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D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MPEG-21 프레임워크 기반의 REL 및 RDD 웹서비스 시스템 (REL and RDD Web Services System Based on MPEG-21 Framework)

  • 윤화묵;조태범;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843-850
    • /
    • 2006
  •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에서는 저작권 언어인 REL(Right Expression Language)과 REL의 능동적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용어사전인 RDD(Right Data Dictionary)에 대한 표준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REL의 저작은 MPEG-21 프레임워크를 이해해야 저작이 가능하다는 어려움이 있어 보다 쉬운 저작 시스템이 요구되며 저작된 문서를 분석 처리하는 소비 시스템과 REL 및 RDD를 연동하는 RDD 연동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REL 문서를 저작 할 수 있는 저작 시스템과 저작된 문서를 분석 처리하는 소비 시스템 그리고 웹서비스 기반에서 권한 질의를 처리하는 RDD 웹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MPEG-21 RDD를 위한 다중언어 레지스트리 (Multilingual Registry for MPEG-21 RDD)

  • 정상원;오원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467-1470
    • /
    • 2003
  • 이 논문은 디지털 콘텐츠의 권리표현을 위한 용어사전인 MPEG-21 RDD 의 내용과 구조에 대해 설명한 다음, 영어로 표현된 RDD용어를 제 3의 언어로 번역하는 데에서 생기는 상호운용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중 언어 RDD 레지스트리를 제안하였다. 또, 제안된 레지스트리의 기능과 구조를 설명한 다음 시스템의 설계 구현내용을 기술하였다.

  • PDF

다중언어 RDD 레지스트리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lingual RDD Registry)

  • 정상원;오원근;윤기송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81-391
    • /
    • 2003
  • This paper deals nth the Multilingual Registry for the Rights Data Dictionary (RDD), which will be used for the semantic representation of rights on digital contents in MPEG-21 framework. The translation of RDD terms owing to different language populations often lacks the desirable preci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Multilingual RDD Registry concept to achieve a more precise and interoperable translation of RDD terms among different DRM systems.

유·무선 RDD를 결합한 혼합조사설계: 2011 서울시장 보궐선거 예측조사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ixed-Mode Design Incorporated Mobile RDD into Telephone RDD)

  • 이계오;장덕현;홍영택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1호
    • /
    • pp.153-162
    • /
    • 2012
  • 선거여론조사에서 전화조사의 문제점인 모집단 포함률, 젊은층 재택률과 투표자 선정 등의 해결방안으로 유선 RDD와 무선 RDD의 혼합조사를 제안하였으며 2011년 10월 26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사전여론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안한 결합조사의 적용가능성을 수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선 RDD 표본은 유선 RDD 표본에 비해 분산이 컸지만 상대표준오차는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예측 정확성 측면에서 유무선 결합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일반 선거여론조사에 적용할 경우 결합 표본을 통해 모집단 포함률을 확대하고 각 조사방법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선거 예측조사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DD 표본 대 전화번호부 표본: 2007년 대통령 선거 예측사례 (RDD Sample versus Directory - Based Sample for Telephone Surveys: The Case of 2007 Presidential Election Forecasting in Korea)

  • 허명회;김영원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3호
    • /
    • pp.55-69
    • /
    • 2008
  •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 전화조사를 위한 표본목록은 거의 대부분 전화번호부로부터 나왔다. 그러나 전화번호부의 모집단 포함률이 너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 대응수단으로 국제적 기준인 RDD(random digit dialing, 임의번호걸기)가 구현된 바 있다. 2007년 12월의 17대 대통령선거에 대한 예측을 위해 투표일을 $5{\sim}6$일 앞서 실시된 KBS MBC 전화조사는 표본을 반씩 나누어 절반은 RDD로, 나머지 절반은 전화번호부에서 응답자 표본목록을 추출하였다. 이 사례연구는 KBS MBC 전화조사의 RDD 표본과 전화번호부 표본을 대비시켜 공통점과 상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향후 수년 동안 전화번호부 표본과 RDD 표본이 공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 연구결과가 두 방식의 비교에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MPEG-21 프레임워크 기반의 REL/RDD 처리를 위한 라이센스 서버와 툴 서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ool Server and License Server REL/RDD processing based on MPEG-21 Framework)

  • 홍현우;류광희;김광용;김재곤;정희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23-626
    • /
    • 2005
  • 디지털 콘텐츠 기술의 비표준화는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 및 소비 과정에서 상호 호환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는 MPEG-21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표준을 진행하고 있다. MPEG-21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및 관리는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에서 담당하고 IPMP의 세부 기술 요소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저작권 표현 언어인 REL(Rights Expression Language)과 REL에 대한 용어를 정의한 RDD(Rights Data Dictionary)에서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REL과 RDD의 표준화 작업에 비해 이와 연동되는 IPMP와 다른 MPEG-21의 표준 진행이 늦어졌기 때문에 실제 REL과 RDD를 적용한 시스템도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 및 보호하기 위하여 최근 발표된 MPEG-21의 표준 내용을 적용하여, 이와 함께 REL과 RDD를 이용한 라이센스 서버와 툴 서버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임의번호걸기와 시간균형할당표집에 의한 전화조사의 주요결과 (The Major Findings of the Telephone Survey by Random Digit Dialing and Time-Balanced Quota Sampling)

  • 허명회;한상태;김지연;성은하;강현철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77-88
    • /
    • 2011
  • 최근 우리나라의 전화조사가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벗어나 임의번호걸기(RDD)로 이행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전화조사가 지역 성 나이대 할당표집으로 수행되므로 이로 인해 재택성향이 큰 사회적 계층에 편중되기 쉽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시간균형할당표집이 제안된 바 있었으나 실증적 조사는 이제까지 부재하였다(허명회 황진모 2006). 이 연구는 TV시청환경에 대한 조사를 RDD와 통상적인 할당 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와 RDD와 시간균형할당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한다.

  • PDF

RDD 전화조사와 주요결과 (Random Digit Dialing Telephone Survey and Major Findings)

  • 강현철;한상태;김지연;정용찬;허명회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1호
    • /
    • pp.1-22
    • /
    • 2008
  •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전화조사는 전화번호부를 표본추출의 틀로 쓰고 있는데 전화번호부의 등재율이 낮아 포함오류(coverage error)가 심각한 실정이다. 전화번호부 기반 전화조사에 대한 대안으로 미국 등에서는 임의번호걸기(RDD: Random Digital Dialing) 전화조사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우리나라 전화번호 체계에 맞는 RDD 전화조사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실제 RDD 전화조사를 시행하여 전화번호부 등재 응답자와 비등재 응답자의 사회 인구적 특성과 사회 심리적 성향을 비교해 본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화번호부의 모집단 포함율은 60% 이하로 추정되었다. 2) 비등재 가구의 소득이 등재 가구의 소득에 비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비등재 가구의 가구원 수가 등재 가구의 가구원 수에 비해 다소 많았다. 4) 비등재 번호 응답자들이 등재 번호 응답자들에 비해 개인정보에 대한 침해우려 수준이 다소 높았다. 5) 이념성향에서 비등재 번호 응답자들이 등재 번호 응답자들에 비해 진보적인 경향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전화번호부에 기초한 표본추출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편향된 결과를 산출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연부조직에 발생한 로사이-돌프만 병 (Rosai-Dorfman disease of soft tissue)

  • 송승언;임태원;이광재;조아라;채병도;고명주;이채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14-117
    • /
    • 2015
  • Rosai-Dorfman disease (RDD) is a benign proliferative histiocytic disorder of unknown etiology, which typically manifests as lymphadenopathy and systemic symptoms. Lymph node involvement is typical, but soft tissue RDD without nodal or systemic involvement is extremely rare. We report on a case of soft tissue RDD in a 16-year-old girl with a palpable mass on her buttock. It was firm, mobile, and discrete without tenderness.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then RDD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RDD is a non-neo-plastic disease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other soft tissue tumors. While the optimal treatment for extranodal RDD remains controversial, surgical excision is typically curative.

종격동에서 발생한 Rosai-Dorfman 질병의 증례 - 1례 보고 - (Extranodal Rosai-Dorfman Disease in Mediastinum - A Case Report -)

  • 최주원;오태윤;조은윤;장운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68-772
    • /
    • 2002
  • Sinus histiocytosis with massive lymphadenopathy는 Rosai-Dorfman 질환(이후 RDD)으로 불리는 조직구증 증후군의 드문 형태의 질환으로, 주로 소아나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대부분 경부 림프절을 침범하여 무통성의 심한 림프절 종대를 특징적으로 보이는 질환이다. 림프절외 부위 침범은 약 25∼43%의 환자에서 보고되며, 일부에서는 림프절의 병변없이 림프절외 부위 침범만을 보이기도 한다. 림프절외 질환에서 침범되는 기관은 안구와 부속기관 두경부, 상기도, 유방, 위장관, 중추신경계 등의 다양한 장기에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저자들은 35세 남자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학적 검사상 전종격동 종괴가 발견되어 임상적으로 침윤성 흉선 종의 의진 하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RDD 질환으로 확진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