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jor Findings of the Telephone Survey by Random Digit Dialing and Time-Balanced Quota Sampling

임의번호걸기와 시간균형할당표집에 의한 전화조사의 주요결과

  •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
  • 한상태 (호서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김지연 ((주)밀워드브라운미디어리서치) ;
  • 성은하 (호서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강현철 (호서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Received : 2011.05.31
  • Accepted : 2011.07.14
  • Published : 2011.07.30

Abstract

Korean telephone surveys have been based on telephone directory and thus criticized for considerable under-coverage. Now, Korean survey institutions progress to random digit dialing (RDD) very actively. But still most surveys are administered by quota sampling, prone to assign heavier weights to social classes with more hours staying indoor. As a practical remedy, time-balanced quota sampling scheme was proposed by Huh and Hwang (2006). This study compares two telephone surveys on TV audience environment in Korea: RDD with conventional quota sampling versus RDD with time-balanced quota sampling.

최근 우리나라의 전화조사가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벗어나 임의번호걸기(RDD)로 이행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전화조사가 지역 성 나이대 할당표집으로 수행되므로 이로 인해 재택성향이 큰 사회적 계층에 편중되기 쉽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시간균형할당표집이 제안된 바 있었으나 실증적 조사는 이제까지 부재하였다(허명회 황진모 2006). 이 연구는 TV시청환경에 대한 조사를 RDD와 통상적인 할당 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와 RDD와 시간균형할당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