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ING SEAS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1초

천수만에 도래하는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의 변화 (Distribution Aspect and Seasonal Distribution Change of the Wintering Geese in Cheonsu Bay)

  • 유승화;김준범;김인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2-639
    • /
    • 2008
  •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변화에 대한 연구를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천수만 부남호와 간월호에서 실시하였다. 기러기류는 주간에 주로 농경지에 분포하였으며, 해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격자별 최대개체수를 이용한 분포도에서, 농경지에서 관찰된 기러기류는 부남호와 간월호 지역 모두 면적이 넓은 지역에 대한 분포비율이 높았다. 특히, 잠자리지역인 저수지와 가까운 지역의 취식비율이 높았다. 기러기류의 주간 취식지는 부남호와 간월호 모두 초기 10월에는 잠자리 지역인 저수지 인근 농경지를 이용하였지만, 월동 중기 1월 이후에는 잠자리에서 먼 지역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월동말기인 3월에는 개체수 규모가 크게 줄어들고 잠자리에서 먼 지역의 농경지를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하였다. 저수지에서 가까운 1km 이내 지역의 평균 개체수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았다. 월동초기($10{\sim}11$월)에는 저수지 인근지역이 취식지로 선호되었지만, $12{\sim}1$월 그리고, $2{\sim}3$월로 갈수록 평균 서식개체수의 차이가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km 이내의 격자지역은 초기에 매우 높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차차 감소하여 2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반면, 저수지로부터 2km 이상 떨어진 지역은 초기에 매우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점차 증가하여 1월말에 최대 이용률을 보이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1km 이상2km 미만에 해당하는 지역은 초기에 2km 이상지역보다 이용률이 높고, 1km 미만의 지역보다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11월까지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러기류의 취식지 선택이 잠자리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으며, 취식무리의 체류 시간에 따라서 먹이량이 감소하여 취식지 선택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영주지방에 있어서 봉군의 실내월동 시험 (Indoor-wintering for the honeybee colonies of Aips mellifera in Yeongju area)

  • 이동률;이종원;이석건;최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39-43
    • /
    • 2001
  • 본 연구는 꿀벌의 월통에 얄맞은 실내 온도인 $2{\sim}9^{\circ}C$를 유지하면서 환기를 계속할 수 있는 저온양봉사에서 꿀벌의 실내월동 방법을 확립코자 수행되었다. 환기 팬의 작동 시간으로 실내 온도가 $2{\sim}9^{\circ}C$로 조절되고 환기가 행하여지는 저온양봉사에서 서양종 봉군을 공시하여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실내월동 시험을 수행한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실내월동 봉군의 폐사율은 1997~1998년 월동기간 중에 6.3~7.1% 그리고 1998~1999년 월동기간 중에 5~10%였다. 실내월동 시 월동 기간 중 봉군의 무게 감량 비율은 강군이 10.6~10.7% 그리고 약군이 10.2~11.7%였다. 월동 후 봉세 증가율은 강군의 경우는 136.1~142.3%였고, 약군의 경우는 128.0~136.5%였다.

  • PDF

축양 멸치의 월동시험 (A WINTERING TEST OF THE CRAWL-HELD ANCHOVY)

  • 이병기;박승원;서영태;김무상;손부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44-48
    • /
    • 1973
  • 1971년 11월 초에 어획하여 22일간 축양한 활멸치를 12월 1일부터 익년 3월 31일까지 4개월간 경남 충무시 인평동 지선 해상에서 월동시험한 결과, (1) 시험기간중 수온은 최저 $7.2^{\circ}C$까지 하강했나, 이 수온의 하강으로 인한 폐사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시험의 초기, 축양조의 이동 직후부터 9일간에 약 $1.3\%$, 또 15일 후부터 20일간에 약 $1.7\%$의 폐사가 일어났다. 전자의 폐사 원인은 축양조의 이동에 의한 것이며, 후자는 축양조의 망지교체로 인한 이다. (2) 월동가능수역은 수온, 호류, 수침 등을 고려할 때 거재도 남 및 남서부, 충무시 남 및 남서부부터 남해도 동, 남, 서부, 돌산도 이동의 해역이 적지로 생각되며, 진해만내는 수온하강이 심하여 좋지 않다고 추정된다. (3) 비만도는 시험 초기 약 두 달간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나 그 후 시험초에 비하여 $20\%$ 정도까지 증가했다. 이것은 멸치가 축양조 안에서의 생활과 저수온에 적응되어 섭이가 왕성해진 것에 기인한다고 보아진다.

  • PDF

콩명나방(Maruca vitrata)은 수원지방에서 월동할 수 있는가? (Can Maruca vitrata (Lepidoptera: Crambidae) Over-winter in Suwon Area?)

  • 정진교;서보윤;김용균;이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39-444
    • /
    • 2016
  • 콩명나방(Maruca vitrata) (포충나방과)은 국내에서 Vigna속 작물(팥, 녹두, 동부)과 세스바니아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에서의 생활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콩명나방이 수원 지방($37^{\circ}16^{\prime}N$ $126^{\circ}59^{\prime}E$ 35ASL)에서 월동 가능 여부와 월동태, 월동 진입시기, 월동 후 처음 성충이 발생하는 시기를 알기 위해 야외 조건에서 월동율을 조사하였다. 9월 하순부터 야외에서 사육한 알과 유충, 번데기는 그 해에 우화하지 못했고, 이듬 해 6월 이전에 모두 사망하였다. 유충과 번데기를 토양 속에서 월동시켰던 시도에서도, 모든 개체들이 사망하였으며, 일정 기간 저온($10^{\circ}C$$13^{\circ}C$)에 노출시킨 유충들도 우화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콩명나방은 영하의 온도에 적응하는 능력이 없고, 수원 지방 야외 조건에서 월동할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Effects of wintering waterfowl's feces on nutrient dynamics of paddy fields and rice growth

  • Lee, Gwang Moon;Kim, Heung-Tae;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291-299
    • /
    • 201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wintering waterfowl's feces prior to planting rice on nutrient dynamics, rice growth, and decomposition of rice straws in a controlled mesocosm. Waterfowl's feces and rice straws were placed on paddy soils in a mesocosm and the water level maintained at 5 cm. The amounts of supplied feces were 0 (control), 222, and 444 g/$m^2$. While the addition of feces showed no immediate effects, nutrients in the surface water increased in the month following treatment. Nutrients increased to a greater degree in the treatments with more feces added. Simultaneously, the decomposition of rice straws was promoted, indicating that more nutrients would be made available over time. The rice showed high productivity in the period during which nutrient level was increased, when rice needs more nutrients for the tillering stage. Therefore, the wintering waterfowl's feces could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productivity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rice through promoting nutrient supply and rapid decomposition of rice residue.

A Time Budget Study of Wintering Mallards on the Southern High Plains of Texas, USA

  • 이상돈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571-576
    • /
    • 1997
  • The playas of the Southern High Plains (SHP) of Texas, USA are an important habitat for over one million wintering waterfowl. However, the recent trend toward the modification of playas for agricultural use is threatening winter habitat of waterfowl in this region. Diurnal activity budgets of wintering mallards (Anas platyrhynchos) were conducted from 1 October to 31 March, 1983-1984, and 1984-1985) at three habitat types; steep-sided pits, terraced pits, and open lakes. All seven activity patterns (feeding, locomotion, resting, comfort, courtship, alert, and agonistic) were different (P<0.05) among the three habitat types for wintering mallards on the SHP of Texas. Terraced pits supported more feeding activity (27.8%) (P<0.001) than steep-sided pits (11.2%) or open lakes (2.6%) due to their abundance of natural seeds and aquatic invertebrates. Hens (17.5%) fed more than drakes (11.7%) (P<0.05). Locomotion (32.2%) and alert (2.8%) behavior across the three habitat types showed the highest level during the early morning (6:00-9:00 AM). Paired mallards rested more (37.9%) than unpaired mallards (25.8%) (P<0.05). Agonistic activity was highest (2.4%) in terraced pits throughout the season.

  • PDF

영남지역의 왕우렁이 월동 및 월동처 (Over-wintering of the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and Its Over-wintering Habitat in the Yeongnam District)

  • 김현주;배순도;이건휘;박성태;박정규;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37-444
    • /
    • 2007
  • 원산지가 열대지방인 왕우렁이가 국내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1980년대 초에 도입된 후 20여년이 지난 현재 한국 기후에 적응되어 남부지방의 일부 지역에서 월동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영남지역에서 왕우렁이를 이용하여 벼 잡초방제를 실시한 지역을 중심으로 왕우렁이의 월동분포와 월동지역의 환경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영남지역의 왕우렁이 월동실태를 조사한 결과, 하동, 합천, 산청, 김해, 밀양, 창원, 울산, 부산, 경주, 포항, 칠곡, 구미, 상주 및 영주에서 월동을 확인하였는데, 월동지역은 해마다 북상하였다. 왕우렁이가 월동되는 지역의 환경을 조사한 결과 주로 깊은 웅덩이나 겨울에도 물이 계속 흐르는 하천이나 수로, 지하수가 계속 흘러내리는 수로 및 수막재배를 하는 비닐하우스 단지 주변의 도랑 등이다. 이들 장소들의 특징은 겨울에도 수온이 크게 내려가지 않아 물이 얼지 않거나 표면에만 물이 얼고 속에는 물이 얼지 않는 장소들이었다.

월동 가능한 Cd 축적 식물종의 탐색 (Screening of Wintering Cd Hyperaccumulators)

  • 이한나;옥용식;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4-18
    • /
    • 2004
  • 현재까지 국내에서 탐색된 카드뮴 축적 식물 종은 월동이 불가능한 식물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겨울기간 동안 phytoremediation에 이용하기 위한 카드뮴 축적 식물종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월동 가능한 카드뮴 축적 식물을 이용할 경우 시간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물종은 중부 이북지역에서 월동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초본류 중에서 40종을 우선 선별하고 이중 야생식물종자은행으로부터 분양 가능한 7종 (큰이삭풀, Bromus catharticus: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김의털, Festuca rubra: 말냉이, Thiaspi arvense: 배초향, Agastache rugosa: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돌마타리, Patnnia rupestris)의 식물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7종의 식물은 파종하여 발아시킨 후 사경재배하였다. 양액은 Epstein 1/2 배액을 이용하였으며, 카드뮴은 저면관수로 배양액에 직접 처리하였다. 실험 결과 큰이삭풀과 말냉이는 지상부에 각각 112.35 및 $86.69mg\;kg^{-1}$의 카드뮴을 축적하였고, 이 중에서 큰이삭풀은 생육에 매우 양호하였으므로 겨울기간 동안 카드뮴 축적 식물로서의 활용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월동전후 초지관리에 관한 연구 I. 최종예취시기와 예취높이가 목초의 월동 , 재생 및 이른봄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ect of final cutting time and cutting height on the winter survival, regrowth and early spring yield of orchardgrass ( Dactylis Glomerate L. ) dominated pasture.)

  • 한영춘;이종경;박문수;서성;이병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24
    • /
    • 198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nal cutting time and cutting height on the winter survival, regrowth, and carbohydrate reserves in stubble, and early spring yield of orchardgrass-dominated pasture before and after the winter seas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the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on, from October 1985 to early 1986.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growth of plant after the final cut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plot of the early cutting time (Oct. 10) and high cutting height at the final. For winter survival, cut plant should regrow over 15cm in plant height. Therefore limit cutting time and cutting height were forced to be on Oct. 25 and at 6-9cm, respectively. 2. Total water soluble carbohydrate (TSC) content in stubble after the final cu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different cutting time and cutting height. 3. The percentage of dead plant after wintering was found to be high with plot of the late cutting time and low cutting height at the final cut (P<0.05).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dead plant after wintering and final plant height before wintering was significantly negathe (r = -0.728**). 4. Fresh and DM yield at the early spring after wintering were increased in the plot of the early cutting time and high cutting height (P<0.05) at the final cut.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early spring yield and final plant height before wintering (r = 0.720**).

  • PDF

Home-range of the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in the Suburban Area of Busan

  • Kang, Seung-Gu;Hur, Wee-Haeng;Lee, In-Sup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2-173
    • /
    • 2015
  •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home range size of the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by observation using the natural markings in the suburban area of Busan from December 2009 to May 2010. In all, 26 individual kestrel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of which 14 individual kestrels were frequently observed (more than five times) and 12 were observed less frequently (less than five times). Mean home range sizes of the 14 frequently observed kestrels were estimated using two different methods (minimum convex polygon (MCP) method and fixed kernel (FK) method): 34.49 ha(2.74-163.96 ha) by 100% MCP, 41.35 ha(3.54-99.02 ha) by the 95% FK, 14.33 ha(0.20-31.57 ha) by the 75% FK and 5.75 ha(0.52-14.74 ha) by the 50% FK. The mean home range size was larger for males than for females estimated at 51.50 ha(15.04-163.96 ha) and 11.80ha(2.74-24.48 ha), respectively, by the 100 % MCP method and 8.02 ha(2.38-14.74 ha) and 2.72 ha (0.52-4.28 ha), respectively, by the 50 % Fixed Kernel method. The home range sizes by sexes in breeding pairs differed during the wintering and breeding seasons; the sizes decreased among females but increased among males during the breeding season. Such differences of home range sizes between sexes could be attributed to parental role division during the breeding season. Females stay in the nest or next to it during laying, incubating, and feeding activities, and males go far away from their nest sites to forage areas for their fledglings for most of the breeding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