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f Adult Learners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성인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가 학습몰입과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Yu, Byeong Min (Educational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
  • Park, Hye Jin (Institute for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Konkuk University) ;
  • Jin, Hyun Seung (Korea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Promotion and Education)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 박혜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학교육혁신원) ;
  • 진현승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 Received : 2016.11.13
  • Accepted : 2016.12.15
  • Published : 2016.11.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ducational use of the Facebook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at university class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5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class at a 4-year university in Seoul, and certain questions verified in the existing studies were modified, complemented, and used as a tool for measurement. The details of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the usefulness that learners perceived.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usefulness,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learners' perceived attitudes. We can interpret such a result as suggesting that the higher a learner's perceived attitude,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경, & 임걸. (2010). ESL 학습자의 문화이해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블로그 학습활동 사례연구.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3(3), 155-174.
  2. 김성완. (2006). 전자교육공동체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1(6), 87-97.
  3. 김은영, 김정현, & 최예솔. (2011). 협동학습에서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23(4), 665-686.
  4. 김유진, & 박주호. (2012).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실재 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3(3), 143-170.
  5. 김지심. (2009).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 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지심, & 강명희. (2010).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11(2), 29-56.
  7. 박민기, 박성열, & 차승봉. (2014).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상호의존성, 동료간 친밀성,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23-46.
  8. 박혜진. (2008).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몰입과 인터넷 중독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혜진. (2013).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혜진, & 유병민. (2014).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20(4), 649-674.
  11. 석임복. (2007). 학습 몰입의 구조: 척도, 성격, 조건, 관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유병민, 박혜진, & 차승봉. (2013). SNS 활용 대학수업의 학습효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 교육 과학연구, 44(3), 133-159.
  13. 이병현. (2014). 페이스북, 효과적인 학습환경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 247-273.
  14. 이상수, 강정찬, 오영범, & 이유나. (2011).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참여 동기 분석에 기초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 설계 원리. 교육방법연구, 23(4), 729-754.
  15. 이정민, 오성은, & 정현민. (2014).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각 실재감 하위요인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예측. 교육방법연구, 26(3), 489-510.
  16. 이재은, 유병민, & 박혜진. (2015). 원격교육에서 성인 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2(2), 233-243.
  17. 임걸. (2010).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2(4), 91-114.
  18. 장은지. (2011). SNS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유형이 대학생들의 영어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장형유, & 정기한. (2004). 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신뢰, 태도, 관계몰입과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저널, 6(2), 23-54.
  20. 차승봉. (2011). 대학생의 Social Network Service 참여 와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방정식모델.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차승봉, & 남민우. (2015).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2(4). 435-444.
  22. Barkley, E. F., Cross, K. P., & Major, C. H. (2005). Collaborative learning techniques: a handbook for college faculty. San Francisco: Jossey-Bass.
  23.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CA: Jossey-Boss.
  24. Greenhow, C., & Robelia, B. (2009). Informal learning and identity formation in online social networks.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34, 119-140. https://doi.org/10.1080/17439880902923580
  25. Hoffman, D. L., & Novak, T. P. (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 Conception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ing, 60, 55-68.
  26. Johnson, D. W., & Johnson, R. T. (1992). Positive interdependence: Key to cooperation. In Hertz-Lazaroqitz R., & Mille N (Eds.), Interation in cooperative group.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Liu, Y. & Shrun, I. J. (2002). What is interactivity and is it always such a good th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person, and situation for the influence of interactiv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31(4), 53-64. https://doi.org/10.1080/00913367.2002.10673685
  28. Muller, T. (2008). Persistence of woman in online degree completion programs.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9(2), 1-18.
  29. Picciano, A. G. (2002). Beyond student perceptions: 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6(1), 21-40.
  30. Riechmann, S. W. & Grasha, A. F. (1974).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student learning style scale instrument. Journal of Psychology, 87, 213-23. https://doi.org/10.1080/00223980.1974.9915693
  31. Steinfield, C., Ellison, N. B., & Lampe, C. (2008).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 434-445. https://doi.org/10.1016/j.appdev.2008.07.002
  32. Trevino, L. K., & Webster, J. (1992). Flow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19(5), 539-573. https://doi.org/10.1177/009365092019005001
  33. Tu, C.H., & McIsaac, M. (2002). The Relationship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on online classes.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6(3), 131-150.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1603_2
  34. Twiss, J., Dickinson, J., Duma, S., Kleinman, T., Paulsen, H. & Rilveria, L. (2003). Community gardens: lessons learned from california healthy cities and communi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9), 1435-1438. https://doi.org/10.2105/AJPH.93.9.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