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tegic development pla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4초

규모의 경제성을 고려한 전략적 온실가스저감기술 개발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기법: AHP/DEA CCR-I 및 BCC-I 혼합모형 적용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for Developing Greenhouse Gas Technologies Strategically Considering Scale Efficiency: AHP/DEA CCR-I and BCC-I Integrated model Approach)

  • 이성곤;겐토모기;김종욱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52-560
    • /
    • 2008
  • In 1997,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National Energy and Resources Plan, which targeted from 1997 to 2005 with strategic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At the end of 2005, Korean government built a New National Energy and Resources Plan preparing for upcoming 10 years from 2006 until 2015 based on energy technology trees comparing with the previous plan, which based on the energy R&D projects. In this research, we prioritize the relative preferences and efficiency by an AHP/DEA CCR-I and BCC-I integrated model approach considering scale efficiency for well focused R&D and efficiency of developing Greenhouse Gas technologies as an extended research from a view point of econometrics as an extended research.

지역공공도서관을 활용한 농촌지역의 지역정보화에 대한 전략적 구상 (A Plan for Regional Informatization in Rural Community through Utilization of Public Libraries)

  • 배순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6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화와 정보화를 기저로 하고 있는 지역정보화의 수행과정에 공공도서관을 활용함으로써 지역공공도서관의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함에 있다. 이는 지역정보화의 기본개념과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호 일치되는 내용을 가지고 이기 때문이다. 지역정보화의 수행과 공공도서관의 활성화라는 이중의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도서관이 갖는 사회적 기능을 정보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과, 커뮤니티 네트워크 개념을 전략적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이들 계획은 오늘 날 농촌지역의 복지 및 개발 사업으로서, 범국가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고려한 결과이다.

전자무역 마케팅의 변화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e-Trade Marketing)

  • 이상진;김형철
    • 무역상무연구
    • /
    • 제60권
    • /
    • pp.213-234
    • /
    • 2013
  • e-Trade 3.0 era which means the expansion of seamless e-Trade process into global business has been come. e-Trade is in the evolution stage with the reflection of time changes and IT development. Furthermore e-Trade marketing method of SMEs has been generalized. However, SMEs have not utilized e-Trade marketing very actively even if it has much benefits in exploring overseas marketing. In this regard this paper has cautiously suggested the strategic using plan of e-Marketplace and SNS along with policy improvement in order to promote extensive diffusion of e-Trade marketing. First of all, a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has to be developed for the assessment of overseas marketing program and provide organized guideline including SMEs support system. Also e-Marketplace operation company is necessary to invent management system for supervising and detecting risk factors of participating firms and business model to share information which each e-Marketplace possesses through mutual connection. Finally, the effective supports such as short-term education and acting operation of initial account to use SNS strategically are needed and continuous contents development to adopt SNS is absolute.

  • PDF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적정성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dequacy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Regional Industries)

  • 박상옥;원유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60-5267
    • /
    • 2013
  • 성공적인 지역발전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공간적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전략산업 육성이 필요 하다. 지역산업 발전의 선택과 집중사이에서 선정된 전략산업이 지역경제를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파급효과를 줄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단순히 정책적 과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역할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 지역산업과 관련된 주체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지를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적 사업의 적정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지표가 고려되어야 할 것임에 착안하여 국내외 지역발전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지표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여 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산업이 갖춰야 할 합리적 평가체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발전' 부문에서 '지역경제', '인력양성', '지역마케팅' 부문의 속성으로 구분하여 총 9개의 지표를 도출하였고, '산업발전'부문의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의 9개 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향후 지역산업 육성정책의 평가 시 다양하고, 구체적인 평가체제를 기본으로 부족 부분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지자체는 전략적으로 산업간 융복합이 가능하고, 광역지역 간 연계가 용이한 전략 산업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산업을 위한 인재와 기업에 대한 원활한 기반마련 및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부산신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부산신항복합물류단지와 서부산유통단지의 기능적 연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West Busan New Port Distri-Park and the West Busan Logistics Park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Container Cargo Traffic Volume of the Busan New Port)

  • 이경오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5
    • /
    • 2001
  •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e of container cargo traffic volume more effectivel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has a long-term plan to develop Gaduk Island. According to the plan, the New Port will handle 4,600,00TEUs annually.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will enable the port of Busan to perform as a hub port in the Asia Pacific era of the year 2000 with sufficient port facilities, and this will lead to a new era of oceanic Korea. With the advent of the Pacific Rim Era of the year 2000, Busan metropolis has set a strategic development plan to establish the area as the center of logistics in the noreast Asian region as well as to become the stronghold of economic activity in Korea's southeast region. To this end, industries that will open the doors to a marine era and a new industrial complex focused on logistics are planned in the West Busan area where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and the Busan New Port meet.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functional relation and complement between the Busan New Port Distri-Park handing container cargo traffic volume and the West Busan Logistics Pa가 handling an air cargo and railroad goods. Especially, paper aims to suggest the West Busan Logistics Park as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container cargo traffic volume due to the Development Plan of the Busan New Port.

  • PDF

해양에너지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검토유형 및 중점평가사항 진단 (Diagnosis of Scoping and Type of Review on the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Ocean Energy Development Project)

  • 이대인;김귀영;탁대호;이용민;최진휴;김혜진;이지혜;윤성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9-188
    • /
    • 2015
  • 본 연구는 연안 육역 및 해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해양 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 및 추진사업을 분석하고, 해양환경 및 생태계와 관련된 중점평가사항을 진단하여 효율적인 스코핑(Scoping) 방안과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한 사업유형으로는 공유수면에는 조력, 해상풍력 및 파력발전이 많았으며, 연안 육역에는 태양광발전사업이 주로 계획되었다. 조력발전 등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 시, 상위계획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SEA)와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등 사전평가단계에서는 입지의 타당성과 계획의 적정성 측면에서 연안관리지역계획에 따른 용도구역 등 다른 계획과의 조화, 실질적인 대안분석, 그리고 해양수산 규제지역 분포와 어장이용 등 기 해양공간계획과의 상호 연관성 진단 등이 중요하다. 또한, 해역이용협의나 환경영향평가 등 실시단계에서의 구체적인 평가에서는 사업유형별로 중점평가사항에 대한 철저한 진단, 실효적인 사후모니터링 및 저감방안의 제시가 핵심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순수하게 해양공간에서 일어나는 에너지발전사업일 경우에는 해양공간계획 방향과 연계되는 사전평가방안 도입 및 통합 "해양환경영향평가" 체제로의 전환 등 해양수산부가 주도하는 평가제도의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지원을 위한 해군의 역할·발전방안 고찰 (Tasks and Development plan of R.O.K. Navy to support Korean government's 『Indo-Pacific Strategy』)

  • 지영
    • 해양안보
    • /
    • 제6권1호
    • /
    • pp.83-107
    • /
    • 2023
  • 인도-태평양 국가인 대한민국에게 이 지역의 안정과 번영은 국가의 생존과 이익에 직결된다. 현재 인태지역은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으로 안보환경이 불안정하며, 초국가· 비전통적 위협도 상존하고 있어, 소자/다자 간 공동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ASEAN 및 역외의 EU, NATO까지 자체 인태전략을 발표하며, 이 지역 현안에 개입하고자 노력 중이다. 한국도 2022년 12월 28일, 독자적인 인태전략을 공개하였는데, 이는 이전 신남방정책의 균형외교(전략적 모호성)를 벗어나, 광범위한 인태지역의 현안에 적극적으로 개입·기여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제 해군은 정부의 인태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 첫째, 역내 안보현안 관련 소자/다자 간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둘째, 이 협력의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 해군력 현시, 연합훈련 등 실제 전력을 운용하여 잠재적 위협에 대해 거부적 억제를 달성해야 한다. 셋째, 인태지역에 상존하는 초국가·비전통적 위협에 대응하는 한편,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한국의 해군으로서, 개발도상국의 해양력 증강을 지원하는 기여 외교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해군 고유의 작전특성(기동성, 융통성, 지속성, 현시성, 투사성)이 발휘될 것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해군 내·외부 작전환경(SWOT)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STP Development for Rejuvenation of Declining Industrial City: Kitakyushu, Japan

  • Cha, Sang-Ryong;Miyakawa, Yasuo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1호
    • /
    • pp.56-64
    • /
    • 2012
  • This paper provides a case study to explore the Kitakyushu case as a good referential example on STP development for rejuvenation of declining industrial city. The major data for the case, basically, has been sourced from some materials published by the municipality of Kitakyushu City, the website of the Kitakyushu Science and Research Park (KSRP) etc. The City of Kitakyushu has promoted the KSRP development to overcome industrial decline and stimulate city renaissance as a new industrial city. The core of the development was to develop a high-level education and research environment by gathering several HEIs into one campus. Based on the environment, the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and Science and Technology (FAIS) played the critical role as a coupler to make various networks and boost industry-academiaadministration innovation. The KSRP, and then, has been designated as a project area of some cluster projects initi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means that local projects can be synchronized, synergized and synthesized with national projects in the KSRP. In addition, through a series of the environmental approach from the Kitakyushu Eco-town Project to the Low Carbon Society Project, the development of the KSRP is being extended into the region. In the Kitakyushu case, networking is the essence of the KSRP development from the planning stage. First of all, the plan put emphasis on networking of academia for the knowledge creation based on competitive collaboration that is expected as the mainspring of rejuvenating declining industrial area and making a new industrial city that the plan aimed. Then, the roles of two organizations are very important for networking, especially networking of networks: the Campus Management Committee as an interface and the FAIS as a coupler. STP development without some strategic considerations for networking as the way of interaction among its participants cannot be a tool to promote innovation and rejuvenate a declining industrial area. The Kitakyushu case mentioned above explains the matter clearly.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의 중.장기 건립 방안 연구 (A Research on the Medium- and Long-Term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Branch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곽동철;심경;윤정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13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도서관 상황에 가장 적합하다고 보이는 미래지향적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의 중 장기 건립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안)에 대한 대안으로서 "양극-다기화" 체제를 제안하였다. 이는 우선 하나의 직할 분관 건립에 주력하여 국가도서관 체제의 양축을 구성하고, 장기적으로 필요시 복수의 분야별 국립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시발점으로 한 국가도서관 발전체제 구축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직할 분관, 분야별 국립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의 협력 체제 확립과 국가 차원의 전국적 도서관서비스의 연계 협력 모형 구축 및 중 장기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고, 둘째, 실질적인 예산 확보 및 제반 정책적 지원 방안 강구하며, 셋째, 국내 도서관들 간 지역별 도서관 협력체계의 국가적 차원 연계 및 각급 도서관의 역할 정립을 지원하고, 넷째, 국가의 지속가능한 도서관 발전정책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지방테마과학관의 실태분석 및 특성화방안 고찰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Consideration of Specification Pla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 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9
    • /
    • 2009
  • Through 'Local Theme Science Museum' aid program that is one of emphasis promotion strategic project by 2007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raises status of scientific technique by national core ability because all people expand base that understand and support scientific technique, and forms a social atmosphere which is scientific technique is important which scientific technique can be spread widely on national life and society whole, and proceeds target that expand local science museum facilities by a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and popularization. Accordingly, to pla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utilize to an advanced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because offer a science culture experience opportunity to local inhabitants,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is doing for that establish more 100 science museums for national.public.private institution in whole country until 2012 year. Support 39 projects to 2008 from 1999 thereby, in January, 2009, 13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opened and operated. This study examined arrangement preferentially about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that is background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Since surveying science museum which is on opening and operation at the present and analyzed actual conditions and facilities and investigated specification necessity and directio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Hereafter, to seek plan for propriety of project by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purpose of this study. Now, need set and promotion of following specification direction for right activation of proceeding 'Local theme science museum' by each area. First, differentiation of theme and justifiability of building, Second, propriety of site position, Third, maximization of synergy effect by mixing concept of 'Specialized Economic Zone for Regional Developmental Policy' and Ecomuseum's 'Theme ce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