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tles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미기록 방아벌레 6종(딱정벌레목, 방아벌레과)의 보고 (New Records of Six Click Beetles (Coleoptera, Elateridae) in Korea)

  • 한태만;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29-537
    • /
    • 2016
  • 방아벌레과에 속하는 한국 미기록 6종을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땅방아벌레아과(Agrypninae)의 Lacon altaicus ($Cand{\acute{e}}ze$, 1882) [앞가슴혹방아벌레(신칭)]; 주홍방아벌레아과(Denticollinae)의 Diacanthous undulatus DeGeer, 1774 [물결날개방아벌레(신칭)], Liotrichus ligneus ($Cand{\grave{e}}ze$, 1879) [넓적가슴방아벌레(신칭)], Aplotarsus imperceptus Gurjeva, 1987 [민가슴방아벌레(신칭)], Prosternon aurichalceum Stepanov, 1930 [모진방아벌레], Anostirus (Anostirus) castaneus castaneus (Linnaeus, 1758) [끝검은먹무늬방아벌레(신칭)]. 이들 중 3속(Diacanthous, Liotrichus 및 Aplotarsus)는 국내 미기록 속으로 보고한다. 이전 기록종인 Prosternon tessellatum Linnaeus, 1758은 P. aurichalceum의 오동정으로 국내 곤충상에서 삭제할 것을 제안한다.

단자엽 식물아강(관속식물문 : 피자식물강)의 잡초 가해 곤충상 (Phytophagous Insect Fauna of Monocotyledoneae (Tracheophyta : Angiospermae) Weeds)

  • 추호렬;우건석;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0-173
    • /
    • 1992
  • 단자엽식물아강의 잡초가해 곤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각도를 전자형으로 나누어 교차지점인 9개지역을 중심으로 각도에서 무작위로 실시한 결과 잡초로는 벼목에서 14속 14종이 채집되었으며 분질배유목에서 1종, 백합목에서 1종등 17속 17종이 채집되었다. 이들을 가해하는 곤충으로는 5목 13과 27속 36종이 채집되었는데 메뚜기류와 노린재류 및 풍뎅이와 잎벌레가 빈번하게 채집되었고 5종은 미동정 되었다. 그중 닭의장풀에서 노란배남색잎벌레의 가해능력이 우수하였고 강아지풀에서 Oulema dilutipes 잎벌레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그리고 골프장의 닭의장풀에서 채집된 다색풍뎅이는 가해능력은 우수하였으나 잔디와 수목해충으로 이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바람직하지못하였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erine Protease (CPM-2) with Fibrinolytic Activity from the Dung Beetles

  • Ahn, Mi-Young;Hahn, Bum-Soo;Ryu, Kang-Sun;Hwang, Jae-Sam;Kim, Yeong-Sh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7호
    • /
    • pp.816-822
    • /
    • 2005
  • Catharsius protease-2 (CPM-2) was isolated from the body of dung beetles, Catharsius molossus, using a three step purification process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gel filtration on Bio-Gel P-60, and affinity chromatography on DEAE Affi-Gel blue). The purified CPM-2,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4 kDa, was assessed homogeneously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of CPM-2 was composed of X Val Gin Asp Phe Val Glu Glu lie Leu. CPM-2 was inactivated by $Cu^{2+}\;and\;Zn^{2+}$ and strongly inhibited by typical serine proteinase inhibitors such as TLCK, soybean trypsin inhibitor, aprotinin, benzamidine, and ${\alpha}_1$-antitrypsin. However, EDTA, EGTA, cysteine, $\beta$-mercaptoethanol, E64, and elastatinal had little effect on enzyme activity. In addition, antiplasmin and antithrombin III were not sensitive to CPM-2. Based on the results of a fibrinolytic activity test, CPM-2 readily cleaved $A{\alpha}-$ and $B{\beta}$-chains of fibrinogen and fibrin, and y-chain of fibrinogen more slowly. The nonspecific action of the enzyme resulted in extensive hydrolysis, releasing a variety of fibrinopeptides of fibrinogen and fibrin. Polyclonal antibodies of CPM-2 were reactive to the native form of antigen. The ELISA was applied to detect quantities, in nanograms, of the antigen in CPM-2 protein.

Entomological approach to the impact of ionophore-feed additive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pasture land in cattle

  • Takahashi, Junichi;Iwasa, Mitsuhir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1호
    • /
    • pp.16-24
    • /
    • 2021
  • The suppressive effect of monensin as an ionophore-feed additive on enteric methane (CH4) emission and renewable methanogenesis were evaluated. To clarify the suppressive effect of monensin a respiratory trial with head cage was performed using Holstein-Friesian steers. Steers were offered high concentrate diets (80% concentrate and 20% hay) ad libitum with or without monensin, galacto-oligosaccharides (GOS) or L-cysteine. Steers that received monensin containing diet had significantly (p < 0.01) lower enteric CH4 emissions as well as those that received GOS containing diet (p < 0.05) compared to steers fed control diets. Thermophilic digesters at 55℃ that received manure from steers fed on monensin diets had a delay in the initial CH4 production. Monensin is a strong inhibitor of enteric methanogenesis, but has a negative impact on biogas energy production at short retention times. Effects of the activity of coprophagous insects on CH4 and nitrous oxide (N2O) emissions from cattle dung pats were assessed in anaerobic in vitro continuous gas quantification system modified to aerobic quantification device. The CH4 emission from dungs with adults of Caccobius jessoensis Harold (dung beetle) and the larvae of the fly Neomyia cornicina (Fabricius) were compared with that from control dung without insect. The cumulative CH4 emission rate from dung with dung insects decreased at 42.2% in dung beetles and 77.8% in fly larvae compared to that from control dung without insects. However, the cumulative N2O emission rate increased 23.4% in dung beetles even though it reduced 88.6% in fly larvae compared to dung without coprophagous insects. It was suggested that the antibacterial efficacy of ionophores supplemented as a growth promoter still continued even in the digested slurry, consequently, possibl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with the antibiotics might be active to put the negative impact to land ecosystem involved in greenhouse gas mitigation when the digested slurry was applied to the fields as liquid manure.

몇 가지 한약재 추출물이 곤충병원성선충과 누에 및 먼지벌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on Entomopathogenic Nematodes, Silkworm and Ground Beetles)

  • 이동운;최현철;김태수;박종균;박정찬;유황빈;이상명;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35-345
    • /
    • 2009
  • 살선충 활성을 지닌 4종의 약용식물 원화(팥꽃나무: Daphne genkwa), 정향(Eugenia caryophyllata), 사군자(Quisqualis indica) 및 건강(생강: Zingiber officinale)과 살비활성을 가진 흑축(나팔꽃: Pharbitis nil), 창이자(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 청주항(된장풀: Desmodium caudatum)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적 미생물인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계통(ScP)과 Heterorhabditis sp. 경산계통(HG)], 유용곤충인 누에(Bombyx mori) 및 환경지표종인 먼지벌레(Synuchus sp.)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내 X-plate에서 한약재 추출물 5,000 ppm 처리에서는 원화의 경우 두 선충 모두 처리 3일 후 100% 치사되었고, HG는 정향과 사군자 처리에서 100% 치사되었다. 1,000 ppm농도에서는 두 선충 모두 처리 2일 후까지 10% 이하의 낮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원화 처리에서 HG선충이 62.8%의 치사율을 보였다. Sand column 검정에서 1,000 ppm 농도의 한약재 추출물 처리는 ScP 선충의 생존과 병원성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G선충은 정향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낮은 병원성을 보여 0.5마리의 꿀벌부채명나방 유충만을 치사시켰다. 원화, 정향, 사군자, 흑축, 창이자, 건강이 누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원화 추출물을 처리한 뽕잎을 급상한 처리구에서는 급상 3일 후에 20%의 치사율을 보였고, 10일째에는 모든 누에가 치사되어 고치와 번데기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누에의 체중도 원화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원화 처리를 제외한 모든 추출물 처리에서는 누에 번데기의 무게와 고치무게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원화, 정향, 사군자, 흑축, 건강은 먼지벌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내조건에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 Coleoptera: Coccinellidae)의 각 발육단계에 친환경농자재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Each Developmental Stages of Harmonia axyridis(Coleoptera: Coccinellidae) in the Laboratory)

  • 강은진;강명기;이희진;이대홍;석희봉;김다아;길미라;서미자;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7-107
    • /
    • 2007
  • 무당벌레(H. axyridis)는 세계적으로 진딧물의 포식자로 널리 알려지면서 농생태계내에서 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인자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농약의 사용을 억제하는 정부정책과 소비자의 요구 등으로 인하여 친환경농업이 확대되면서 친환경농자재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자재의 사용은 무당벌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살충성친환경농자재(IEFAMs)의 경우 무당벌레의 각 발육단계에 대하여 대부분 안전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살균성친환경농자재(FEFAM)의 경우에도 FEFAM A를 제외한 다른 종류들은 무당벌레에 대하여 영향이 적다.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EFAMSM)인 EFAMSM C와 H는 무당벌레 알의 부화율을 떨어뜨릴 수가 있으며, EFAMSM A와 F는 1령 유충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EFAMPE)는 EFAMPE A와 D는 무당벌레 알에 치명적인 독성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외의 다른 조사된 농자재들은 무당벌레에 비교적 독성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Mariannaea samuelsii Isolated from a Bark Beetle-Infested Elm Tree in Korea

  • Tang, Longqing;Hyun, Min-Woo;Yun, Yeo-Hong;Suh, Dong-Yeon;Kim, Seong-Hwan;Sung, Gi-Ho;Choi, Hyung-Kyoon
    • Mycobiology
    • /
    • 제40권2호
    • /
    • pp.94-99
    • /
    • 2012
  • During an investigation of fungi from an elm tree infested with bark beetles in Korea, one isolate, DUCC401, was isolated from elm woo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28S rDNA (large subunit) sequences, the isolate, DUCC401, was identified as Mariannaea samuelsii. Mycelia of the fungus grew faster on malt extract agar than on potato dextrose agar and oatmeal agar media. Temperature and pH for optimal growth of fungal mycelia were 25oC and pH 7.0, respectively. The fungus demonstrated the capacity to degrade cellobiose, starch, and xylan. This is the first report on isolation of Mariannaea samuelsii in Korea.

Fifteen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Subfamily Doryctinae (Hymenoptera) in Korea

  • Lee, Hye-Rin;Belokobylskij, S.A.;Ku, Deok-Seo;Byun, Bong-Ky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1호
    • /
    • pp.17-24
    • /
    • 2020
  • Doryctinae is a large and heterogeneous group with more than 1,000 described. It is idiobiont ectoparasitoids on the larvae of wood-boring and xylophagous beetles. Some species attack larvae of wood boring lepidoptera. In the present study, fifteen species belonging to eight genera of the subfamily Doryctinae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Doryctes Haliday (2 species), Eodendrus Belokobylskij (1 species), Heterospilus Haliday (4 species), Monolexis Förster (1 species), Neurocrassus Snoflak (2 species), Rhoptrocentrus Marshall (1 species), Sonanus Belokobylskij et Konishi (1 species), Spathius Nees (3 speices). The genera Eodendrus Belokobylskij, Monolexis Förster, Rhoptrocentrus Marshall, Sonanus Belokobylskij et Konishi and fifteen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s from Korea. Diagnosis and host information are provided.

한국산 균식성 애버섯벌레붙이과(Coleoptera: Tetratomidae)의 분류학적 검토와 숙주버섯 (Taxonomic Review of Fungivorous Tetratomidae (Coleoptera: Tetratomidae) in Korea with New Host Fungi)

  • 정부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5-130
    • /
    • 2011
  • 한국산 균식성 애버섯벌레붙이과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한국산 균식성 애버섯벌레붙이과에는 2아과와 2속에 속한 4종이 포함되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3종을 검토하였다. 그 가운데 2종 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들이다. 성충의 사진, 진단 형질, 특징적인 형질, 서식지를 포함한 생태적 정보와 숙주버섯을 제공하였다.

한국산 사슴벌레과(딱정벌레목:풍뎅이상과)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Review of Korean Lucanidae (Coleoptera: Scarabaeoidea))

  • Jin Ill Kim;Su Yeon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1호
    • /
    • pp.21-33
    • /
    • 1998
  • 사슴벌레과의 문헌기록과 표본을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들은 Heyden(1887) 이후 90여편의 문헌에서(외국에서의 단순한 분포기록 문헌 제외) 25종이 기록되었다. 그 중 7종은 동조이명이었고, 다음과 같은 6종은 오동정된 것이므로 한국산 목록에서 제외된다: Prismognathus angularis, Nipponodorcus montivagus, Aegus laevicollis, Platycerus delicatulus, P. acuticollis, Gnaphaloryx velutinus. 오동정된 종명중 처음의 2기종은 국내기록 자체가 잘못된 것이며, 세번째의 A. laevicollis는 이에 해당하는 표본이 새로 발견되어 다시 한국산 목록에 추가 된다. 한편 Dorcus taiwanicus도 새로 발견되어 한국산 추가종은 셀제적으로 2종이다.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한국산으로 밝혀진 사슴벌레과 곤충은 10속 14종이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