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 Received : 2019.07.30
  • Accepted : 2019.09.1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y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the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s,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and the quality educare. Methods: The subjects were 301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who are working at public, private, workplace and home daycare centers. The instruments used were questionnaire concern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s, and the teacher efficacy instrument. Results: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peer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pti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need and satisfaction, and sub-area of the main view. And,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numbers received, gave and implementated, the implementators, and the type of peers' supervis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can be a clear benefit for stimulating peer's supervision. This study can greatly benefit the quality of day care service and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1명이며,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를 물어보는 설문지와 교수효능감 척도이다.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동료장학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며 매우 필요하고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동료장학의 주된 관점을 교수 및 학습방법에 두는 교사가 일반효능감이 높았다. 어린이집의 동료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을 받은 횟수와 해준 횟수가 높은 교사와 동료장학을 2주에 1회 정도 실시할 때, 주로 원감에 의해서 실시될 때, 일대일 중심보다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이 많이 실시될 때 교사의 개인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료장학 활성화를 통한 교사효능감 향상과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규민(2017). 동료장학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정(2001).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 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옥예(2001). 초등교사의 동료장학에 대한 지각이 교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윤희(2016). 유아교육기관내 자율장학 실태와 교사 효능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영(2007). 유치원 동료장학 실태와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휘경(2006). 동료장학실행수준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발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막숙(2003). 유치원 교사 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동료장학의 요구도 조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소연(2007).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의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옥상(2000). 수업연구중심동료장학이 교사의 성취 동기와 교수능력 및 아동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해미,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근무유형, 자격, 경력, 연령에 따른 장학 요구 유형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137-153.
  11. 신경희(1999). 동료장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안양시내 시립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미영(2013). 어린이집 동료장학 실태 및 요구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엄영희(2007). 전국공립단설유치원의 동료장학실태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분려(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순이(1995). 유치원 동료장학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 개선 방향에 대한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민(2014). 유치원의 동료장학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윤식(1999). 장학론: 유치원.초등.중등 자율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19. 이윤식(2001). 학교경영과 자율장학. 서울: 교학과학사.
  20. 이지영(2019).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에 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9(3), 455-475. doi:/10.22251/jlcci.2019.19.3.455
  21. 임명숙(2001). 유치원 동료장학의 적용과 적용상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임성택(2011). 교사효능감. 서울: 강현출판사.
  23. 정성남(2006). 유치원의 교내 및 동료장학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조성연, 강재희(2007).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및 보육시설 내 장학에 대한 현황과 보육시설장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1(2), 405-418.
  25. 하은옥(2002). 유아교육기관의 동료장학 실행수준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doi:10.1177/002248718403500507
  27. Ashton, P. T., Webb, R. B., & Doda, N. (1983). A study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inal report, executive summary.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contact (Document Reproduction Series No. ED 231 833).
  28.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doi:10.1037/0022-0663.76.4.569
  29. Hammersley-Fletcher, L., & Orsmond, P. (2004). Evaluating our peers: Is peer observation a meaningful process?.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9(4), 489-503. doi:10.1080/0307507042000236380
  30. Mento, A. J., & Giampetro-Meyer, A. (2000). Peer observation of teaching as a true developmental opportunity. College Teaching, 48(1), 28-31. doi:10.1080/87567550009596087
  31. Newell, S. T. (1996). Practical inquiry: Collaboration and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refor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6), 567-576. doi:10.1016/S0742-051X(96)00001-7
  32.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33.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doi:10.1016/S0742-051X(01)000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