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integration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19초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감각방어 아동의 적응반응에 미치는 효과: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cused on Proprioceptive-Vestibular Stimuli on Adaptive Response of Children With Sensory Defensiveness: Case Study)

  • 박지훈;김인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9-39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감각방어를 가진 아동의 적응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2011년 감각통합치료과정에 참여한 만 6세 5개월 된 남아이다. 평가결과에 따라 치료목표, 치료계획을 제시하였고, 4회기 동안의 적응반응을 기술하였다. 결과 : 치료회기 동안 아동은 과 각성 되지 않고 촉각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향상을 보였고, 놀이에서도 확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감각방어 아동의 적응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평가를 통한 변화와 더불어 일상에서의 변화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 박지훈;이은정;노종수;이향숙;차정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0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활동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작업수행요소와 더불어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은 대전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활동 시간에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으며, 중재는 2010년 5월과 6월에 걸쳐 총 25회를 제공하였다. 감각통합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고, 작업수행요소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SS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BOTMP)를 사용하였으며, 작업수행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을 적용한 결과 대상아동들은 작업수행요소인 단축감각력(SSP), BOTM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의 수치상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SFA)의 점수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작업수행요소와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대상의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찾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 병행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자세조절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and Family-centered Coaching Interventions on Sensory Processing, Posture Control, and Parenting Efficacy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손지원;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42
    • /
    • 2024
  • 목적 :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 병행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자세조절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5~6세 발달지연 아동 4명과 부모를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은 대상자별로 각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기 동안 시행하였다. 사전과 사후에 감각프로파일, 한국판부모 양육효능감 평가를 실시하였고, Biorescue 장비를 사용하여 중재 후 자세조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후 대상자 모두 감각처리가 상승하였다. Biorescue 장비를 통해 평가한 중재 기간에 앉은 자세, 눈 감고 앉은 자세, 선 자세에서 체중지지가 기초선 기간의 ±2 표준편차보다 높게 나타났다. 모든 대상자의 주 양육자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상승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감각통합중재와 가족중심코칭이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 자세조절,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omotorik and Sensory Integration on the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 김일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647-654
    • /
    • 2018
  • 본 연구는 또래와의 상호적으로 다양한 움직임을 이끌어 내는 그룹 심리운동과 기능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위한 개별 감각통합치료가 유아의 운동기술(motor skills)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아동 2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주 2회 40분 씩 각각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B-O test, DeGangi-Berk Test of sensory Integration(TSI), MOT4-6 등의 평가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대 동작을 필요로 하는 항목을 선별하여 사전 평가 결과와 프로그램 진행 후 사후평가 결과를 토대로 항목별 향상 정도를 그래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 모두에서 운동기술 향상을 가져왔으며 특히 균형성 및 자세조절 등에서 두드러지게 향상 된 점수를 획득되어 두 영역의 프로그램이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기관별 직무 차이 (Job Analysis Depending on Agency Type of Kore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Focused on Sensory Integration)

  • 홍은경;최정실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35
    • /
    • 2018
  • 목적 :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병원, 센터, 복지관에 따라 중요도, 빈도, 난이도를 분석하여 기관별 직무(과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감각통합치료를 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감각통합치료 중심으로 하는 아동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의 직무기술서를 바탕으로 구성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병원, 센터, 복지관의 특성에 따라 과제의 중요도, 빈도, 난이도에 차이가 있었다. 기관별 중요도는 총 10개 과제에서 차이가 있었고, 빈도는 총 7개 과제, 난이도는 총 2개 과제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기관별 직무의 특성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각 기관별로 강조되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개인의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Evidenc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 최정실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1-79
    • /
    • 2011
  • 목적 :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효과를 연구한 연구들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임상에서 치료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MEDLINE/PubMed와 AOTAPress에서 제공되는 연구논문들 중에서 1993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 효과를 살펴 본 10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은 감각조절장애와 자폐스펙트럼의 진단군이었으며, 중재 효과를 증명하기 위에 선택한 다른 중재유형은 여전히 과거의 체계적 고찰연구와 유사하였다. 중재기간은 대체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를 10주 이상, 20회기 이상, 적어도 주당 2~3회 정도 실시하였다.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가 대체로 효과적인 편으로 특히 운동수행영역과 행동개선 영역, 학습과 관련한 교육영역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에는 감각처리 영역이나 작업수행영역에 감각통합중재의 효과가 있음을 GAS를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노력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임상가들에게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디자인의 최소 틀을 알고 연구계획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될 것이다.

  • PDF

구강 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가 구강 방어 아동의 먹기에 미치는 효과: 단일 실험 설계 연구 (The Effects of Oral Activity With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Eating of a Child With Oral Defensiveness: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김윤성;손초록;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3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가 구강방어 아동의 먹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 6세의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21일부터 6월 2일까지 총 6주간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 중재를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design) 중 AB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감각통합치료) 5회기와 중재기간 B(구강 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치료) 10회기로 총 15회기를 적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아동의 먹기 수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였다. 결과 : 구강 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 후 좋아하는 음식을 자발적으로 먹기(GAS 평균값 1.9점)와 싫어하는 음식을 자발적으로 먹기(GAS 평균값 1.7점)가 향상되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병행한 감각통합중재가 구강방어로 음식섭취에 제한이 있는 아동의 먹기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감각통합치료 세팅에서 일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Setting)

  • 장문영;이미희;정혜영;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3-44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 세팅에서 일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와 관련된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현재 감각통합치료 세팅에서 근무하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회원 중 62명을 대상으로 2009년 12월 ~ 2010년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의 전체만족도는 35세 이상 그룹이 가장 높았고, 감독만족도는 감각통합치료학회 치료과정을 이수한 그룹이 가장 높았다. 임금만족도는 35세 이상, 임상경력 12개월 미만 그룹이 가장 높았고, 승진 만족도는 25세 미만 그룹이 가장 높았고, 동료만족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업무환경에 따른 직무의 전체만족도는 치료사 수가 5~10명 미만, 사설기관 그룹이 가장 높았다. 감독만족도는 일주일 치료 평균시간이 45시간 이상, 사설기관 그룹이 가장 높았고, 임금만족도는 치료사수가 15명 이상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100~150만원 미만 그룹이 150~200만원 미만그룹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치료사 수가 5~10명 미만인 그룹이 승진만족도와 기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이직 의도는 장애전담어린이집 그룹이 가장 높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조직규모와 근무기관의 형태는 직무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직무환경 개선은 조직규모에 따라 다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며, 근무기관의 형태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전문성과 역할 정립을 통해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Brotherhood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o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박지훈;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1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만 7~8세 아동 2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8주간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A 3회기, 중재기 B 16회기, 기초선 A' 3회기로 총 22회기를 적용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기초선 A와 A'기간에 ESI(Evaluation Social Interaction)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중재기간에는 매 중재 후 10분간의 자유놀이를 비디오로 촬영하여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 아동 모두에게서 중재 후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매 회기 중재 후 실시한 자유놀이에서 대상 아동 모두 기초선 A의 평균과 2표준편차 밴드 이상인 값들이 두 개 이상 연속으로 나타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게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