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flective Learning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의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 이원미;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8
    • /
    • 2022
  • Objectiv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developed in order to implement a play-centered curriculum at a child care center, and teachers' experiences during the process were explored. Method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23 sessions. One researcher and six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including the transcripts of recording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ranscripts of individual teachers' interview recording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social media posts we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 Results: The teachers recognized their experienc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follows: (1) encouraging and empowering each other to find a way together, (2) self-reflection, communication and sharing with experiences, (3) becoming a teacher who practices chang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manag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way that teacher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collaborative manner within the community based on initiative and spontaneity, and to provide help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pport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or the practice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공과대학에서 PBL 적용을 위한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Implementing PBL in Engineering School)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05-610
    • /
    • 2018
  •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개발한다. 연구 대상은 창의공학설계 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1학년 학생 68명 이었으며, PBL수업은 12주에 4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PBL의 효율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 과정에서 평가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또한 PBL 활동이 끝날 때 마다 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PBL에 대한 이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자아성찰, 실제적 경험, 창의문제 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서작성 능력, 프리젠테이션 능력, 관찰 능력, 평가 능력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 활동에 대해서는 지난 학기에 비하여 자신감, 만족감, 성취감도 높았으며, PBL 수업이 매우 유용했다고 응답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그러나 PBL 활동 과정에서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문제, 함께 모이는 문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팀원 문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자아성찰 자율실습이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through Writing Self-Reflective Journal on Basic Nursing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elf-efficacy and Practice satisfaction)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93-306
    • /
    • 2017
  •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하여 자아성찰을 통한 자율실습 후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사후설계 유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7명, 대조군 5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1일부터 6월 14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 검정은 ${\chi}^2$ test, t-test 및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변수에 대한 집단 간의 사전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t=15.304, p<.001), 실습만족도(t=15.304, p<.001)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점수가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기본간호 자율실습 시 동영상을 촬영한 후 자아성찰을 통한 실습방법은 자율실습 참여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높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실습참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본간호 술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실습에 적용해볼 것을 제안한다.

Felder-Silverman 학습유형에 따른 전문심장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의 지속효과 (Continuous effect of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sim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Felder-Silverman learning style)

  • 김유정;박미정;함영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3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ous effect of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 sim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Felder-Silverman learning styl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94 stud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and nursing. There were 50 female students (53.2%) and 88 students (93.6%) had basic life support certification.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knowledge, performance, and confid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 20.0. Results: The learning style consisted of reflective type (51.1%), sensory type (76.6%), visual type (63.8%), and sequential type (64.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inuous effect on performance by learning typ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learning style of students before simulation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continuous effect of ACLS education.

예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소비자학'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the 'Consumer Studies'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정주원;하오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1-1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문제기반학습(PBL)을 '소비자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것이다. '소비자학'을 수강하는 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경제개념 특강안과 재무컨설팅을 제안하는 2가지 PBL 문제를 개발하고 총 7주간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효과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자기평가지, 수업만족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비자학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달성했으며, 팀원과의 협업과 소통 방식을 습득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졌으며,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과제이행, 적극적 상호작용, 자기주도적 학습수행 능력 등 PBL 수업에 임하는 스스로를 평균 4.68로 높이 평가했으며, PBL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도 평균 4.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수자 및 예비교원에게 PBL 수업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제공될 것이며, 학습자중심 PBL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Developing Metacognitive Skills of Mathematics Learners

  • KAUR, Berinderjeet;BHARDWAJ, Divya;WONG, Lai-F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29
    • /
    • 2016
  • Metacognition means "thinking about one's own thinking". There are generally two aspects of metacognition: i) Reflection - thinking about what we know; and ii) Self-regulation - managing how we go about learning. Developing metacognitive abilities is not simply about becoming reflective learners, but about acquiring specific learning strategies as well. There are several strategies that may be used by teachers to develop metacognitive skills amongst learners. As par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have been develop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to teach for metacogni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wo lessons presented by groups of teachers in the project and tease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lessons that afford or hinder the development of metacognitive skills of learners.

샵매니저를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수업에의 문제중심학습 (PBL)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merchandising (PBL) for Shop Manager)

  • 이지수;이윤정;노혜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71-8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visual merchandising course adopt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s a part of shop manager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re actively developed for vocational high schools, yet programs in the home economics area are relatively lacking. In particular, education programs for shop manager training are urgently required due to the high demand of this job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BL model, which reflects constructionist learning theory, is considered for this visual merchandising course in order to help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creatively apply their knowledge on real-world problems through self-driven learning. For the purpose of job analysis, two problem area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shop managers who work for apparel shops in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professors and high school teachers developed two PBL instructional modules. The developed module courses were implemented with 2 clas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outcom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 student survey and reflection journals. It was apparent that the PBL courses effectively attracted the interests of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and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s well as cooper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lementing the PBL model for the training of store managers can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가정과교육에서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hand sewing clas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27-139
    • /
    • 2018
  • 본 연구는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손바느질 실습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러닝 수업은 3단계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준비 단계에서는 기초 손바느질에 관한 동영상과 ppt자료를 온라인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수업 중에는 사전학습여부를 퀴즈로 확인한 후 미니시범을 보이고, 기초 손바느질을 하는 기본과제와 이를 활용한 소품 만들기 응용과제를 하도록 하였다. 수업 마무리 단계에서는 과제전시를 통해 학생들이 서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플립러닝 수업효과는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성찰일지로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플립러닝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플립러닝 수업의 수준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동영상과 ppt자료, 퀴즈, 기본과제와 소품 만들기 응용과제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수업에서 상호작용이 원활하다고 하였으며,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손바느질 실습에 대한 플립러닝 적용의 경우 동영상을 활용함으로써 사전학습으로 인한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의 증가와 수업 중 반복학습에 대한 장점이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본과제 외에 응용과제를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수업과 개별화학습으로 일반적 실습수업보다 긍정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손바느질 실습에 플립러닝이라는 새로운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이 수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Constructivist Discussion on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and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

  • 황혜진;신항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1호
    • /
    • pp.59-74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적 사고를 토의를 통해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반성적 사고를 유발하는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이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학업 성취도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1개반(30명)을 실험집단으로하여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을 하고, 다른 한 학급(30명)은 비교집단으로 하여 일반적인 수학학습을 6주 동안 시행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수학적 상황과 의문점들을 토의에 의해 해결해 가는 학습 방법, 즉 자신의 사고를 수학적으로 의사소통해 나가는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은 수학에 대한 태도 중 자아개념과 교과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중 자율학습과 학습기술 적용에 있어서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은 일반적인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가 3학년의 30명 재적의 한 개 반만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이 보인 결과를 분석한 것이므로 통계적으로 좀 더 유의미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과 다양한 환경의 학생들의 결과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 PDF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urse Developing and Analysis of Self-Reflective Journal)

  • 강지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1-34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