구매 방식이 85.7%로 대부분이었고, 수의계약은 5.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구매 횟수는 매일(36.0%), 주 2~3회(32.0)%, 필요할 때마다(18.0%), 주 1회 (14.0%)의 순으로 매일 구매가 가장 많았다(p<0.05). 6. 조리기구 중 전자레인지(92.2%), 믹서기(83.3%)의 보유율은 높았으나, 오븐(36.3%), 토스터기(27.5%), 튀김기(19.6%)의 보유정도는 낮았다. 위생기구에서는 정수기는 전체의 90.2%대부분의 시설에서 갖추고 있었으나 식기세척기는 37.3%만이 갖추고 있었고 칼도마 소독고와 자외선 식기소독고의 보유율은 시설유형별 차이가 있었다(p<0.01). 손전용 세정대는 52.9%가 보유하고 있어 개인위생을 위해 확대 설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적온급식을 위한 보온/보냉고는 37.3%에 불과하였고 특히 보존식 전용 냉동고는 36.3%로 국공립(70.0%), 민간시설(40.0%), 가정보육시설(22.8%) 순으로 유의적인(p<0.001) 차이가 있었는데, 급식위생기기 보유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경기 지역의 보육시설은 2010년 현재 11,373개로 전체 보육시설의 29.6%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보다 많은 시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해서 결과의 해석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최근 가정보육시설의 급속한 증가에 비해 급식운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앞으로 보육시설의 규모와 특성, 시설유형에 따른 운영방식을 고려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

  • 김현정;황혜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5-97
    • /
    • 2019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1명이며,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를 물어보는 설문지와 교수효능감 척도이다.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동료장학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며 매우 필요하고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동료장학의 주된 관점을 교수 및 학습방법에 두는 교사가 일반효능감이 높았다. 어린이집의 동료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을 받은 횟수와 해준 횟수가 높은 교사와 동료장학을 2주에 1회 정도 실시할 때, 주로 원감에 의해서 실시될 때, 일대일 중심보다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이 많이 실시될 때 교사의 개인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료장학 활성화를 통한 교사효능감 향상과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rivate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nfant's Right Respect Care)

  • 조신숙;김정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0
    • /
    • 2018
  • 본 연구는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차이와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을 효과적으로 실행 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28명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김선희(2012)의 임파워먼트와 신현주 (2016)의 직무만족도, 김진숙(2009)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등이다. 연구결과 첫째,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수준은 교사의 경력, 월 급여, 결혼유무, 이직의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연령, 경력, 결혼유무, 근무기관 유형, 교사수, 학급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차이에서는 교사의 연령, 결혼 상태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둘째,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간의 관계에서는 모든 하위 요인 간에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직무만족도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간의 관계에서는 직무만족도의 보수와 승진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 모두에서 영유아 권리존중보육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 전문성신장과 자율성 요인이,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중 동료관계와 직무자체 요인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