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active Memor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지식성장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분산기억중심으로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Knowledge Creation focus on Transactive Memory)

  • 유창;김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73-1083
    • /
    • 2015
  • 본 연구는 분산기억(Transactive Memory )개념을 중심으로 지식성장의 네 가지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로써, 지식성장의 동태적 과정의 맥락 속에서의 분산기억의 역할을 설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130명 팀 구성원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팀 분산기억의 측정항목들의 일부가 지식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분산기억과 지식성장은, 특히 팀 수준의 지식성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팀 수준에 머물러있고 팀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인지심리학의 팀 분산기억 개념을 도입하여 조직 내부에 팀 단위로 개인지식을 어떻게 접근하고 사용하는지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지식성장을 촉진하려면 전문지식보다 팀원들 간의 직무관련 지식을 신뢰하여 협력적으로 작업조정을 해야 한다. 또한 관리자들이 팀원들을 가장 적합한 작업위치에 배치함으로 팀원들의 개인지식을 가능한 활용할 수 있으며 팀 성과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Role of Network Characteristic in Social Commerce Context: Emphasi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 Kairat, Dana;Choi, Do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3호
    • /
    • pp.109-117
    • /
    • 2021
  • Although previous studies on social commerce have provided much insight, more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network are needed because social commerce happens within online communities or virtual groups, where buyers connec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by sharing inform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ransactive memory as network characteristic can affect social commerce behavior through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 quality. We verified the relational effect among social support, relationship quality, and social commerce intention in the Korean market context. Moreover, we found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also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field of social commerce. Specifically, we found consumer's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 quality.

조직구성원의 네트워크 위치가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twork Positions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Knowledge Sharing)

  • 김창식;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2호
    • /
    • pp.67-89
    • /
    • 2015
  • Improving productivity of knowledge worker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21st century referred as knowledge-based society. The core key word is knowledge sharing among constituents of an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bine the social network position factors with attitude and behavior factors, and develop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for the knowledge sharing among members of an organization. This study adopted the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social capital, self-efficacy, transactive memory, and knowledge sharing. Surveys were conducted to 42 organizational members from a department in a leading IT outsourcing company to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ocial network analysis tool, UCINE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ol, SmartPLS, were utilized. The empirical result showed that, first of all, organizational members' familiarity network posi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Second, knowledge self-efficacy and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affecte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Thir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lso had an impact on the job performance. However, organizational members' expertise network posi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This finding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approach rather than the rational approach in knowledge managem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과 사회적 자본이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근속년수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and Social Capital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Tenure)

  • 한수진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9권4호
    • /
    • pp.35-49
    • /
    • 2022
  • Knowledge sharing occurs through voluntary interactions between human actors. In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teraction, the effect of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and social capital (bridging social capital and bonding social capital)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was analyzed, and tenure was demonstrated as a moderating factor that can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nd bonding social capital held by individua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Social capital is understood to form an individual's voluntary motivation for knowledge sharing.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enure suggested in this study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The role of positive affect in virtual collaboration: a transactive memory system perspective

  • Chae, Seong 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9-109
    • /
    • 2016
  • Creative performance has been regarded as the key to the success of an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and is considered essential for the survival of an organization. Organizations must find and develop creative solutions to deal with a variety of business issues. How can organizations become more creative? To develop creativity, organizations must make it easier to connect the knowledge and perspectives of its various members, who may be scattered around the world, by developing a virtual team. Drawing from the transactive memory systems (TMS), which include expertise location, credibility, and coordin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ositive affect of team members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formance during virtual collaboration where face-to-face team activities are limited. The proposed structured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with cross-sectional data from 322 individual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ve affect of team member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MS and creativity.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involved in developing creativity among team members in a virtual work environment.

지식근로자의 공유인지와 팀 효과성의 관계 (The Relation with Shared Cognition for Knowledge Worker and Team Effectiveness)

  • 임희정;강혜련
    • 지식경영연구
    • /
    • 제6권2호
    • /
    • pp.67-90
    • /
    • 2005
  • Attention has been focused recently on the concept of shared cognition which encompasses the notion that effective team members hold knowledge that is overlapping and complementary with teammates. This shared cognition is expected to improve team effectiveness. In contrast to the continued efforts in developing theoretical approach of shared cognition, empirical studies are meager. Thus,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 of shared cognition on team effectiveness. This study classifies shared cognition into two types, team mental model and transactive memory system, by shared meaning. A total of 121 new product development teams in the IT industry were survey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m mental model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team innovative behavior and team learning effect. And the relation with team mental model and team performance is moderated by the similarity of knowledge structure among the expert. Second, transactive memory syste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team innovative behavior and team learning effect.

  • PDF

가상 팀의 교류활성기억 시스템과 팀 성과의 관계 : 가상 팀 속성을 선행요인으로 (Transactive Memory System of a Virtual Team :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

  • 신경식;서아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66
    • /
    • 2010
  • 가상 팀은 구성원들이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고 기술로 매개된 환경하에서 주로 협업하기 때문에 대면접촉을 위주로 하는 전통적인 팀에 비하여 팀의 교류활성기억 시스템 (Transactive Memory System:TMS) 구축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TMS 이론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 및 선행 변수를 탐색함으로써, 가상 팀의 효과적인운영을 위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가상 팀의 성과를 예측하는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먼저 TMS를 구성하는 세가지 요인, 즉 (1) 전문성 파악, (2) 업무조정, (3) 인지기반 신뢰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TMS의 선행변인으로는 (1) 지각된 매체 풍부성, (2) 네트워크 연결강도, (3) 공유된 규범, (4) 지리적 거리등을 도출하였다. 제시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179개의 가상 팀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상 팀의 TMS를 구성하는 세가지 요인, 전문성 파악, 업무조정, 인지기반 신뢰는 가상 팀의 성과를 예측하는 결정적인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MS의 선행변인으로 제시된 지각된 매체 풍부성은 인지기반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네트워크 연결강도는 업무조정과 인지기반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유된 규범은 가상 팀의 교류활성기억시스템 구성 요인 세 가지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구성원들 간의 지리적 거리는 TMS 세 가지 구성 요소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팀협업에 관한 연구: 컨설팅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팀공유인지, 팀정보교류, 팀지식통합, 팀효능감의 매개효과 (A Study on Team Collaboration Affecting Team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Team Shared Cognition, Team Transactive Memory, Team Knowledge Integration, and Team Efficacy with Focus on Consulting Projects )

  • 신채상;홍정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9-31
    • /
    • 2023
  • 본 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서로 다른 인식체계와 서로 다른 지식체계에 대한 프로젝트의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팀협업의 연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 프로젝트의 인지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팀공유인지, 팀정보교류, 팀지식통합, 팀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한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인구통계학적 분석, 타당도 및 신뢰성 분석, 가설검정을 위한 구조모형 분석, 팬텀 변수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팀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식체계인 팀공유인지 및 팀정보교류의 개선이 필요하며, 지식체계인 팀지식 통합이 함께 향상되어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인지 및 지식체계를 통합하고, 서로의 전문성을 신뢰하며, 성공적으로 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팀효능감이 필요하다. 그리고 향후 인지 과정의 하위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위키방식의 전문지식 협력이 프로젝트 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 (Wiki-Based Expert Knowledge Collaboration Effects on Performance of Project Members)

  • 김희영;강성배;이주헌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3-187
    • /
    • 2013
  • The advent of Web2.0 has believed to be the solution against many barriers in information sharing, especially wiki.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are realized voluntarily and unselfishly with wik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using wiki as a project management method in an IT/IS project. Wiki-based project management could provide project managers and members with expert knowledge collaboration for better project results. In the research model, we used TMS(Transactive Memory System) theory to define the relation of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of project members. Based on a survey among project members, the interactions between wiki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are examined in an IS project environment. Using Smart PLS 2.0, the data was analyzed to define the interaction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rom the empirical data, the mediated effect of expert knowledge collaboration is supported. We also derive the implications of wiki-based method. It is expected to bring new possibilities of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소셜네트워킹서비스와 업무성과와의 관계 연구 : 트랜스엑티브 메모리역량의 매개효과와 사용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n Transactive Memory Capabilities and Moderating effect on Time)

  • 이미란;김용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9-118
    • /
    • 2016
  •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SNS도 발전하고 있지만 SNS에 대한 연구는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재미와 오락을 위해 SNS를 이용하고 업무에는 유용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SNS가 업무 영역까지 긍정적인 효과가 파급되지 않는다면 SNS의 발전은 한계에 다다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업무적 관점에서 SNS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SNS몰입, 매개변수로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 조절변수로 SNS사용시간, 그리고 종속변수로 업무성과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SNS몰입은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SNS몰입이 트랜스엑티브메모리 역량에 영향을 미칠 때 SNS사용시간이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행적으로 SNS를 오랜 시간 이용하는 것이 업무와 무관하거나 방해된다는 의견과는 달리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실증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며 선행연구들은 SNS가 성과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가 고려하지 못한 매개변수가 있을 것이라 추정하고 새로운 기억방식인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이 실제로 SNS와 성과간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고 있음을 실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