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SR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정보영재들의 컴퓨터 과학적 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uter Scientific Attitude on Academic Achievement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 정종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37-543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보영재를 선발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재의 정의적 특성은 자아개념, 성격, 사회성, 성취동기, 도덕성, 태도나 흥미 등을 들 수 있으며 성취도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컴퓨터 과학적 태도는 컴퓨터과학 학습의 출발점 행동으로 컴퓨터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영재의 정의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Fraser가 개발한 TOSRA를 기반으로 컴퓨터 과학적 태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컴퓨터 과학적 태도 검사 도구는 컴퓨터과학의 사회적 시사영역, 컴퓨터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영역, 컴퓨터 과학적 태도의 수용영역, 컴퓨터과학 수업의 즐거움영역, 컴퓨터과학 관련 취미에 대한 관심영역, 컴퓨터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관심영역, 컴퓨터과학자의 평범함 영역으로 7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개발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정보영재 학생들의 컴퓨터 과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컴퓨터 과학적 태도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t=2.543, p=0.025로 유의 수준 .05에서 컴퓨터 과학적 태도의 평균이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 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A Study( I ) on Students' Questioning Activity in Science Class-The Effect of the Teaching Enhancing Students' Questioning-)

  • 김성근;여상인;우규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7-38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화학 변화와 원소' 단원에 대해 학생 질문을 강화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여자 중학교 2학년 4개반(통제 집단 2학급, 처치 집단 2학급) 150명을 대상으로 4주 12차시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교수-학습 모형에는 학생 질문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정과 교수-학습 도중 생기는 의문에 대한 학생 질문 과정, 그리고 학생 질문에 대한 개인별, 전체별 송환(feedback) 과정이 포함되었다. 수업 처치 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과학적 태도의 수용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념 이해도 검사와 학업 성취도 검사의 공변량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 집단 학생들의 1학년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수용을 개념 검사지, 학업 성취도 검사지,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질문을 강화한 과학 수업 집단 학생들이 전통적 학습 집단 학생들에 비해 개념 이해도 (p<.01)와 학업 성취도(p<.05)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수용은 처치 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 학생들의 점수보다 조금 높았지만,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에 대한 교육적 합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 related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신정인;신예진;윤회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11-5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실험반은 학습 목표와 연관된 과학 개념을 글쓰기로 정리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는 TOSRA를 수정 보완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 과학 학습 동기는 PALS와 MSLQ를 수정 보완한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 학업 성취도는 학교의 지필 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관련 태도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적 태도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특히, 하위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 ' 과학에 대한 적극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과학 학습 동기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p<.05),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에 대한 가치'와 '자기 효능감'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상위 수준의 학업 성취도 집단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이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n-Off Line Blended Learning in Emphas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on the Perception about Learning Environ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 황요한;김진숙;이무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35
    • /
    • 2015
  • 학교 교육은 디지털 시대로의 교육환경의 변화 및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대한 강조와 그에 따른 교사 역할의 변화 등을 받아들이면서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서 e-learning은 적절한 학습 환경으로 각광받아왔으나,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인 상호작용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학교 홈페이지를 활용한 학습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강조한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해 가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을 오가며 학습하는 혼합형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G중학교 2학년에서 비교집단 1개 반(40명)과 실험집단 1개 반(40명)을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에서는 강의 및 토의식 수업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혼합형 학습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물질의 특성' 단원 중 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혼합형 학습에 대한 인식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에 설문조사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적 사고와 태도가 자극되어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은 혼합형 학습을 통해 교사의 안내 및 피드백을 더 쉽게 제공 받음으로써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더욱 부여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혼합형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게 하고, 교사와 학생의 학습 관련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므로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학습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및 개선 내용 분석 (Analysing the Use of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and its Improvements)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3-277
    • /
    • 2019
  • 이 연구는 1989년 이후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한 검사 도구의 수정 사례와 내용을 분석했다. 이로써 향후 검사 도구 개발과 개선 과정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고, 타당한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과학 교육 연구 88편의 현황과 이들이 참고한 국내 외 원도구 57건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 후 원도구가 개정되었던 사례 5건의 특징과 구체적 문항 수정 사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 현황에서는 지속적으로 나타난 주제와 최근에 출현하기 시작한 주제, 연구 목적과 평가 방법에 따른 연구 상황, 원도구 활용 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연구의 원도구 중 개정 과정이 공개된 5건의 검사 도구인 TOSRA, SAI, PISA 문항, STEBI-A/B, SMQ 등에 대해 개정 배경과 주요 사항을 분석했다. 개정 전후의 문항이 공개된 4개의 검사 문항을 비교해서 문항의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문항 개선은 하위 구인의 변화에 따른 신설과 삭제, 가독성 향상, 의미를 명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여러 구인이 혼재된 검사 도구에서 얻은 결과 해석상 유의점, 연구의 지평을 넓혀주는 검사 도구의 가능성, 주관적 자기 보고에서 나타나는 오차 인식, 타학문에서 유래한 검사 도구를 과학과에 적용시킬 때 유의할 점 등을 제안했다.

탈북 초등학생의 과학 교육 관련 인지적.정의적 특성 (North Korean Immigrant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 노석구;오필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95-50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orth Korean immigrant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 total of 68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s enrolled in 3 to 6 grades and 133 South Korean students in 4 and 6 grades in 3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hort vers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levels of logical thinking, and the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Scale(ESLS) of the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TOSRA) was administrated to examine their attitudes towards science lesson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the level of logical thinking of the North Korean immigrant elementary students was very low and that this was also the case for the South Korean students. Especially, the mean score of logical thinking of the North Korean immigrant 6 graders was much lower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South Korean counterparts. For both the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s and South Korean students, the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decreased as they progressed through higher grades. This decreasing trend, however, turned out to be more serious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help successful science learning of North Korean immigrant elementary students.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이 정의적 영역 및 비교과 체험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Curriculum of Science Core School on the the Affective Domain and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Satisfaction)

  • 송경훈;최성봉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2-123
    • /
    • 2013
  • Under this research, the survey is made on the definitive influence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each of humanities, science and science core cours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non-curriculum experiment activity program for each cours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year education process of the science focus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has set three research issues. First, By clarifying the research result through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for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hange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for each desired course of students. Secon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change, there was meaningful change for each desired field of students. Students hoping for humanities curriculum had great help in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for openness, creativeness and the like, but the influence was slightly insufficient in the moderation and control capability on themselves in learning attitude. Third,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 comprehensively, the first-year education curriculum for science core school provides high level of tailored science learning for the science focus school studen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S Programs on Science-Related Attitud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권용주;정완호;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3-30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S Programs on science-related attitud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samples of 198 students who are in grade 8 were selected. The eight STS Programs were used in this study.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as an experimental design. The TOSRA was used in this study as the science-related attitude evaluation instrumen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effects of STS programs about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2. Total students were classified as high(above about mean) or low (bellow about mean) on the basis of science-related attitude pretest scores. The low level students have improved from using of STS programs in teaching science on science-related attitude scores. The high level students have dropped from using of STS programs in teaching science on science-related attitude scores.

  • PDF

어플리케이션 기반 생물 관찰 기록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Analyses of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through App-Based Learning of Observing and Recording Living Things)

  • 박형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07-322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pp-based learning of observing and recording living thing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Sample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24 sixth-grade students attending the science club of 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 learning was conducted for 12 times over 7 months. '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was us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nd out more detailed characteristics, records of interview were also gathered and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ired t-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was found. As results of the interview, it was revealed that 'experiences of outdoor activities' greatly influenced the increase of science-related attitudes of the students. Second, in ANCOVA,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 of science-related attitudes.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ce-related attitudes according to 'preferred science subjects' and 'whether individual interest has occurred about observing and recording liv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of elementary biology education are discussed.

과학 관련 태도의 타당한 측정을 위한 연구 II - "과학에 대한 태도"의 감정적 요소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A Study of Valid Measurement in Science Related Attitudes (II) - To Develop an Affective Componen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Scale-)

  • 이경훈;우종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0-19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design a system for constructing Likert attitude scales as supported by the sociopsychological and measurement literature, and (2) (using the design) to develop an affective componen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rationale for developing a new attitude scale is presented in the context of a review of existing attitude scales. As discussed in the literature review, many existing attitude scales are based on ill-defined theoretical constructs, and includes statements that do not appear to be assessing a single construct of attitude toward science. In addition, existing attitude scales do not distinguish between affective and behavioral and cognitive components of attitude toward science. Thus, this study was to carefully define the construct, subcomponents of attitude toward science, and develop an affective component of "Attitude toward Science" scale to reflect the construct and to distinguish between affective and behavioral and cognitive components of attitude toward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ree-mains step for designing reliable and valid attitude scale were developed, and (2) 35 items(16 positive and 19 negative) for an affective componen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scale with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developed: (a)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estimated using Cronbach's coefficient ${\alpha}$, 0.9727. (b) The range of adjusted item-total correletion(${\gamma}$-value) were 0.58${\sim}$0.83. (c)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anged between 0.61 and 0.74 revealing a moderate relatedness between subcomponents. (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oncurrent validity were 0.55 with TOSRA and 0.51 with S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