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organization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컴포넌트 기반의 체계적인 재공학 프로세스 (Component-Based Systematic Reengineering Process)

  • 차정은;김철홍;양영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7호
    • /
    • pp.947-956
    • /
    • 2005
  • 소프트웨어(S/W) 재공학은 S/W의 생명주기의 연장을 통한 지속적인 비즈니스 가치 창출 및 궁극적인 S/W ROI(Return on Investment) 확대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W 재공학은 비용 소모적이며, 그 효과 역시 미흡한 어려운 작업으로 인식되어 왔다. 사실, 빈번히 발생하는 유지보수 요구에 대해 레거시 시스템들을 일치성 없이 그때그때 확장, 수정함으로써, 기존 시스템 본연의 의도를 상실 시켜 S/W시스템 아키텍쳐가 존재하지 않는 난잡한 시스템으로 전환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급격히 변하는 시스템 환경과 복잡 다양해지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S/W 시스템들을 매번 적시에(Time-to-Market) 제공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새로운 IT 기술의 출현과 비즈니스 정보 모델의 다양한 변경, 시스템 처리 로직의 급격한 복잡성 증가 등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주요 자산으로서 레거시 시스템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재공학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레거시 시스템들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재공학 방법론 제공을 목적으로, 재공학의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역공학 과정과 컴포넌트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재공학 프로세스와 그에 따른 구체적인 작업과 기법 및 산출물들을 명시한 레거시 시스템의 컴포넌트화 프로세스인 마르미-RE를 제안하고 간단한 사례적용 과정을 제시한다.

4차산업혁명 시대, 대학경영의 효율적 제고를 위한 전략적 접근 - 서비스 경영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 (A Strategic Approach to Enhancing University Management in the Era of Industry Revolution 4.0 - Application of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Theory -)

  • 정상철;오세구
    • 서비스연구
    • /
    • 제10권4호
    • /
    • pp.21-41
    • /
    • 2020
  • 4차 산업혁명이 빠른 속도로 전개됨에 따라 대학이 생존하기 위한 조건으로 대학에 주어진 본질적 사명을 시스템 이론의 관점에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을 고등교육 서비스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5차 서비스 산업으로 규정하고, 경영학을 기반으로 한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관점의 접근을 시도하되 특히 서비스 운영관리이론에 기초하여 이를 재조명함으로써 대학경영의 과학적 합리화를 위해 다양한 대학관계자에게 새롭고 참신한 시각을 제공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의 본질적 사명인 교육, 연구, 봉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조직, 연구조직, 봉사조직, 그리고 이들에 대한 지원조직의 성격을 분류하고 이들에 맞는 경영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개념과 기법을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이다. 또한, 학문적·실무적 관점에서 대학을 고등교육 서비스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5차 서비스 산업으로 규정한 뒤 경영학적 관점에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되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경영이론, 특히 서비스 운영관리이론에 기초하여 대학 행정을 재조명함으로써 대학경영의 과학적 합리화를 위한 새로운 관점과 수단을 제공하는 것, 나아가 대학 총장을 CEO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최근의 한 경향을 반영하여 이를 학문적으로 체계화시켜보려는 것이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대학경영조직의 이상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건설 현장 악력 작업안전 기준 설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Establishing Criteria of Gripping Work in Construction Site)

  • 손기상;이인홍;최만진;안병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81-95
    • /
    • 1995
  • Now, safety assurance in construction sites should be accomplished by its own organization rather than control of the code or government. It is believed that the safety assurance can be considerably improved by a lecture or an education using the existing theories or literatures up to now, but it is thought that fundamental safety assurance we not able to be accomplished without developing safety devices '||'&'||' equipment or taking fundamental measures, based on the result analyzed from workers behaviors. There are various behaviors of the workers showed in construction site, but only tests for hammerusing works such as form, re-bar, stone workers directly related to the grip strength are mainly performed, investigated and measured here for the study. The above works are similar to power grip, 7th picture on seven items which are categorized for hand grip types(Ammermin 1956 ; Jones ; Kobrick 1958). Measurements of grip strength are commonly taken in anthropometric surveys. They are easy to administer but unfortunately it is rather dubious whether they yield any data that are of interest to the engineer. Very fewer controls of tools are grasped and squeesed studies showed very little overall correlation between grip strength and other measures of bodily strength (Laubach, Kromer, and Thordsen 1972), but hammer-using work which is practically progressed in construction site are mainly influenced with grip strength.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n work measurement, it is shown that 77% of form worker are using hammer to be related to grip strength. In this study, it is particularly noticed that wearing safety gloves in construction site is required for workers safety but 20% difference between grip strength with safety gloves and without ones are commonly neglected in the site(Fig. 1). Nevertheless, safety opera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above 20% difference is not considered in the construction site. Factors of age, kinds of work, working time, with or without safety gloves are in vestigated '||'&'||' collected at the sites for this study. Test, not at each working hour but at 14 : 00 when the almost all of the workers think the most tired, resulting from the questionaires, also when it is shown on the research report has been performed and compared for main kinds of works : form '||'&'||' re-bar work. Tests were performed with both left SE rightand of the workers simultaneously in construction site using Rand Dynamometer(Model 78010, Lafayette Instrument Co., Indiana, U.S.A) by reading grip strength on the gauge while they are pulling, and then by interviewing on their ages, works, experiences and etc., directly. The above test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dates of 15th march-26th May '95 with consideration of site condition. And even if various factors of ambient temperature on the testing date, working condition, individual worker's habit and worker's condition of the previous ate are concerned with the study. Those are considered as constants in this study. Samples are formwork 53, rebar 62, electrician 5, plumber 4, welding 1 from D construction Co., Ltd, ; formwork 12, re-bar 5, electrician 2, from S construction Co., Ltd, , formwork 78, re-bar 18, plumber 31, electrician 13, labor 48, plumber 31, plasterer 15, concrete placer 6, water proof worker 3, maisony 5 from B construction Co., Ltd. As In the previously mentioned, main aspect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will be from '||'&'||' re-bar work because grip strength will be directly applied to these two kinds of works ; form '||'&'||' re-bar work, eventhough there are total 405 samples taken. It is thought that a frequency of accident occurrence will be mainly two work postures "looking up '||'&'||' looking down" to be mainly sorted, but this factor is not clarified in this study because It will be needed a lot of work more. Tests has been done at possible large scale of horizontally work-extended sites within one hour in order to prevent or decrease errors '||'&'||' discrepancies from time lag of the test. Additionally, the statistical package computer program SPSS PC+has been used for the study.

  • PDF

경호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Service to a Duty Satisfaction and an Organization)

  • 박준석;정성숙
    • 시큐리티연구
    • /
    • 제10호
    • /
    • pp.127-147
    • /
    • 2005
  • 경호원들의 경호분류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즉, 내재적 만족은 공경호와 수행경호, 공경호와 민간경호원간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공경호의 경우 만족도(3.72)가 민간경호원 만족도(3.45), 수행경호 만족도(3.33)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외재적 만족은 수행 경호와 민간경호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내재적 만족은 생활자체의 편안함으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며, 외재적 만족은 민간경호원들의 2인 1조의 영외생활로 인한 만족도로 사료된다. 경호원들은 경호분류에 따라 직업만족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앞서, 경호원들은 경호분류에 따라서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 결과를 나타내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공경호와 수행경호, 민간경호원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수행경호, 민간경호원은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경호의 경우 직책이 국가의 공무원 신분으로 분류되어 복지적 혜택의 테두리에 있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수행경호, 민간경호원은 수입의 차이로 인해 복지혜택과 생활정도의 만족도와 연관성으로 인해 차이를 나타내지 못 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분석결과에서 확인된 것과 같이 경호원들의 직무만족, 직무몰입, 조직몰입, 직업만족은 경호원들의 경호분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에 의해서 경호원들의 집단간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상호간의 유의한 차이는 공경호와 민간수행경호, 민간경비원들의 간의 처우개선과 자질, 자격요건 등의 사회보장제도의 차별을 민간경호${\cdot}$경비분야에서도 공경호와 비슷한 수준의 사회보장 제도 및 질적 향상의 처우개선이 필요하겠다.

  • PDF

대학생기독교선교회 시니어간사의 경력전환 경험 탐색 (Exploring the Meanings of Career Transition Experience of Senior Stewards of the Campus Crusade for Christ)

  • 신봉진;유기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47-256
    • /
    • 2018
  • 본 연구는 세속 직업에 종사하다가 대학생 선교단체 간사로 경력을 전환한 대학생 선교단체 간사의 경력전환 과정과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대학생선교회(CCC)에 소속되어 있는 시니어간사 5명을 인터뷰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기독선교회 시니어 간사의 경력전환 동기는 소명의식과 유관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경력전환 과정에서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과 주위로 부터의 격려와 지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사의 경력전환의 의미는 하고자 했던 일을 다시 찾게 됨과 약속지킴, 특별하고 영광스러운 삶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교단체 간사의 소명실행은 소명확인의 단계가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선교단체 간사의 소명실행은 주위 지지자들이 있을 때 더욱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선교단체 간사의 경력전환경험이 갖는 의미는 소명을 따라가는 삶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북지역 양호교사의 업무수행과 자신감과 그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school health Teachers' Self-confidence Affecting the School Nursing Activities in Jeonbuk Province)

  • 양경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82-594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health teachers' self-confid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87 school health teachers working in Jeonbuk province, from September to December, 1986, The results are follows;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chool health teachers 1) Age mean ; 34, range; 23-54 2) School Nursing experience mean; 11 years, range; 0-24 3) Clinical experience mean; 1.5 years, range: 0-13 2. Status of school health resources & nursing activities 1) Personnel resource school health teacher: pupils : 1 : 1,436 'classes=1:31 'general teacher=1:39 2) Budget Total school operating budget: School health budget : 100 : 4.2 (52.2 thousand Won) Half of the school health budget expend on medicine. 3) Clinic 80% of all schools have health clinic seperately. 71.32 of all schools have less than $35m^2$, 23.9%, $36-66m^2$. 4) Only 20% of all schools have organization for health 5) Average of clinic visitor for 1 year; 2,084 Major problem is on digestive system. And other problem: respiratory, skin, musculo - skeletal system, dental problem, etc... 6) Literal message for 1 year; 12 times. For health education (4), vaccination (3), examination of parasites (2), etc... 3. The degrees of the school health teachers' self-confidence 1)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2.9. 2) Clinic management; 2.8 3) Health education; 2.8 4)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2.7 5) Health care services; 2.5. 6)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2.3 4. Significances to self-confidence on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1)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home message (r=.228, p<.05) No. of clinic visitor (r=.220, p<.05) expending time for clinic management (r=.229, p<.05) religion (t: 2.5, p<.05) level of school (F=6.3, p<.005) 2) Clinic management: age of school health teacher (r=-.202, p<.05) school health experience (r=-.211, p<.05) salary step (r=.187, p<.05) expending time for clinic management (r=.315, p<0.1) marital status (t=3.97, p<.005) level of school (F=3,139, p<0.5) 3)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level of school (F=3.899, p<.05) expending time for clinic management (r=-,216, p<0.5) 4) Health care service: age of school health teacher (r=-.186, p<.05) marital status (t= 3.67, pH.005) 5) Health education: expending times for clinic management (r=-.252, p<05) level of school (F=5.343, p<.01) 6) Operating of health organization; age of school health teacher (r=-.258, p<.01)salary step (r=.188,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Need to raise ,appointment rate school health teacher. 2. Need to raise self-confidence on school health nursing activities through the inservice education or re-inforcement. 3. Need to secure adequate budget for school health. 4. Participation of school health teacher and support of school master for school health services are required. 5. Need for use the health clinic seperately, adequate facilities and free utilization by visitors.

  • PDF

일제강점기 거문도 근대화 과정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Geomun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cial structure)

  • 박민정;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8
    • /
    • 2016
  • 본 연구는 거문도를 사례로 근대화 과정에 대하여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근대화 이전 거문도의 사회구조는 하나의 마을을 기본적인 공간단위로 하는 공동체 의례와 조직에 기초한 전통적인 사회로 각 마을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병렬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본인의 이주라는 일제에 의한 강제된 근대화로 기존의 마을과는 별개로 형성되는 집단거주공간을 중심으로 근대화가 이식되고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개별 거주지 간 의 연계성이 강화되면서 공동체 의례뿐만 아니라 새로운 근대적 사회조직의 출현과 그 성격도 변화하였다. 그 후 근대화 토착화기에는 선진어업기술 및 유통체계의 근대화에 따른 자본주의적 생산체제로의 전환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근대적 규범이 정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관변조직 뿐만 아니라 각종 자생적 자치조직까지도 식민지 수탈정책을 보조하는 근대화에 역행하는 조직으로 전락하였다. 공간구조는 공동체의 영역 및 구성원의 외연적 확대로 마을 간의 연계성이 강화된 위계적인 구조로 재생산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강제된 근대화'라는 한계성으로 기존의 자율적이고 자생적 조직의 해체에 따른 지역공동체 의식의 붕괴라는 부작용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 PDF

한국과 핀란드 초등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ystem and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Finland)

  • 권치순;조한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4-141
    • /
    • 2011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and contents in the 3rd-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Finland. The analysis of the types and illustrations in the Korean and Finnish textbook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of both counties provide many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so as to deliver data mainly in the form of realistic illustration. In Korean textbooks, photographs were mainly used to guide the students into experiments and to train the students in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In contrast, the Finnish textbooks place more emphasis on pictures and photographs to enhance their interests and curiosity and understand. The Korean textbook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pictures in order to encourag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nterest and understand.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ore diverse forms of illustrations and the re-organization of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topic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textbooks.

College Students’ Reflection on the Uncritical Inference Test Activity in Organic Chemistry Course

  • Cha, Jeongho;Kan, Su-Yin;Chia, Poh Wai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37-143
    • /
    • 2016
  •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s a continuous process of monitoring and re-organization of teaching method, so to benefit both students and educators. Reflective journal writing is an effective method for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learning experience about a new concept or subject taught and at the same time enables educators to improve on their academic skills. In the present paper, we have examined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Uncritical Inference Test (UIT) that was conducted in our basic organic chemistry course through a systematic network built based on students’ reflective writing. From the data analysis, the UIT has benefited students in three dimensions, namely cognitive, affective and group learning domains. Moreover, the UIT activity instilled a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in organic chemistry classroom and deeper learning among chemistry students as shown in the collected data. In future, this activity could be adapted as a teaching method to enhanc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question-asking capability in other teaching courses.

학교수학에서 정다각형의 재구조화에 대한 귀납적 연구 (Inductive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regular polygons in school mathematics)

  • 홍동화;서보억;박은익;유성훈;최은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483-503
    • /
    • 2015
  • While some studies have examined the concave and convex regular polygons respectively, very little work has been done to integrate and restructure polygon shap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classify the regular polygons on th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convex and concave regular polygons. For this study, the polygon's consistency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sides and angles was examined. Second, the consistency on the number of diagonals was also examined. Third, the size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angels of regular polygons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discover the consistent properties. Fourth, the consistency concerning the area in regular polygons was inspected. Last, the consistency of the central figure number in the "k-th" regular polygons was examined. Given these examinations,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create a concave regular polygon from a convex regular poly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