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Use in Clas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PBL적용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SNS활용이 플로우(FLOW)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NS Use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Class on the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 우경애;김세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65-184
    • /
    • 2014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PBL 수업에서 SNS를 활용함으로써 플로우와 문제해결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유아사회교육 과목에 PBL 수업을 8주 동안 진행하여, 그 수업상황을 SNS 활용의 유용성, 플로우, 문제해결력의 인지력검사로 측정하였다. 측정값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적용수업에서 SNS 활용은 플로우(Flow)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둘째 플로우(Flow) 또한 문제해결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셋째 SNS 활용이 문제해결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플로우(Flow)는 문제해결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PBL 수업에서 SNS의 활용은 수업주제 혹은 문제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여 수업활동 및 동기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는 연구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SNS 활용 요인이 학습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Affecting Factors of SNS on Learner's Attitude and Performance: Focused on University Class)

  • 전병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7-36
    • /
    • 2017
  • SNS는 의사소통의 도구 뿐 아니라 대학 교육에까지 스며들고 있으며, SN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의 SNS 활용이 학습자의 태도, 지속적 이용 의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매체활용 효능감, 교육적 기대가치, 주관적 규범, 습관, 즐거움을 학습자의 SNS 활용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수도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mart PL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육적 기대가치, 주관적 규범, 즐거움은 SNS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매체활용 효능감과 습관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태도는 향후 지속적인 이용 의도와 학습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수업에서의 SNS의 활용은 학습자의 긍정적 태도를 야기하고 나아가 성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교육 환경에서 SNS 활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 SNS 활용 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성에 관한 연구 -동년배 멘토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use of mentors of the same age-)

  • 최예식;권순철;이승현;임성규;조성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47-155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SNS 활용 교육의 효과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육생과 보조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동년배 멘토를 연구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연구는 동년배 노인이 멘토가 되어 수업을 할 때, 어렵게만 생각하는 SNS 활용 교육이 보다 유효한 수업이 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노인 SNS 활용 교육 후 동년배의 친근한 배려와 공감으로 어려운 기기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즐겁고 보람된 교육이었다고 한다. 노인 SNS 활용 교육에 동년배 멘토를 활용한다면 기기에 대한 두려움과 노인에게 어렵고 부담스럽게만 여겨지는 SNS 교육이 보다 유연한 교육으로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pplication of English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Technologies of Web 2.0

  • Lee, Il Seok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4호
    • /
    • pp.57-69
    • /
    • 2017
  •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ven in learning and education area, many studies have begun to make a new attempts to research by using SNS,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are restricted only to the use of wireless Internet and writing on Web sit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research on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at utilize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Bigdata, Facebook,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d English applic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looks into how these modern technologies can be integrated in the classrooms and which activities can be applied in the English classroom.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ffective English learning methods through a thorough investigation on the effectivity of various technologies based on the Web 2.0 such as Flickr, blogs, MySpace, and online discussion board within the context of the English learning.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udy,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is proceeded with pre-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i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s using SNS tools such as Facebook, Bigdata, and Online Massive Learning. A survey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ference of utilizing social networking sit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in class. The result is that the average scores for experimental group have improved more than the average of control group.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higher and media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p<0.01.

모바일 웹을 이용한 저작권 교육에 관한 연구 : SNS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pyright Education using Mobile Web : Focusing on SNS)

  • 이명숙;피수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9-67
    • /
    • 2014
  • SNS의 발달로 인해 교육 분야에서도 SNS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학습에 활용하려는 학습자 및 교수자들도 많아지고 있다. SNS 환경을 활용하려는 학생들이 저작권 관련 문제를 염두에 두지않아 법적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정도를 살펴보고 대학생들이 수업 현장이나 실생활에서 직면할 수 있는 저작권의 일반적인 사례들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사례들은 If ~ Then 규칙으로 표현하여 규칙기반 시스템의 규칙 지식베이스에 저장하고 모바일 웹으로 구현하였다. 학생들이 입력한 저작권관련 문제를 규칙지식베이스에서 유사한 규칙들을 도출하여 학생들에게 모바일 웹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저작권 관련 문제를 찾아 자기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On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on English Grammar

  • Sung, Tae-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65-71
    • /
    • 2018
  • Using mobile technology in educational and learning environments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In this mobile environment, mobile phones have been u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the field, which has been recognized through numerous experimental studies so far. The study was proposed and conducted to find out how much the use of mobile phones can have to improve the grammatical knowledge of EFL students. Introduction of 95 intermediate courses to Chungnam area The second grade students of 4-year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veryon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review and recur to use the six grammar formats, including the current complete tense, simple past tense, direct and indirect question sentences, and comparative and superative-based methods. During the class discussion, the participants of the group record their voice on their cell phones, analyze the mistakes in the expressions recorded as a task after the class, and explain the results in the next session. However, in the class of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this recording process is omitted. Participants benefited from mobile learning were much more positive in multidimensional grammar tests than those in control groups.

The impacts on school life of a occupational therapy student use of smartphone

  • Lee, Sun-Myung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89-129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ccupational therapy at M college in Changwon and the impact of smart phone use on the school life of college students and to help them find ways to further develop in the future.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152 total questions with 15 interpersonal questions, 23 problem solving skills, 43 self-efficacy, 16 class participation scale, and 55 self-directed learning scale. It was conducted to first and second graders of M college and conducted a survey through the corresponding academic year from March 26, 2019 to March 29, 2019 to retrieve 120 questionnaires and use them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20.0. Results: Studies show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is usually the highest at 53 percent. The "smartphone user motivation" was the highest with 50.8 percent, while the "most frequently used feature on smartphones" was the highest with 57.5 percent on SNS. Satisfaction after using a smartphone was the highest with 49.2 percent, while 41.7 percent said it would be easier to acquire and utilize information in the areas of satisfaction. Conclusion: Smartphone addi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blem-solving skills, self-efficacy,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self-control learning items are not only affected by one part, but also by the other.

융복합수업모형으로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 : 대학교양미술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BL in a College General Art Class)

  • 강인애;이현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35-657
    • /
    • 2015
  • 지식기반 IT 사회, 그리고 다문화사회로 특징되는 현시대는 다른 어느 시대보다도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 소통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교육에서는 융복합 전공 및 교육을 개설하여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적합한 역량을 지닌 인재 함양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융복합 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습자 중심 학습모형이자 21세기 학생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수법의 하나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PBL(Problem Based Learning:문제기반학습)을 융복합적 수업모형의 하나로 선택하여, 대학교양 미술수업의 한 강좌를 PBL 수업의 특징에 따라, 실생활 연결된 과제를 주고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개별적, 혹은 그룹별 학습활동으로 개발, 적용하였다. 이후 수업을 실시한 뒤에는 학생들의 성찰저널, 심층면담과 SNS 대화내용을 분석하여 학습 결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서,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자신감, 재미 및 학습자간 소통력, 다양성에 대한 이해, 서로에 대한 배려 등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 등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교육에서의 융복합적 수업을 위한 수업모형으로서 PBL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킹 기반 토의 학습의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Discussion Learning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 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71-5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대표적인 도구인 트위터를 활용한 토의 수업의 교육전략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일부가 패널토의에 참여하고 나머지는 방청객이 되어 트위터를 사용하여 토의에 참여하였다.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효과성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로 만족도 및 협력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용이성이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유용성이 태도에, 태도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위터를 사용한 토의학습에 대한 만족도 및 협력학습의 효과면에도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회귀분석 결과 협력에 대한 인식이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트위터를 활용한 토의학습 전략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성인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가 학습몰입과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f Adult Learners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 유병민;박혜진;진현승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4호
    • /
    • pp.449-45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ducational use of the Facebook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at university class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5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class at a 4-year university in Seoul, and certain questions verified in the existing studies were modified, complemented, and used as a tool for measurement. The details of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the usefulness that learners perceived.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usefulness,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learners' perceived attitudes. We can interpret such a result as suggesting that the higher a learner's perceived attitude,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