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matic symptoms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9초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어머니의 상태불안이 아동의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nal State Anxiety on the Children's Somatic Symptom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김경미;신동원;이근문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4호
    • /
    • pp.256-261
    • /
    • 2007
  • Objectives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xiety and depression of children and mothers were associated with the children's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Methods : 83 clinic-referred boys with ADHD and 52 boys without ADH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the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s, such as general-ache, headache, nausea, eye problems, skin problems, abdominal pain, vomiting was evaluated using the somatic symptom domai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Children'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using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and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for children. Maternal anxiety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b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is. Results : Score of maternal state anxiety affects the T score of the somatic symptom domain in CBCL significantly(adjusted $R^2$=0.057 ; p=0.026). Conclusion : The frequency of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 of children perceived by mothers was associated with the high level of maternal state anxiety in ADHD. Frequent maternal report of the children's somatic symptom may be a warrant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maternal state anxiety in ADHD.

  • PDF

사회불안장애와 공황장애에 동반된 우울증상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Depressive Symptoms between Social Anxiety Disorder and Panic Disorder)

  • 김선영;임세원;신영철;신동원;오강섭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4호
    • /
    • pp.216-222
    • /
    • 2015
  • Objectives The principal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SAD) and panic disorder in comparison to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2 patients with SAD, 128 panic disorder and 64 depressive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dysthymia etc.) patients without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The Beck Depressive Inventory (BDI) is used to measure depressive symptoms. We divided BDI into three categories originally described by Shafer AB, including negative attitude toward self, performance impairment, and somatic symptoms. We compared the depressive symptoms of SAD, panic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by using ANOVA. Results Negative attitude toward self was noticeable in SAD (SAD $0.54{\pm}0.23$, panic disorder $0.41{\pm}0.17$, depressive disorder $0.46{\pm}0.11$, p < 0.001). Performance impairment and somatic symptoms were remarkable in panic disorder than in SAD and depressive disorder (performance impairment : SAD $0.39{\pm}0.21$, panic disorder $0.44{\pm}0.14$, depressive disorder $0.40{\pm}0.09$, p = 0.009 ; somatic symptoms : SAD $0.07{\pm}0.10$, panic disorder $0.15{\pm}0.12$, depressive disorder $0.14{\pm}0.08$, p < 0.001). Conclusions The results facilitate an approach to optim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omorbidity of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in Patients with Indoor Aire-Related Environmental Intolerance

  • Vuokko, Aki;Karvala, Kirsi;Suojalehto, Hille;Lindholm, Harri;Selinheimo, Sanna;Heinonen-Guzejev, Marja;Leppamaki, Sami;Cederstrom, Sebastian;Hublin, Christer;Tuisku, Katinka;Sainio, Markku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3호
    • /
    • pp.362-369
    • /
    • 2019
  • Background: Chronic nonspecific symptoms attributed to indoor nonindustrial work environments are common and may cause disability, but the medical nature of this disability is unclear. The aim was to medically characterize the disability manifested by chronic, recurrent symptoms and restrictions to work participation attributed to low-level indoor pollutants at workplace and whether the condition shares features with idiopathic environmental intolerance. Methods: We investigated 12 patients with indoor aire-related work disability. The examinations included somatic,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evaluations as well as investigation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ortisol measurements, lung function, and allergy tests. We evaluated well-being, health, disability, insomnia, pain, anxiety, depression, and burnout via questionnaires. Results: The mean symptom history was 10.5 years; for disabling symptoms, 2.7 years. Eleven patients reported reactions triggered mainly by indoor molds, one by fragrances only. Ten reported sensitivity to odorous chemicals, and three, electric devices. Nearly all had co-occurrent somatic and psychiatric diagnoses and signs of pain, insomnia, burnout, and/or elevated sympathetic responses. Avoiding certain environments had led to restrictions in several life areas. On self-assessment scales, disability showed higher severity and anxiety showed lower severity than in physician assessments. Conclusion: No medical cause was found to explain the disability. Findings support that the condition is a form of idiopathic environmental intolerance and belongs to functional somatic syndromes. Instead of endless avoidance, rehabilitation approaches of functional somatic syndromes are applicable.

A Cas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Hospitalized after a Traffic Accident

  • Hong, Min-Ho;Cho, Han-Byul;Kim, Man-Gi;Koo, Byung-Su;Kim, Geun-Woo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9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hospitalized after a traffic accident. Methods: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a patient diagnosed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that worsened after a traffic accident. During hospitalization, herbal medicine, acupuncture, psychotherapy, and other treatments were performed. Clinical effect was evaluated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HRV),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AI (Beck Anxiety Inventory), Global assessment (G/A), and Numerical rating scale (NRS). Results: After 36 days of treatment, BDI-II score was reduced from 17 to 5. BAI score was reduced from 23 to 8. Overall somatic symptoms and pain showed decreases.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might be effective for somatic symptom disorder that is worsened after a traffic accident.

상부 위장관 장애 환자에서의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반응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 서용우;조인희;신광철;정용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172-180
    • /
    • 2000
  • 연구목적 : 상부 위장관의 소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스트레스를 지각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 및 소화장애 증상의 여러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특정 정신신체질환군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특성과 해당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소화장애 증상으로 인천기독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위내시경 소견 상 병변이 확인된 84명의 환자와 94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인지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환자군에서 현재 호소하는 소화장애 증상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 심리적 고통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는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자 178명에서 8개 하위척도와 척도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65~.9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척도의 전체총점과 일반적 신체증상척도, 특정신체증상척도의 접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화장애 증상과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와의 관련성은 소화장애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는 특정신체증상을, 심리적 고통의 존재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일반적 부정적 사고를 잘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실제 상부위장관에 병변을 가진 소화장애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서 강한 스트레스 반응 지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인지하였을 때 감정, 인지, 행동 영역의 반응보다는 자율신경계 및 특정신체부위와 연관된 신체증상을 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소화장애의 기간이 길고, 과거력이 있을수록, 그리고 증상이 심할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소화기 증상을 주로 한 특정신체증상으로 반응하며 심리적 고통을 주는 스트레스의 존재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사고반응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

  • PDF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부조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 이정민;홍민희;장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39-249
    • /
    • 2021
  • 본 연구목적은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부조화와 우울, 불안, 신체증상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행정직원 191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Sobel Test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들 다수가 감정부조화(52.36%), 우울(47.12%), 불안(58.12%), 신체증상(62.83%)의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감정부조화 위험군이 정상군에 비교하여 우울, 불안, 신체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감정부조화와 심리적 유연성은 우울, 불안, 신체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감정부조화와 정신건강 요인(우울, 불안, 신체증상 각각)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 행정직원들의 감정노동과 정신건강에 개입할 필요성과 그 개입 및 예방 방안으로서 심리적 유연성을 제언하였다.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우울증상, 통증 그리고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 of SSRIs and SNRIs on Depression, Pain and Somatic Symptoms in Elderl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한은희;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72-80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증 및 신체증상이 동반된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기분증상 및 통증, 신체 증상에 대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시행된 전향적 개방연구로 DSM-5 진단기준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총 43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평균연령 : 72.53세, 여성 58.1%). 대상군은 SSRI, SNRI 두 군으로 분류되었고 우울, 통증 및 신체증상은 각각 한국판 해밀턴 우울증 평가척도(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시각적 비율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환자 건강 설문지(Patient Health Questionnare-15, PHQ-15)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measure ANOVA)으로 약물 투여 전과 투여 후 6주의 KHDRS, VAS, PHQ-15 점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SSRI군과 SNRI군에서 K-HDRS, VAS, PHQ-15 모두 약물 투약 전에 비해 6주 후의 점수가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 두 군 간에 호전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SSRI, SNRI 모두 통증 및 신체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통증 및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노인 우울증 환자에게 약물치료를 시행할 때 선택할 수 있는 항우울제 처방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약물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갑상선기능과 기분증상 및 신체증상 (Thyroid Dys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Mood Symptoms and the Psychosomatic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세희;한덕현;나철;민경준;주소연
    • 정신신체의학
    • /
    • 제17권1호
    • /
    • pp.30-36
    • /
    • 2009
  • 연구목적 : 갑상선기능은 기분, 인지기능, 불안, 수면 등의 증상과 관련된다. 갑상선기능이상 시에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음성증상, 기분, 신체증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 각각의 증상 변화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연구하였다. 방법 : 정신분열병으로 입원했던 환자 65명을 입원 당시의 갑상선호르몬 수치에 따라 갑상선기능불안정 군과 갑상선기능정상 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의 입원 당시와 8주 후에 평가했던 음성증상평가척도(Scale for the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 ; 이하 SANS), 양성증상평가척도(Scale for the for the Assessment of Positive Symptoms ; 이하 SAPS), 벡우울증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 이하 BDI), 신체감각증폭척도(Somatosensory Amplication Scale ; 이하 SSAS)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각 환자들은 항정신병약물 치료를 포함한 입원 치료를 받았으며, 갑상선기능이 불안정했던 경우 4주 후에 갑상선호르몬의 정상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8주 뒤에 갑상선기능정상 군과 갑상선기능불안정 군에서 SANS, BDI, SSAS 변화 차이가 의미 있게 나타났다. 갑상선기능정상 군에서 갑상선기능불안정 군에 비해 척도 점수가 크게 낮아졌는데, SANS는 23.3%(F=57.0, p<0.01), BDI는 19.6%(F=12.9, p<0.01), 신체감각증폭척도는 16.2%(F=17.1, p<0.01) 더 변화가 컸다. SANS, BDI, SSAS 세 지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서 갑상선기능이 음성증상, 우울감, 신체증상에 관련된 예후에 표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연성 이상운동이 있는 조현병 환자의 우울증 (Depression i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ardive Dyskinesia)

  • 차성재;오근;김미숙;박선철;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4호
    • /
    • pp.110-11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nd tardive dyskinesia (TD) and reveal the associ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T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We recruited 30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D and 31 without TD from a national mental hospital in South Korea. To ass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were conducted. Using the five-factor structure of the BDI-II and BAI, somatic anxiety, cognitive depression, somatic depression,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anxiety were assesse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was performed to assess levels of cognitive functions.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levels of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D and without T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Mann Whitney U 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among the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AIMS), BDI-II, BAI, somatic anxiety, cognitive depression, somatic depression,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anxiety. Results The subjects with TD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on the cognitive depression than those without TD (t = -2.087, p = 0.04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IMS score and the BDI-II score (r = -0.386, p = 0.035) and between the AIMS score and cognitive depression score (r = - 0.385, p = 0.035).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ies in TD and depression and support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hophysiology of TD and depression.

  • PDF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의 신체증상 지각 특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the Somatic Symptoms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권주한;박종일;사공정규;양종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02-110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의 신체증상 지각 특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9년 7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48명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과 48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군에 대해 임상가용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Hamilton 불안 척도를 평가하였고 정상대조군에 대해 신체감각 증폭 척도를 평가하였다. 신체감각 증폭 척도에 대해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고 환자군에서 척도간 상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결 과 신체감각 증폭 정도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평균적으로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군에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심각도는 반추, 파국화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신체감각 증폭 정도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과각성 증상과 파국화, 타인비난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은 반추, 파국화와 같은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감각의 증폭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 중 과각성 증상 및 파국화, 타인비난의 인지전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추, 파국화, 타인비난, 신체감각 증폭과 같은 부정적인 인지를 줄여주는 것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신체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