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wage odor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8초

부산지역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 규명 및 황화수소 발생량 예측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H2S Emission Rate from Municipal Solid Waste at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in Busan City)

  • 이태윤;김도용;김재진;이준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20
    • /
    • 2009
  • 최근 우리나라의 국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악취발생문제가 중요한 사회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로 인한 민원 중 약 67%가 하수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오염방지법 시행규칙개정으로 2012년부터는 하수오니 등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될 예정에 있어 이들 시설의 처리량 증가에 따른 관리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전역의 하수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중 상대적으로 폐기물발생량이 많은 5개 하수처리장과 5개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을 선정하여 슬러지 시료를 채집하고 이들 시료에 대한 공업분석, 원소분석, XRF 분석, 발열량분석 등을 통해 시료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알아내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시료 내 황화수소 발생가능농도 측정을 통해 황화수소발생원단위를 산정, 악취민원의 근본적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하수슬러지의 황화수소농도는 평균 57.3mg/kg,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의 것은 19.7mg/kg이었다. 최종적으로 총 10개 시설 폐기물의 황화수소 발생원 단위 산정결과 16,017,910.0mg/d로 예측 되었다.

  • PDF

BIO-CLOD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탈수성 개선 효과분석 (Improvement of Sewage Sludge Dewaterability using BIO-CLOD)

  • 성일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27-334
    • /
    • 2015
  • Objectives: In order to review both the effects of sewage sludge dewaterability and deodorizing ability in the existing advanced sewage treatment process, BIO-CLOD (a solidified mixture of 10% Bacillus concentrate and inorganics) was used as an inorganic conditioner effective for deodorization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utritive salts. Methods: Sludge dewaterability was evaluated using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SRF) experiments with six agitators and two types of commercially available BIO-CLOD; one that is made by grinding solid matter (powdered BIO-CLOD) and one that has been obtained by sieving a separation with a particle diameter of 100 mesh (100 mesh BIO-CLOD). For deodorization odor treatment experiments, 20 g of commercially available solid BIO-CLOD was submerged in four liters of sewage sludge and mixed and agitated for 45 days. Results: When BIO-CLOD was injected into sewage sludge to experimentally compare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SRF), the optimum amount of BIO-CLOD to be injected was shown to be 2% w/v and the SRF value in this case was $1.35{\times}10^{12}m/kg$. pH changes following BIO-CLOD injection were within 6.5-7.0. By 14 days after submerging BIO-CLOD into the sewage sludge to evaluate its deodorizing ability, $H_2S$ decreased by 68% and methyl mercaptan decreased by 74%. By 45 days after the submergal, both items decreased by 100%, indicating deodorizing ability. Conclusion: To compare the levels of dewaterablity of sewage sludge at different particle sizes of inorganic conditioner, powdered BIO-CLOD, particle size 100 mesh BIO-CLOD, and bentonite were tested. It could be seen that as the powdered BIO-CLOD increased, the precipitability increased up to 62% in 30 minutes. As an inorganic conditioner, BIO-CLOD was identified as a stable sludge conditioner that does not affect pH.

Analysis on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of Photocatalytic Plasma Complex Module

  • KIM, Young-Do;KWON, Woo-Taeg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21-2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s about photocatalytic technology and plasma oxidation-reduction technology. To the main cause of exposure to odor pollution, two deodoriz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develop a module with higher removal efficiency and ozone reduction effe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composite module was constructed by arranging two types of dry deodorization equipment (catalyst, adsorbent) in one module. This method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responsiveness to the components of complex odors and the environment. standard, unity, two types of oxidizing photo-catalyst technology and plasma dry deodorization device installed in one module to increase the potential by reduction to 76% of ozone, 100%, and 82%. Results: The complex odor disposal efficiency was 92%. Ammonia was processed with 50% hydrogen sulfide and 100% hydrogen sulfide, and ozone was 0.01ppm, achieving a target value of 0.07ppm or less. The combined odor showed a disposal efficiency of 93%, ammonia was 82% and hydrogen sulfide was 100% processed, and ozone achieved a target value of 0.07 ppm or less. Conclusions: Ozone removal efficiency was 76% by increasing Oxidation-Reduction Reaction(ORR). The H2S removal efficiency of the deodoriz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iofilter system currently used in sewage disposal plants.

BM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크루즈선 오·폐수 처리 (Shipboard sewage treatment by SBR process with BM)

  • 이언승;김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817-822
    • /
    • 2011
  • 본 연구는 크루즈선에서 발생하는 오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시 야기될 수 있는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BR공정에 유효미생물을 주입하여 Lab scale 실험을 수행하였다. 악취물질의 저감 정도와 크루즈선이라는 특수 환경과의 접목성을 검토한 결과 유효미생물의 주입은 선박환경에 매우 적합한 공정으로 평가되었다. 기존의 활성슬러지에 유효미생물의 주입함으로써 슬러지 내 미생물의 다양성과 높은 개체수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미생물 간의 우점종도 악취처리에 유리한 미생물종으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악취물질의 악취 강도도 20배 이상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점착성 및 비점착성 고형물이 퇴적된 관로 내 하수흐름의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Sewage Flow in Sewer Pipes Deposited with Cohesive and Non-cohesive Solids)

  • 이태훈;강병준;박규홍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53-1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하수관로 내 흐름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건기동안 처리구역 최상부에 위치한 관로의 수위, 유속, 유량의 값을 실제 측정하여 추정된 하수의 전단응력을 조사하였다. 수세분뇨 및 토사를 모사하기 위해 점착성 및 비점착성 고형물(두부와 모래)을 따로 또 함께 투입한 후 흐름의 상태를 촬영하였는데, 본 실험대상관로에서는 큰 방해없이 침전물이 하수와 함께 씻겨 내려가는 것을 관찰하였다. 경사가 0.00319인 관로에서 주중 하수의 최소전단응력을 초과하는 빈도는 0이었고 0.00603의 기울기의 경우 10회였다. 현장조사기간 중 최소전단력을 초과하는 이벤트는 1회 발생하여 하수도에서 악취가 증가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경사가 가파른 관로의 최대전단응력은 2.9~3.1N/㎡이었지만, 완만한 경사에서는 1.6~1.7 N/㎡으로 감소하였다. 강우시 합류식 관로로 유입될 수 있는 비응집성 입자를 포함한 하수는 최소전단응력 기준 이하로 유지되는 시간 간격이 주중에 비해 주말동안 증가하였다.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된 본 실험대상 관로에서는 수세분뇨가 직투입되어도 관로내 침전물이 오래 퇴적상태로 머물지 않고 하수와 함께 흘러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VOCs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dor and VOCs Emitted in Sewage Water Treatment Plant)

  • 황희원;정봉진;장영기;김관;이하영;송기봉;김호정;김형석;심혁성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3-184
    • /
    • 2002
  • 도시와 산업의 발달 및 인구의 도시 집중화로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통 환경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상황에서, 특히 악취(odor)와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물질이 사회의 중요한 환경오염 문제고 부각되고 있다 광화학스모그의 선구물질인 VOC의 주요 배출원은 도로차량, 비도로차량, 용제사용과 유류저장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중 용제사용 부문에는 세정, 인쇄, 세탁, 도장, 농약살포, 소비용품, 도로포장 통에서 대부분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환경기초시설인 하폐수처리장, 폐기물 소각장 및 매립장 등에서도 다량의 VOC/악취 물질들이 배출되고 있다. (중략)

  • PDF

하수처리오니 알칼리 안정화 처리시설에서의 암모니아 발생특성 (Characteristics of Ammonia in Alkaline Stabilization Facility of Sludge from Sewage Treatment Plant)

  • 김용준;정다위;정미정;유혜영;윤철우;신선경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3호
    • /
    • pp.23-33
    • /
    • 2016
  • 본 연구는 하수처리시설의 유기성슬러지가 알칼리 안정화 처리시설을 거쳐 발생되는 암모니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니아 검지관을 통해 알칼리 안정화 처리시설의 혼합 및 양생 공정에서 87.78 ppm($66.62mg/m^3$) ~ 1,933 ppm($1,467.01mg/m^3$) 으로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가 검출 되었다. 이는 하수처리오니의 질소산화물이 생석회와 혼합되며 암모니아로 변환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시설에서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단이 비교적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나,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암모니아를 제외한 악취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공정 중 암모니아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혼합 > 양생 > 반출 > 저장 > 건조 > 입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 운영 중인 5개 알칼리 안정화 처리시설에서 발생된 악취 물질들은 황산과 차아염소산 등을 사용하여 습식처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시설은 1 ppm($0.76mg/m^3$), 50 ppm($37.95mg/m^3$) 또는 100 ppm($75.89mg/m^3$)으로 방출되도록 설계되었으나 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의 경우, 일부 알칼리 안정화 처리시설은 노동부가 정한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향후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환기가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암모니아를 포함한 악취물질이 시설의 부지경계선에서 검지관으로 검출되지 않았으나, 현재의 운전상태로 볼 때, 미량의 악취물질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황화수소(H2S) 흡착성능 증진을 위한 하수슬러지 기반 흡착제 탄화조건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ewage Sludge-based Adsorbent Carbonization Condition for Improving Adsorption Capacity of Hydrogen Sulfide (H2S))

  • 최성열;장영희;김성수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765-77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각종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유발물질 중 $H_2S$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슬러지 기반 흡착제의 흡착성능 증진을 위해 제조조건 중 탄화조건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적용되는 흡착제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온도 및 승온속도와 같은 탄화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하였으며, 흡착제의 물리적 특성과 흡착성능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10^{\circ}C/min$의 승온속도로 $900^{\circ}C$의 온도에서 탄화과정을 거친 슬러지의 흡착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SEM, BET 분석을 통해 비표면적 및 기공특성(기공크기, 부피)이 흡착성능의 주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최적 탄화조건 흡착제의 흡착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K 이온을 담지하였으나, 하수슬러지 기반 흡착제의 경우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GC/FPD에 의한 대기 중 황화합물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Sulfur Compounds by GC/FPD)

  • 양성봉;유미선;황희찬
    • 분석과학
    • /
    • 제16권3호
    • /
    • pp.240-248
    • /
    • 2003
  • 공업지역에서 악취원인물질로 잘 알려진 황화물은 매우 낮은 최소 후각감지농도를 나타낸다. 여러 악취발생원 주변의 대기 중 미량의 황화합물을 아르곤에서 농축시켜 선택성과 감도가 우수한 불꽃 광도 검출기 (FPD)가 장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5% ${\beta}$,${\beta}$-Oxydipropionitrile, 60/80 Chromosob W가 저온농축을 위한 흡착제로 되었으며 이를 충전 유리컬럼의 충전제로도 사용하였다. 악취시료의 농축량은 0.1~3.0L 범위에서 채취장소에 따라 달리하였다. 주거지역과 사업장 부지경계선상에서의 공기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공업지역 내 사업장의 배출구 가스 중의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