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용철.안영진, 2014, "로컬리터 재구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분석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420-437. https://doi.org/10.23841/EGSK.2014.17.2.420
- 김경혜.한은진.손소영, 2018, "지리가중라소 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빈집 발생 영향요인 탐색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4(1), pp.54-68. https://doi.org/10.7232/JKIIE.2018.44.1.054
- 김예성.하혜영, 2020, 인구감소시대 지방중소도시의 지역 재생 방안, 국회입법조사처 정책보고서, pp.6-21.
- 김용균.김상범.안필균.조한솔, 2022, "농촌 빈집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4(1), pp.19-25. https://doi.org/10.14577/kirua.2022.24.1.19
- 김진하.남진, 2016,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pp.105-122.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105
- 김현중.이종길.정일훈, 2016, "확률선택모형을 활용한 농촌 빈집의 공간적 패턴 예측," 주거환경 14(3), pp.15-27.
- 남기범, 2016,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64-782.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64
- 남기범.이병민, 2016,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대한지리학회지 51(3), pp.421-439.
- 네모토 마사쯔구, 2013, "지역자원 활용 사회적 경제조직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방안," 한국지적정보학회 15(1), pp.51-64.
- 노민지.유선종, 2016,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 부동산 연구 26(2), pp.7-21.
- 목포시, 2016, 2020년 목포 도시기본계획, pp.139-150.
- 목포시, 2018, 목포시 도시재생 전략계획. pp.3-48.
- 목포시, 2021, 2030 목포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고시 제2021-173호.
- 목포시, 2021, 전라남도 목포시 1897 개항문화거리 도시 재생 활성화계획 변경(안), pp.3-42.
- 박세훈.정소양.김유란.박성경, 2020, 지방 중소도시 재생모델 구축방안-근린재생형 사업추진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정책보고서, pp.3-11.
- 부산광역시, 2020, 부산광역시 빈집정비지원계획, pp.56-79.
- 안영진, 2018, "독일의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4), pp.425-437. https://doi.org/10.23841/EGSK.2018.21.4.425
- 안현진.박현영, 2013, "재생사업 지구 내 공가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일시적 활용' 및 '전술적 도시론'의 사례 고찰을 통해," 국토계획 48(6) pp.347-366.
- 양소영, 2017, 장소적 측면의 지역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나영, 2022,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과 도시재생: 강원도 철원군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4), pp.569-582.
- 이다예, 2019, "빈집 발생 촉발요인과 근린환경 특성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인천광역시 구도심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pp.127-143. https://doi.org/10.21189/JKUGS.22.2.10
- 이정록, 2020,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 pp.98-109.
- 이종길, 2016, 농촌지역의 빈집발생 공간패턴 분석 및 공간 계획적 관리방안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정아.김태영.박중신, 2008, "청주시 구도심 내 공가 및 공실 분포현황 및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78-283.
- 전영미.김세훈, 2016,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인천 남구 숭의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1), pp. 83-100.
- 조진우, 2020,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법적 과제 - 일본의 「과소지역자립촉진특별조치법」을 중심으로-," 법학논고 68(68), pp.145-173. https://doi.org/10.17248/knulaw..68.202001.145
- 하창호.곽희종.김현숙, 2013, "근린재생을 위한 노후 저층주거지 내 공지 및 폐가의 활용방안 및 텃밭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6), pp.81-93.
- 한국감정원, 2019, 경기도 동두천시 빈집정비계획, pp.43-62.
- 한국부동산원, 2021, 경기도 용인시 빈집정비계획. pp.132-142.
- 한수경, 2016, 유휴.방치부동산의 유형별 발생 특성과 고착화에 관한 연구-전라북도 익산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수경.이희연, 2017, "맞춤형 빈집 활용을 위한 근린주거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pp.15-27. https://doi.org/10.21189/JKUGS.20.2.2
- 한승욱, 2016, "부산시의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추진체계 구축이 필요," 부산발전포럼 160, pp.16-23
- National Vacant Properties Campaign, 2005, Vacant properties: The true costs to communities. In: National Vacant Properties Campaign, Washington, DC.
- Shai, D., 2006, "Income, housing, and fire injuries-a censustract analysis," Public Health Reports, 121(2), pp.149-154. https://doi.org/10.1177/003335490612100208
- Wilson, D., Margulis, H. and Ketchum, J., 1994, "Spatialaspects of housing abandonment in the 1990s: The Cleveland experience," Housing Studies 9(4) pp.493-510. https://doi.org/10.1080/02673039408720802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law.go.kr (최종열람일: 2023년 1월 18일).
- 대구광역시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www.dgucenter.or.kr (최종열람일: 2022년 11월 12일).
- 목포시청, munhak.mokpo.go.kr/www (최종열람일: 2022년 5월 3일).
- 부산시보 다이내믹부산, https://www.busan.go.kr/news/index (최종열람일: 2023년 2월 26일).
- 부산일보, http://www.busan.com (최종열람일: 2023년 1월 3일).
- 서울특별시, seoul.go.kr (최종열람일: 2022년 12월 18일).
- 통계청, https://kostat.go.kr (최종열람일: 2023년 2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