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sa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8초

무인기와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산지초지에서의 애기수영 분포도 제작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umex acetosella L. on Hill Pasture using UAV Monitoring System and Digital Camera)

  • 이효진;이효원;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65-369
    • /
    • 2016
  • 본 연구는 산지초지에서 애기수영의 분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안 무인기 촬영 항공영상의 이용가능성을 실험하였다. 항공영상은 일반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RGB 영상과 자체 제작한 NIR 카메라로 촬영한 NIR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 Red, Green, Blue 벤드와 NIR 밴드를 이용하였고, 밴드조합에 따른 애기수영의 건물비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NIR+R+G+B 밴드의 조합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R^2$, 0.96)를 보였으며, R+G+B 밴드의 조합이 다음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R^2$, 0.91) NIR+R 밴드($R^2$, 0.45)와 NIR+G 밴드 ($R^2$, 0.27)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NIR+R+G+B 밴드조합이 애기수영 분포 파악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R+G+B 밴드 조합의 경우 NIR+R+G+B 밴드의 조합과 비교하여 예측정확도가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근적외선 카메라 없이 일반 디지털 카메라로 영상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적용성 면에서 장점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Oryza2000 모형 활용을 위한 육묘기 보온 상승온도 결정 (Determination of the Temperature Increasing Value of Seedling Nursery Period for Oryza2000 Model to Applicate Grid Weather Data)

  • 김준환;상완규;신평;백재경;권동원;이윤호;조정일;서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0-25
    • /
    • 2020
  • 최근 고해상도의 격자형 기상자료를 활용한 기후변화 또는 농업기후분석이 시도되고 있다. 모형구동을 위해서는 각 격자별로 재배 정보를 입력해야만 한다. 이러한 입력정보 중 Oryza2000 에서는 육묘기간 온도상승값이 필요하며 이는 지역별로 파종기에 따라 변화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격자형 자료를 사용하여 모의할 때는 이것들을 모든 격자에 대해서 변화된 값을 주는 것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원, 수원, 서산, 광주에 대해서 4 월 중순부터 6 월 중순까지 육묘온도 상승값을 0℃, 2℃, 5℃, 7℃ 및 9℃로 적용하고 가장 변이 발생이 적은 온도를 선택하였다. 0℃와 2℃는 4 월 중순의 낮은 온도가 발생하였을 때 큰 변이를 보여 적절하지 않았으며 7℃이상에서는 변이가 줄어들었으나 모몸살 효과에 따른 출수지연 효과가 지역별로 파종기별로 과대평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는 5℃가 가장 안정적인 출수날짜를 보였으며, 격자형 기상자료를 구동할 때는 이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진동 Source 제공을 위한 심부 시추공발파 기술사례 (A Case Study on the Boring-Hole Blasting for Offering of the Ground Vibration Source)

  • 조영곤;김희도;조준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3권3호
    • /
    • pp.187-195
    • /
    • 2003
  • 본 기술사례는 한반도 지각속도 구조연구 과제 중 서산지역과 포항지역을 연결하는 200 kg 측선에서 2차원 지각구조를 밝히기 위한 지각규모 굴절파탐사의 지진동 source 제공을 위해 수행한 대구경 시추공발파에 관한 내용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거의 실행해 본 경우가 없는 지발당 장약량이 각각 500 kg, 1,000 kg인 2회의 순발 대발파를 수행하였으며, 이 때 천공된 시추공의 직경과 깊이는 각각 300 mm와 100 m이다. 또한 1 km 간격으로 총 200 km 거리에 분포시킨 200개의 계측지점에 지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속을 가진 폭약과 외부의 충격에 대해 안전하고 기폭력이 우수하며, 시차가 정확한 비전기뇌관을 특수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시추공내로 유출되는 물에 의한 사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폭약은 철관용기를 제작하여 벌크 형태로 장약 하였다. 발파전 용기 밀폐 시험 및 용기제작 후 기폭실험을 통해 제작한 철제용기와 뇌관의 100 m 깊이 시추공 발파에 대한 적용성을 사전에 확인하였다. 발파 결과 서산과 영동지역 모두 성공적인 발파를 이루었으며, 모든 지진관측기에서 진동이 관측되었다. 또한 실제 발파 중 진동속도 값을 측정한 결과 주변보안물건에 가해진 진동속도의 경우 미광무국식(USBM)을 이용하여 예측한 진동속도 값보다 평균 180 % 정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발파를 함에 있어 진동의 해석보다는 진동 source제공방법에 그 초점을 두었다.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와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of Behavioral Inhibition/Activation System about Science Learning to Self-efficacy)

  • 임성만;홍은주;양일호;임재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58-769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학습 동기체계를 알아보기 위한 SL-BIS/BAS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496명, 중학교 2학년 425명이 과학학습 행동억제/활성화체계 검사 도구(SL-BIS/BAS)와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수행하였으며, 회수된 검사지를 바탕으로 집단별 과학학습 행동억제/활성화체계를 파악하고 두 체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에 대한 민감성은 4학년보다 8학년이 더 높았으나 과학학습 행동활성화체계에 대한 민감성과 자기효능감은 8학년보다 4학년이 더 높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와 낮은 부적상관이 있으며, 과학학습 행동활성화 체계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체계의 설명력은 41%로 나타나, 자기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과학학습 행동억제/활성화체계의 분석을 통해 학습자 변인에 따른 동기의 차이, 그리고 동기와 관련변인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동기와 관련변인을 근본적으로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정밀 손상도 평가와 보존환경 분석 (Detailed Deterioration Evaluation and Analysis of Conservation Environment for the Seosanmaaesamjonbulsang (Rock-carved Triad Buddha in Seosan), Korea)

  • 이선명;이찬희;김지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7-294
    • /
    • 2010
  •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84호)을 이루는 암석은 담회색을 띠는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이며 부분적으로 페그마타이트 및 석영 세맥이 관찰된다. 삼존불이 조각된 암반은 전면에 걸쳐 불규칙적인 불연속면의 발달로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암괴를 형성하고 있으며, 암반 사면의 안정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훼손도 진단 결과, 수직 및 수평 절리가 밀집된 부분을 중심으로 물리적 풍화와 표면변색에 의해 훼손이 가중된 상태를 보인다. 이를 삼존불의 전체 면적대비 훼손율 42.7%에 비교했을 때, 물리적 풍화는 9.6%, 변색은 33.1%로 변색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초음파 측정 결과, 삼존불은 전반적으로 심한 풍화단계(HW)에 있으며 삼존불에 발달하고 있는 불규칙한 절리계를 따라 약 1,000m/s의 저속도대가 분포하여 구성 암석이 약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삼존불 보호각 내외부의 상대습도는 사계절 모두 평균 70% 이상을 기록하며, 95% 이상의 고습도 영역에서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이 고습도 환경은 강수와 함께 암석 표면에 결로를 발생시켜 수분을 공급하며 수분의 침투와 함수율이 높은 균열 및 절리대를 따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풍화를 진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삼존불의 과학적 보존을 위해 수분문제를 비롯하여 지속적인 보존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제어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호교차로의 차량운행비용 특성을 고려한 경제성분석 모형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conomic Efficiency Model Considering Vehicle Operating Cost Properties of Signalized Intersections)

  • 변은아;김영찬;안소영;고광덕;윤수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9-206
    • /
    • 2009
  • 교통시설 투자평가에 대한 경제성 분석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및 투자평가지침에서 적용하는 차량운행 비용 절감편익 중 유류비 산정 자료는 차량운행시 유류소모량과 주행속도와의 관계만을 고려하여 분석하고 있다. 신호로 인한 정지지체가 발생하지 않는 연속류의 경우 주행속도와 통행시간의 변화로 인한 절감편익에 대한 고려가 가능하나, 실제 신호교차로상에 신호제어로 인해 정지가 발생하는 단속류에 대해서는 정지지체시간감소 및 정지율 개선에 대한 고려가 없어 개선 효과분석의 현실반영이 어렵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 정지지체시간감소에 따른 절감편익을 보완하여 차량운행비산정 모형 관계식을 개발함으로써 신호교차로 특성을 반영한 편익을 분석 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드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공회전시 유류소모량 적용으로 정지지체시간를 고려한 차량운행비용을 재정립하였고, 서산시 가로축 2개에 대한 교통신호체계 최적화사업에 적용하여 기존 모형 적용시와 개발모형 적용시 경제적 편익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도로의 혼잡지역 증가로 교통체계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신호연동체계 개선 및 혼잡개선 사업등의 효과분석에 있어 신호교차로 특성을 고려한 경제성 분석의 모형제시를 통해 지체도 개선을 반영한 좀 더 현실적 경제성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미기상인자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in Micrometeological Factors of a Co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 이나연;최인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13
  •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중요한 생태계이다.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의 서식지 특성 분석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구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미기상 요인(기온, 지온, 상대습도, 토양수분함량, 강우량 및 일사량, 풍향 및 풍속)의 통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에서 미기상 요인의 계절변화는 산림생태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하며 6월과 7월에 집중 강우를 보였다. 토양온도는 기온보다 평균 $2{\sim}3^{\circ}C$ 높은 상태로 계절변화 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은 연중 10% 미만으로 매우 건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011년 최고 풍속은 156.72m $s^{-1}$(10월 7일)를 기록하였고 현지 측정한 풍향과 기상청 자료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서식지 특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미기상 요인의 통년 장기관측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과 지역학습 교재개발의 지역적 적합화 연구 -경남 산청과 충남 서산의 지역학습을 사례로- (Localization of Text-development on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 손일;전종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66-478
    • /
    • 2004
  • 사회과 지역학습은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부응하고 사회과의 축소판이자 영역 통합의 실험장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사회과 지역학습은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나, 현재 보급된 지역교과서는 전국적으로 획일적인 목차구성을 보이는 소극적 의미의 지역화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의 지역학습이 초등사회과의 지역학습과 연계된다는 측면에서, 특히 교사-학생이 주도하는 보다 적극적 의미의 지역화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적합화를 위한 이론적 과정을 검토한 후, 서로 다른 지역적 성격을 가진 두 지역을 사례로 하여 지역적 적합화 과정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각 지역의 경관과 지역관련 담론, 생태 환경 특성이 스트랜드의 지역별 비중 조절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것을 바탕으로 주제 추출의 지역적 적합화 및 내용조직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주제 및 내용조직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 PDF

농어촌 독거노인 공동생활주거 실태조사 연구 - 충남지역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Group Hom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 With Focus on Demonstration Projects in the Chungnam Region -)

  • 박헌춘;김승근;박광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8
    • /
    • 2011
  • Due to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drain of young rural manpower to the cities, aging is being intensified, and the conditions of housing and welfare of elderly households are inadequate. Currently, group home is being discussed as part of specialized housing and welfare support policy for the people in the vulnerable class with poor self-supporting abilities such as the aged living alon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aged farming and fishing households.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proposing the policy of supplying group home through examining the realities of housing and welfare of the people in the vulnerable clas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4 regions -Cheonan-si, Gongju-si, Yesan-gun, and Seosan-si - whose apartments were all occupied by the residents among the group hom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Chungcheongnam-do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First, great effects can be attained at small costs by reorganizing and utilizing the public facilities that are unused or little used and the existing houses that are exposed to risks due to improper maintenance. Secon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was improved without impairing the existing village landscape. Third, housing welfare was enhanced without investing a large sum of money and the system to promptly cope with negligent accidents and emergency can be built and operated. Fourth, the cases promo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oor, unhygienic, and unsafe housing of the elderly and the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were very positive and well worthy of being presented as planning direction of future group home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Finally, if they are operated entirely for free, it will cause the lack of the sense of ownership and the problems in securing the budget, so the ways of paying minimum individual housing expenses should be examined. The alternatives of housing welfare for the vulnerable member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needed and the ways of constructive planning and researches should be continuously made. Also,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should be actively promoted.

GIS 이용 잡초관리체계 연구 - 1. 우리 나라 논 잡초 발생밀도의 지역 및 연차변화 (GIS Application in Weed Management System - 1. Regional and Yearly Shifts in Weed Population)

  • 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6-363
    • /
    • 1998
  • GIS를 이용한 1981 및 1992년도 우리 나라 전국 논잡초 발생량의 차이를 단위면적당 발생 본수 및 건물중을 가지고 분석한 지도자료를 통하여 보면 각각 다음과 같다. 1. 1981년과 1992년의 발생본수로 본 잡초발생 경향은 충청서부지역은 양년 모두 잡초발생이 많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981년에 비교적 많은 발생량을 보였던 강원일부지역은 1992년에는 발생본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1년에 발생량이 적었던 전남남부지역의 발생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1981년도의 우리 나라 논잡초 발생 량을 건물중으로 분석하여 볼 때 1992년도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발생지역은 중서부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1년도에 상대적으로 논잡초 발생량이 많았던 지역은 충남 당진, 서산, 태안, 청양, 대천, 보령, 공주 등이었다. 또한 건물중으로 볼 때 1992년도 우리 나라 논잡초 주요 발생지역은 중부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2년도 논잡초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 화성, 안성, 용인, 시흥, 강원도 원주, 충북의 중원, 제천, 청원, 보은, 옥천, 영동, 충남의 대전, 예산, 대천, 서산, 당진, 태안, 청양, 보령, 서천, 천안, 아산, 연기, 공주, 부여, 논산, 금산지역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