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k teaching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4초

임상 실습과제 방법에 따른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팀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만족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Response to Clinical Training)

  • 김정효;박미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2-490
    • /
    • 2014
  • Purpose: This research compares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task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eaching methods applied to nursing students, and determines whether variations exist. Method: This research experimen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a nonequivalent group. The subjects were 36 learners of action learning methods and 39 learners of nursing course methods, and the research took place from October through December 2012. Results: Prior to the training, the general features and measurable variables of the two groups of subjects were similar, and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in both groups were elevated compared to pre-training. In particular, in comparison with the nursing course,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in scores, the action learning method receiving high score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2.92, p=.005) and task satisfaction (t=2.54, p=.013)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ors not only conduct the practice training course for teaching methods, but also incorporate action learning.

Enhancing Geometry and Measurement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Rigorous Problem Solving and Equitable Instruction

  • Seshaiyer, Padmanabhan;Suh, Jennife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201-225
    • /
    • 2022
  • This paper details case study vignettes that focus on enhanc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in the elementary grades with attention to pedagogical practices for teaching through problem solving with rigor and centering equitable teaching practices. Rigor is a matter of equity and opportunity (Dana Center, 2019). Rigor matters for each and every student and yet research indicates historically disadvantaged and underserved groups have more of an opportunity gap when it comes to rigorous mathematics instruction (NCTM, 2020). Along with providing a conceptual framework that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equitable instruction, our study unpacks ways teachers can leverage their deep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learning trajectories to amplify the mathematics through rigorous problems using multiple approaches including learning by doing, challenged-based and mathematical modeling instruction. Through these vignettes, we provide examples of tasks taught through rigorous problem solving approaches that support conceptual teaching and learn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Specifically, each of the three vignettes presented includes a task that was implemented in an elementary classroom and a vertically articulated task that engaged teachers in a professional learning workshop. By beginning with elementary tasks to more sophisticated concepts in higher grades, we demonstrate how vertically articula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trajectory in geometric thinking can add to the rigor of the mathematics.

Force Sensing Resistor를 이용한 힘/모멘트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Force/Moment Sensor using Force Sensing Resistor)

  • 최명환;이우원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A호
    • /
    • pp.89-96
    • /
    • 2001
  • A low cost force./moment sensor that can be used in the robot teaching task is presented. Force Sensing Resistor is used as the transducer. The principle of force/moment detection is explained, the architecture of the sensor is shown, and the measurement of the force/moment is presented. The force/moment sensor shown in this work is not meant to be used in a precise force/moment control, but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the robot teaching where low accuracy can be tolerated.

  • PDF

MKT 적용과제에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반응 고찰 - 연꼴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to MKT Applying Task - Focused on Kite)

  • 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2호
    • /
    • pp.255-274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에게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할 수 과제를 제시한 후 그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한 후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77명을 대상으로 과제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의 적용을 위해서 기존 교육과정에서 지도되지 않는 '연꼴'개념을 도입하여 지도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사각형 개념간의 관련성 및 지도계열과 관련된 자신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연꼴개념의 지도차시를 선택하고 이를 지도하기 위한 교재 및 수업지도안을 작성함으로써 자신들이 가진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하였다. 반응을 분석한 결과와 더불어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의 적용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바꿔 쓰기 교육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Paraphrasing to Foreign University Students)

  • 박현진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63-86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the shortcomings of strategies for teaching paraphrasing to foreig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the effects of teaching paraphrasing skills on student's academic writing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ssessment of pre- and post-test writing tasks an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The teaching of paraphrasing was divided into 3 instructional session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last session. After each instructional session three trained assessors evaluated the outcomes of pre and post task writings; the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ven of the students in order to define better positive effects as well as shortcomings. By comparing the scores of pre- and post-task assignments it is possible to affirm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for overall scores; moreover, in an analysis conducted on each single sub-element of the paraphrasing skill, it emerged that except for "task completion", all other four elements of "structure", "understanding core content", "change of expression" and "academic express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it was possible to individuate as main shortcomings insufficient vocabulary knowledge, poor overall comprehension of the reference material, lack of practice and difficulty in connect sentences organically.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se elements as limiting factors in understanding the reference material and making correct citations by the students. Therefore, we suggest as supplementary instructional strategies a deeper attention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ext, the introduction of devices to understand better the content of the reference material and an integrated practice of the paraphrasing skill.

초등학교 교사의 정보 요구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 and Use Behavior of E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Task)

  • 이승민;정지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09-233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정보서비스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초등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역할과 업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보 요구와 주 정보원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들은 자신의 역할과 업무를 담임 업무, 교수·학습활동, 학교 담당 업무, 기타 업무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웹정보 및 인적 정보, 도서 정보 등을 정보원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각 역할과 업무에 따라 웹정보 또는 인적 정보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교사 간 웹 커뮤니티가 주 정보원으로 인식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학교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교육정보를 많은 초등교사들이 이용하는 웹 정보원에서 공유하는 것, 초등교사들과 학습 공동체 형성을 통해 협력적 교육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학교도서관을 통해 다양한 담임 업무 관련 도서를 제공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에서 프로젝트법이 여학생의 과제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on the Girl Student's Task Performance Ability in the Unit of 'Energy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High Schools)

  • 김영례;이상혁;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9-181
    • /
    • 2010
  • 이 연구는 고등학교 기술 가정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에서 프로젝트법과 강의식 학습을 사용했을 때 여학생의 과제 수행 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과제 수행 능력은 하위 요인으로 정보 수집 능력, 과제 수행 계획 능력, 과제 수행 실행 능력 그리고 과제 수행 평가 능력을 갖는다. 경기도 소재 H 고등학교의 2개 학급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기술 가정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의 전반적인 과제 수행 능력에 있어서 프로젝트법을 적용한 집단이 강의식 학습을 적용한 집단보다 더 효과가 있었다. 즉 전체적으로는 프로젝트법이 강의식 학습 방법보다 학생들의 과제 수행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 가정과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에서 적용한 집단이 강의식 학습을 적용한 집단보다 과제 수행 능력의 하위 요소인 정보 수집 능력, 과제 수행 실행 능력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또 다른 하위 요소인 과제 수행 계획 능력, 과제 수행 평가 능력에 있어서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었다.

  • PDF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Teaching Proportional Reaso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21-58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례 추론 지도를 위해 고려해야 할 교수학적 배경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교과서의 비와 비례 관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례 추론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러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비례 추론 지도의 교수학적 배경으로 비례 추론의 의미와 요소, 비례 추론 발달 단계와 학생들의 전략, 비례 추론 과제 유형, 비례 추론 지도 모델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기초로 미국, 영국, 우리나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례 추론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 비와 비례 내용의 비중 제고, 곱셈적 비교의 강조와 덧셈적 비교와의 구분, 비의 동치 관계의 강조, 양적 질적, 대수적 기하적 비교 과제와 미지값 과제의 적절한 균형, 비례식의 성질을 이용한 형식적 절차 도입 전 비형식적 전략의 강조, 비형식적 전형식적인 시각적 모델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규칙성이 있는 수식을 소재로 한 교수단원 설계 연구 (A Design of Teaching Unit on Series of Number Sentences with Patterns.)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2호
    • /
    • pp.297-316
    • /
    • 2002
  • In this paper, a teaching unit on series of number sentences with patterns is designed according to Wittmann's perspectives. In this paper, series of number sentences wish patterns means number sentences in which some patterns are contained. especially, seven kinds of number sentences wish patterns are offered as basic materials, and fifteen tasks based on these basic materials are offered. These tasks are for ninth grade students and higher grade students. These tasks heap students to recognize patterns, and to understand mechanism underlying in those patterns by looking for patterns and proving whether these patterns are generally hold. As working on these tasks, students can reinforce meaning of algebraic expression, its manipulation, and concept of number series. Students also can reinforce mathematical thinking such as analogical thinking, deductive thinking, etc. In this point, this teaching unit reveal important objectives, contents, and Principl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is teaching unit can also be rich sources for student's activities. Especially, for each task's level is different, each student's personal ability is considered fully. Since teachers can know mathematical facet, psychological facet, and didactical facet holistically, this teaching unit can offer broad possibilities for experimental studies. SD, this leaching un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 In this paper, this leaching unit is not applied in classroom directly. Actually such applying in classroom is suggested as follow-up studies. By appling this teaching unit in various classroom, some effective informations for teaching this teaching unit and some particular phenomenons in those teaching processes can be identified, and this teaching unit can be revised to be better one.

  • PDF

구성주의 관점의 문화재 교수·학습 연구 - 문화재청 인증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ultur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 박상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4호
    • /
    • pp.248-267
    • /
    • 2023
  •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는 문화재 교수·학습은 이제까지 체계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충분히 분석되고 연구되지 않았다. 교수·학습 이론 중 구성주의는 학습이란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흥미에 따라 정한 학습 내용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며, 그 결과는 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가에 대한 확인으로 평가된다는 이론이다. 문화재는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사회·문화적 산물로서 교육적 기능과 교재로서의 의미를 충분히 지니고 있는 교육내용이다. 이런 특징을 지닌 문화재라는 교육내용에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해본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토대로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특성과 원리, 문화재의 특성과 구성주의적 문화재 교수·학습 원리를 살펴보았다. 또 구성주의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 교수·학습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은 학습자 중심이어야 하며, 교수·학습 원리는 인지갈등이어야 하고, 교수·학습 내용은 과제해결 형태이어야 하며, 교수·학습 활동은 상호협동적이어야 한다는 문화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구성주의 관점의 문화재 교수·학습의 실제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의 프로그램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구성주의 관점의 문화재 교수·학습 연구는 우리가 아직 찾지 못한 문화재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아울러 이제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문화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고 정립하는 계기가 되리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