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ant House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인공지능 기반 빈집 추정 및 주요 특성 분석 (Vacant House Prediction and Important Features Explor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n Case of Gunsan)

  • 임규건;노종화;이현태;안재익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3-72
    • /
    • 2022
  • The extinction crisis of local cities, caused by a population density increase phenomenon in capital regions, directly causes the increase of vacant houses in local cities. According to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Gunsan-si has continuously shown increasing trend of vacant houses during 2015 to 2019. In particular, since Gunsan-si is the city which suffers from doughnut effect and industrial decline, problems regrading to vacant house seems to exacerbat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of a system which can predict and deal with the building that has high risk of becoming vacant house through implementing a data driven vacant house prediction machine learning model.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nalyzes three types of machine learning model by differing the data components. First model is trained based on building register, individual declared land value, house price and socioeconomic data and second model is trained with the same data as first model but with additional POI(Point of Interest) data. Finally, third model is trained with same data as the second model but with excluding water usage and electricity usage data. As a result, second model shows the best performance based on F1-score.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Machine, XGBoost and LightGBM which are tree ensemble series, show the best performance as a whole. Additionally, the complexity of the model can be reduced through eliminating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variables and vacant house status lower than the 0.1 based on absolute valu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XGBoost and LightGBM based machine learning model, which can handle missing values, as final vacant house prediction model.

농촌지역 주택의 리노베이션 유형 분석을 통한 물리적 특징 연구 (Physical Characteristics Study through Renovation Type Analysis of Houses in Rural Areas)

  • 김용균;김상범;안필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53-61
    • /
    • 2022
  •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ysical condition and spatial deformation of houses in rural areas in Hodang Village, Ipjang-myeon, Cheonan-si, a rural area with a good settlement environm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eformation were identified. First, looking at the construction pattern of houses in rural areas, there have been many houses built since the 1990s, and the modernized spatial composition of urban houses appeared. Second, due to the nature of rural housing, work space and residential space are mixed, and it was analyzed that space is used through renov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rd, Hodang Village was analyzed as an area with good living services, but as a result of the village survey, the proportion of vacant houses was high at 14 (42.4%). This study is conducting continuous rural housing research, rather than a temporary study on rural housing and vacant houses, based on the problems that have been drawn from previous research and existing fact-finding studies.

빈집 현황 및 공간 패턴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attern of Other Vacant Housing)

  • 노민지;유선종
    • 부동산연구
    • /
    • 제27권4호
    • /
    • pp.21-34
    • /
    • 2017
  • 본 연구는 관리되지 않고 방치되어 빈집문제를 야기하는 빈집이 무엇인지, 이러한 빈집이 어디에 얼마나 발생하는지, 어떤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5, 2010년 두 시점이며, 공간적 범위는 전국으로 분석을 위한 공간의 최소단위는 시군구이다. 분석결과 첫째, 전국 수준에서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기타빈집은 0.6%로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지역별 기타빈집의 정도와 유형은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방의 기타빈집은 주로 단독주택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도시의 기타빈집은 주로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당 지역과 주변 지역에서 '기타빈집 비율'이 높은 지역은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 지역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특정 지역으로 고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첫째, 농촌지역은 단독주택 빈집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기타빈집과 귀농 귀농 대책을 연계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도심은 과거 대량으로 공급된 아파트가 단숨에 노후화되어 대량의 기타빈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노후주택을 관리하고, 둘째, 기타빈집이 고착화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빈집관리 우선지역을 선정하여 관리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기타빈집이 많은 지역은 인구 이동, 인구 감소,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으로 빈집이 '지방소멸'의 징후 또는 결과라는 관점에서 빈집문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여러 대책과 함께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스톡활용의 관점에서 본 일본의 주택스톡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Stock on the basic of Stock application in Japan)

  • 박병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221-227
    • /
    • 2003
  •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housing stock is as follows. 1. It is predicted that population from 2010 and general household from 2015 will decrease. The aging speed in Japan is faster than several advanced nations. 2. Housing shortage has resolved from 1973. In 1998, dwelling number per household is 1.13 houses and vacant dwelling rate is 11.5 percents. 3. Dwelling level of rented dwelling is lower than owner occupied houses; for instance, floor area of the former is one third of the latter. As for a household of thirties, family type household lived in rented houses reached 60 percents, it reveals that the demand exceeds the supply. 4. Houses constructed before the new earthquake resistant standard enforced from 1981 year is the half of the whole, housing improvement is needed in the future. Future housing market is changed to practical use of housing stock. Consequently, expansion of multi-habitation used a vacant housing of city dwellers, activation of the used houses distribution, growth of dwelling reform market, and activation of the rented houses are expected.

  • PDF

농촌 지역 빈집 발생의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Rural Vacant Houses)

  • 김성록;김두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65-77
    • /
    • 2018
  • 빈집 연구에 있어 발생 영향 요인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의 빈집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121개 연구 대상 지역을 설정하고, 8개의 독립변수(노후 주택 비율, 주택 거래 비율, 주택 보급률, 지역 소멸 지수, 순 이동률, 지역 노령화 지수, 인구 대비 종사자수, 재정자립도)와 1개 종속변수(빈집 비율)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반농산어촌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모형 1과 군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모형 2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잔차의 독립성에 문제가 없었다. 둘째, 지역 소멸 지수 및 노후 주택 비율의 경우 모형 1과 모형 2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셋째, 주택 보급률의 경우, 모형 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주택 거래 비율의 경우, 모형 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가 도출되었다. 첫째, 가구 및 인구 증가가 없는 주택 보급률의 상승은 지역 내 빈집의 발생 확률을 높이는 것을 시사하고, 노후 주택 비율이 높을수록 빈집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둘째, 주택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중장기 발전을 위한 투자 유입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 소멸 지수는 빈집 비율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므로, 지역의 영속성을 위해 장기적인 시각에서 지역 활성화 정책이 도입되어야 한다.

인구주택 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인구, 가구, 주택 특성과 빈집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Population,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n the Status of Empty Houses Using Population Housing Census Data)

  • 이지민;최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5호
    • /
    • pp.1-13
    • /
    • 2020
  • The empty houses' problem is important in the local revitalization and local sustainability, and these phenomenon caused by various factors of the region.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ta are the most effective data available to study this phenomenon by small regions. In this study,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opulation,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n empty houses using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data. Also, the scale and direction of the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 in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were compared. As results,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cities and province regions in the district and ho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In the comparison of Eup-Myeon-Dong, the affected variables were different in the Dong and Myeon are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housing on the vacant houses and to confirm that the factors affecting different regions.

지자체 자료를 활용한 빈집 실태조사에 따른 시사점: 전남 목포시 사례 (Implications of the Survey on Empty House Using Local Government Data: The Case of M okpo City in Jeollanamdo)

  • 채지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0-5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소멸 및 고령화로 인해 대두되고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인 빈집 발생에 초점을 두고 지자체 자료를 활용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서 빈집 비율이 가장 높은 전남지역 중 목포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자체의 빈집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빈집의 등급별 현황을 지도로 도식화하여 공간적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빈집 실태조사 결과 목포시에서 진행 중인 도시재생전략계획의 사업지구 내 목포시 빈집의 9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빈집정비사업은 빈집 매입의 어려움, 지자체 예산 부족 등으로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사업이 신속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목포시 내 도시재생전략계획과 연계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청주 구도심내 주택유형별 분포 및 규모특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Patterns and Habitable Floor Area by House Types in Traditional Urban Area of Cheong ju)

  • 김해리;김태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5-130
    • /
    • 2008
  • The new apartments has been rapidly built through the outskirts of Cheong-ju city since the latter half of 1980's. So, the population decreased in Seong-an dong and Jung-ang dong which are located in traditional urban area of Cheong-ju. Also, residential areas became obsolete and residential buildings happened to be vacant and empty. For urban rehabilitation, the city authorities will construct the high-rise complex housings with stores in the traditional urban area. We have doubts about whether the rapid change of new housing construction is right or no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a correct diagnosis of the present state from urban atrophy, keeping this area sustainable with traditionality and locality.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is in detail distribution patterns and habitable floor area by house types in Seong-an dong and Jung-ang dong which are located in traditional urban area of Cheong-ju. The result are as follows; the residential buildings as the 2,680 houses(including detached and apartment houses) and the 804 shop houses are distributed with 3,484(67%) of the whole 5,183 buildings and form 28percent of the whole floor areas. A distribution and area ratio of houses to shop houses is irrespectively about 76 : 24percent. The average floor area is represented with $66m^2$/household and $28.5m^2$/person. It shows that a hollowing out of urban area has caused the surplus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floor areas.

  • PDF

한성부 중서 견평방에서 가택 칸수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본 「호구조사세칙」(1896)의 적용 양상 -1903년과 1906년의 견평방 1통에서 23통까지를 대상으로- (Application features of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1896) through the change of house Kan numbers in Gyeonpyeong-bang, Jung-seo in Hanseong-bu -Focused on Gyeonpyeong-bang 1-tong to 23-tong in 1903 and 1906-)

  • 조윤오;우동선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6호
    • /
    • pp.19-30
    • /
    • 2019
  •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aspect of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1896) through the change of Kan numbers in Gyeonpyeong-bang. Although Gyeonpyeong-bang was a high-priority area because of its location, it was difficult to trace the operation of the urban situation due to lack of data. This study is focusing on restoring space and society in the Gyeonpyeong-bang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houses and the number of Kan listed in the family register of Hanseong-bu.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sets out provisions for the family registry and the rules of making Tong.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rules of making Tong, this rule deals with the code of making ten Hos into one To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tatus of the Tong into three types: uncompleted Tong, exceeded Tong without vacant Ho number, and exceeded Tong with the vacant Ho number. Since these three types of Tong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towards the complete Tong with 10 Hos, they were thought to be able to demonstrate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rule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case study that expands the point of existing research on the Tong making rules, which was not focused relatively on restoring urban conditions at that time,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exceptions that deviated from the Sipgajaktong rule.

다층모형을 활용한 인천광역시 원도심 빈집 발생의 영향요인 분석 (Investigating Drivers of Housing Vacancy in Old Town Incheon using Multi-level Analysis)

  • 이다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237-254
    • /
    • 2020
  • 빈집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가와 지자체 차원에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문제에 대한 적절한 처방을 위해서는 빈집 발생의 원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원도심을 대상으로 빈집 발생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주택, 근린 차원의 미시적 환경과 지역 차원의 거시적 환경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데 집중하였다. 분석에 앞서 문헌 고찰을 통해 빈집 발생의 다양한 영향요인을 탐색하였으며, 주택(1수준), 근린(2수준), 지역(3수준) 3개의 수준으로 구성된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구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 부지의 규모, 형상, 접도 여부가 빈집 발생과 밀접하며, 근린 내 경사도와 정비구역 지정의 영향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거노인 가구 비율과 공시지가, 지가변화율, 신규 주택 비율 등 지역 수준의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택 부지와 근린환경의 물리적 열악함,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취약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빈집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빈집문제 해소를 위한 다차원적 대응 전략이 필요하며, 정비구역 지정이나 신규주택 공급 등의 정책 결정으로 인해 빈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