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NS Use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Class on the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PBL적용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SNS활용이 플로우(FLOW)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우경애 (대동유치원, 동국대학교대학원 유아교육과) ;
  • 김세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08.15
  • Accepted : 2014.12.22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NS use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 class on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this purpose, the PBL class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with 44 prospective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social studies course, and measured the classroom situation in terms of usefulness of SNS,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by using a cognitive test. To analyze the measured value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o verify the hypotheses set in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based on AMO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PBL-based class, use of SNS had a positive effect on flow. Second, flow had a direct influence on problem-solving skills. Third, however, use of SNS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refore, flow plays a mediating role for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e result, i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NS in PBL class can increase interest,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they then become more willing to contribute to class activitie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PBL 수업에서 SNS를 활용함으로써 플로우와 문제해결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유아사회교육 과목에 PBL 수업을 8주 동안 진행하여, 그 수업상황을 SNS 활용의 유용성, 플로우, 문제해결력의 인지력검사로 측정하였다. 측정값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적용수업에서 SNS 활용은 플로우(Flow)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둘째 플로우(Flow) 또한 문제해결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셋째 SNS 활용이 문제해결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플로우(Flow)는 문제해결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PBL 수업에서 SNS의 활용은 수업주제 혹은 문제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여 수업활동 및 동기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는 연구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1998).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敎育理論과 實踐, 8(1), 23-44.
  2. 강인애 (2003).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 Constructivism. 서울: 문음사.
  3. 권두승, 이경아, 윤미선, 김한별 (1999).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분석을 통한 성인교육 참여율 제고방안. 교육부.
  4. 권혁진, 박혜진 (2010).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05-224.
  5. 김경화 (2003). 대학교육의 수월성 강화를 위한 대학수업의 질적 개선에 대한사례연구. 열린교육연구, 11(2), 345-375.
  6. 김선구 (2010).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PBL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선구, 이현정 (2011). PBL 교수학습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의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14, 57-73.
  8. 김애련 (2004).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인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용환, 박지홍 (2009). SNS 이용자의 모르는 사람(stranger)과의 사회네트워크 구축 행태에 관한 탐구. 한국정보관리협회, 2009(8), 17-35.
  10. 김은영 (2011).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주환, 박민아 (2010). 모바일 소셜미디어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관한 이론적 시론: 대화이론을 통해 본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결합의 의미. 한국인터넷진흥원, Internet & Information Security, 1(1), 40-45.
  12. 김진실, 이무영 (2007). 전문대학 전공수업에서의 학습 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2), 205-226.
  13. 김형관, 신현석, 서민원, 황기우 (2001). 대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요인이 학생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등교육학회, 12(2), 117-154.
  14. 김현진 (2007).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형진 (2012). 관심 주제 기반 SNS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미순 (1997).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지속력과 귀인 자아개념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18. 박정환, 우옥희 (1999). PBL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15(3), 55-81.
  19. 서경혜 (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20.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2010). SNS 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26(1), 99-132.
  21. 성행남, 정대율 (2009). e-러닝 학습몰입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9(2), 107-137.
  22. 손미, 하정문 (2008).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225-251.
  23. 안지혜. 서영숙 (2013).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5-35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005
  24. 원욱연 (2009). SNS 웹사이트에 대한 실증연구: 품질요인, 사용자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구전의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유병민. 박수홍. 강문숙. 박철수. 정경훈 (2011). 보육실습에서 프로젝트접근법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관심 수준 변화 연구. 교육혁신연구, 21(1), 41-61.
  26. 유병민, 박혜진, 차승봉 (2013). SNS 활용 대학수업의 학습효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관계 모델. 교육과학연구, 44(3), 133-159.
  27. 윤갑정. 김미정 (2014). 초임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26.
  28. 이영주, 전평국 (199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수학교육논문집, 8, 137-150.
  29. 전평국 (1991). 정의적 특성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30(3), 25-38.
  30. 정미경 (2007).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교육과정연구, 25(3), 247-264.
  31. 정연순, 유병민, 노경란, 이승철, 박혜진 (2011). 중학교 진로교육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교육효과성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8(1), 101-128.
  32. 조연순 (2001). 교과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육방법 모색: 문제중심학습. 한국교육, 28(2), 205-227.
  33. 조연순 (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서울: 학지사.
  34. 조연순, 우재경 (2003).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교육학연구, 41(3), 571-600.
  35. 차승봉 (2011). 대학생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참여와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방정식모델.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최미나 (2006). 대학에서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교수역량 진단방안 탐색. 淸大學術論集, 특집호.
  37. 최정임 (2007).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 공학연구, 23(2), 35-65.
  38. 최정임, 장경원 (2010).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39. 홍기칠, 김세찬 (2004).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논문집, 39, 537-571
  40. Albanese, M. A., & Mitchell, S. (1993). Problem based learning: 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Academic Medicine, 68(1), 53-81.
  41. Boud, D., & Feletti, G. (1997). The challenge of problem-based learning (2nd ed.). London: Kogan Page.
  42. Barrows, H. S., & Myers, A. (1993).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 published monograph. Sping field, IL: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high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43. Csikszentmihalyi, M. (1985),Reflections on enjoyment.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28(4), 469-497.
  44. Csikszentmihalyi, M., & Lefevre, J. (1989). Opt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5), 815-822. https://doi.org/10.1037/0022-3514.56.5.815
  45.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46.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den, S. (1993).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ew York: Harper Perennial.
  48.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irginia US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9. Eysenck. (1994). Mind watching: Why we behave the way we do. London: MMB, 256.
  50. Kraiger, K., Ford, J., & Salas, E. (1993). Applications of cognitive, skill-based, and affective theories of learning outcomes to new methods of training evaluation. Journal of Psychology, 78(2), 311-328.
  51. Heppner, P. P., & Peterse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1), 66-75.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52. Hofmann, D. L., & Novak. A. (1996). The influence of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n online flow experience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3(1), 3-16.
  53. Jackson, S. A., & March, H.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do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8, 17-35. https://doi.org/10.1123/jsep.18.1.17
  54. Levin, B. B. (2001). Energiz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problem based learn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55. Little, P. (2000). From practice to theory: Reconceptualising curriculum development for problem-based learning, in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al innovations across disciplines. Selected papers from the Second Asia-Pacific Conference on Problem-based Learning, Singapore.
  56. Mithaug, D. E. (1993). Self-regulation theory: How optimal adjustment maximizes gain. Westport, Conn: Praeger.
  57. Pearson, D. X. (2010). The perceptions of cross cultural student violence in an urban school sett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Education(Leadership).
  58. Schmidt, A. M., & Ford, J. K. (2003). Learning within a learner control training environment: The interactive effects of goal orientation and metacognitive instruction on learning outcomes. Personnel psychology, 56(2), 405-430.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3.tb00156.x
  59. Steinfield, C., Ellison, N. B., & Lampe, C. (2008).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6), 34-445.
  60. Torp, L. T., & Sage, S. M. (2002).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 education. Alexandria, VA: ASCD.
  61. Tringwell, K. (2001). Judging university teach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Academic Development, 6(1), 65-73. https://doi.org/10.1080/13601440110033698
  62. Webster, J. H. (1997). Teaching effectiveness in technology-mediated distance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5-6), 1282-1309. https://doi.org/10.2307/257034

Cited by

  1.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PBL vol.5, pp.1, 2014, https://doi.org/10.24313/jpbl.2018.5.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