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of Use Environment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25초

언어치료에 대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이해도와 상담 만족도 (A study of the understanding about speech therapy and the satisfaction about counseling for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y)

  • 박진원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69-1477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about speech therapy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ing about speech therap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devise the clinical instruction methods to provide the effective speech therapy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78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use speech therapy labs in university. 17 questions were compose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speech therapy and 24 questions were compos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degree about speech therapy counseling. Results: First, the survey showed that mothers who have the higher education level have the higher understanding degree about language(p<0.01). Second, the survey showed that mothers who have the higher education level have the lowe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process(p<0.5). In the view of job status, mothers who have a job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time(p<0.5). Third, the survey showed that in the view of mothers'understanding degree about speech therapy and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mothers who have the higher understanding degree about language, speech therapy tools and speech therapy area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unseling.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subjects'needs exactly and communicate with mothers actively. In addition, the concrete and various methods should be dev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speech therapy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degree of counseling about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language therapy process.

치위생과 재학생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학습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간의 학습몰입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김해경;조명숙;오나래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41
    • /
    • 2021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dentify whether face-to-face studies should be substituted with non-face-to-face studies. Methods: Total 134 dental hygiene students, who underwent blend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las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1, were recruited. The research tools were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comprising 15 questions in total.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r=0.490, p<0.001) were positively interrelated,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lass environment had the biggest effect as a subfactor of class achievement, and it appeared to have an effect on class attitude and learning motive. The effe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ing flow was partially mediated by both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flow was directly related to blende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possible use of blend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al subjects.

계룡산국립공원에서의 이용객 형태와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이용객 태도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 Park Use and Management Attributes in Kye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김동필;김용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4-331
    • /
    • 2001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을 방문한 이용객들의 전반적이 이용형태, 이용만족도, 그리고 이용 및 관리 관련 속성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서 효율적인 공원관리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계룔산국립공원의 3개지역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방문한 316명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타국립공원에서 실시된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계룡산국립공원은 휴식 목적의 방문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동반자 유형에 있어서 가족동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도착지에서의 이용정보의 질과 제공수단에 불만족을 나타냈으며 응답자들이 현지에서 느낀 혼잡의 정도는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전반적인 휴양만족도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 PDF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Success Factors of Sharing Economy Service)

  • 김해중;박종우;조동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14-229
    • /
    • 2016
  •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의 정체, 친환경 트렌드의 부상,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배경으로 등장한 공유경제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자원 활용도를 높여 초연결 시대, 소비자 효용 증대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을 서비스 수용 후 지속적 사용으로 규정하고 서비스 이용 경험에서 지속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요인 간 인과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가치와 네트워크 외부성은 신뢰 및 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위험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는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만족 또한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와 위험, 그리고 네트워크 외부성은 신뢰와 만족을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 요인과 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공유경제 서비스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PA-Kano 모델을 적용한 천연기념물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방문 만족도 분석 (Applying the IPA-Kano Model to Analysis Visiting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Natural Monument Forest of Common Camellias in Maryang-ri, Seocheon)

  • 손지원;이나라;신진호;김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32-540
    • /
    • 2018
  • 중요도-만족도 분석방법은 만족도 향상을 위해 관리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IPA-Kano 모델을 적용하여 천연기념물의 방문 만족 속성과 관리 방안을 연계하고 방문 만족도 향상을 위한 관리 개선 우선순위 선정을 목적으로 한다. 방문 만족 속성 14개를 기본요소, 실행요소, 매력요소로 구분하고 요소별 성취도(만족도)에 따른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관리의 기본요소는 '자연환경', '안내소 안내직원'이며, 중요 실행요소에는 '아름다운 경관', '탐방시설', '숲의 관리상태', '접근성', '역사문화자원'이 해당된다. 매력요소는 '천연기념물의 가치', '주변 관광지', '적정 입장료'로 나타났다. 성취도에 따른 개선 우선순위는 '안내소 안내직원' > '접근성' > '자연환경' > '탐방시설', '역사문화자원', '숲 관리상태', '아름다운 경관' > '적정입장료', '주변 관광지' > '천연기념물의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천연기념물 관리 시 한정된 자원과 예산,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거실 거주자의 주요 행위에 적합한 조명환경 평가 실험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Lighting Environment for Main Activities of the Residents in Living Room)

  • 김현지;우성준;김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6-14
    • /
    • 2013
  •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illuminance distribution, and color temperature were evaluated in each lighting environment for the three main activities in a living room - 'watching TV,' 'reading' and 'relaxing.' In 'watching TV', the experiment was done to estimate the degree of comfort felt by the subjects when they watch static video and moving video, respectably, with different ambient brightness, with or without partial lighting above the TV set, and with different color temperatures. In 'reading', the comfortableness was estimated by the illuminance ratio of the ambient lighting to the lighting for reading and by the difference in color temperature. And in 'relaxing', the comfortableness was estimated by means of the ambient brightness, use/no use of a relaxing lamp, and color temperature. This experiment determined the general satisfaction for each visual act and the optimum lighting environment to reduce glare.

유원지 주변 산책로의 환경개선을 위한 이용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대구광역시 수성유원지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Satisfaction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rails around Recreation Park - Focused on Suseong Recreation Park in Daegu -)

  • 김동석;이우성;정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28-39
    • /
    • 2015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수성유원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및 시설 만족도를 분석하여 수성유원지 산책로의 환경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수성유원지에 대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토대로 유원지 내 산책로에 대한 만족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이용자의 48.0%가 산책을 목적으로 수성유원지를 방문하였으며, 주당 평균 1~2회 이용비율이 가장 높았고, 1회 평균이용시간은 80.4분으로 분석되었다. 산책로의 경우 주당 1회 이용과 5회 이상의 이용이 각각 38.1%와 23.8%로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이용시간은 45.4분으로 조사되었다. 시설요소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산책로의 관리상태, 노선 길이, 경사도, 주변의 자연경관 등이 3.4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유원지의 수질오염도와 출입구 개수 및 주차장은 각각 2.75점, 2.78점의 낮은 만족도로 평가되었다. 산책로의 전체 만족도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용시설, 보행 편의성, 주변경관, 쾌적성, 소음 등의 인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보행 편의성 인자의 표준화 계수가 0.5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산책로의 이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수성유원지 산책로의 환경개선뿐만 아니라, 유사 수변산책로 계획과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Satisfaction of Preparatory Year Students at Umm Al-Qura University with Distance Learning During Covid-19

  • Alhaythami, Hassan 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308-316
    • /
    • 2021
  • During the past two years, the education systems in the world witnessed unprecedented turmoil due to the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as most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e world closed their doors to more than 1.5 billion students, or more than 90% of the total learners, according to recent figures issued by the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Education experts have agreed that post- coronavirus education will not be the same as before, especially with the increasing use of modern technology in edu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new patterns with a structure digital in education is distance education, this style has been used,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educat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In Saudi Arabia, this type of education has been used in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starting from kindergarten until the postgraduate level, as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education to preserve the health and safety of students and work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reparatory year students on distance learning in their first year of study at Umm Al-Qura Univers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in the preparatory year were satisfied with their online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effect for gender and location of study on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Saudi universities should continue to work to create a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at the e-learning level.

자폐 장애 아동 보호자의 언어치료 교육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실태조사 (Care-giver Satisfaction of Language Therapy in Children with a Diagnosis of Autism)

  • 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27-338
    • /
    • 2011
  • 본 연구는 자폐 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의 주양육자 총 52명을 대상으로 현재 받고 있는 언어치료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욕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하였고, 설문 내용은 치료 교육 기관의 환경(7문항)과 치료사가 제공하는 프로그램(7문항), 그리고 치료 교육 만족도 및 서비스 욕구(7문항)를 포함한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교육 기관의 환경면에서, 치료비 등을 이유로 복지관 이용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설 치료실, 종합병원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치료사가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 면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상담 내용 등을 이유로 종합병원 이용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설치료실, 복지관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치료 교육 만족도 및 서비스 욕구 면에서, 언어치료 및 전체 치료 교육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만족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언어치료를 받게 되고 난 후, 좋아진 점으로 일상적인 생활 기술의 향상과 심리적 안정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후 받고 싶은 치료 교육과 관련하여 개별, 집단 언어치료 교육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치료 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자폐 아동의 치료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언어치료사 및 관련 영역 전문가들이 노력해야 할 여러 가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유도분만 시행 여부에 따른 임산부의 분만진행과정, 분만결과, 분만만족도 (Pregnant Women's Labor Progress, Childbirth Outcome, and Childbirth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bor Induction)

  • 정윤아;정재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8-70
    • /
    • 2018
  • Purpos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induced labor and find strategies to enhance women's childbirth satisfac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pregnant women expected to have normal vaginal delivery. A total of 113 women with induced labor and 61 women with spontaneous labor were survey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The following variables related to labor prog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duced labor group and the spontaneous labor group: length of the first stage of labor in primigravidas, use of analgesic, incidence of uterine hyperstimulation, incidence of fetal distress, and medical treatment for the expectant mother. Delivery type and the incidence of postpartum complic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duced labor women's childbirth satisfaction was mainly affected by the process of labor whereas spontaneous labor women's childbirth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outcome of childbirth. Conclusion: Medical staff should hav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risk of induced labor and the benefits of a natural delivery. Moreover, medical staff should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for women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