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liminary Teacher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5초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A Process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Practice)

  • 유병예;양성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5-119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실습 전 예비보육교사는 자신이 이중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와 불평등한 수직적 관계를 이루고,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이며, 시설장은 중재자, 실습 동료는 동반자로 인식하였다. 둘째, 실습 중 예비보육교사는 삼중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실습지도교사는 보육인 양성가로서의 역할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 상부상조적인 상호작용, 아동에게는 교사와 친구의 중간자, 시설장은 중요한 지지자, 실습동료와 불편한 경쟁자로서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셋째,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는 만족감과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에 실습의 주체가 되는 예비보육교사 보육실습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er-Efficacy Scale for Health Education Teachers)

  • 이충란;권낙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7-25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eacher-efficacy scale which is adequate for heath education teachers. Metho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the hypothetical factors. A total of 364 health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o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tential factors of teacher-efficacy were checked out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In the main test 378 health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e factor structure was drawn by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to test and the fitness of the factor model. Results: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5 potential factors were found, which were instruction, health-service, administrative task,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ty connection. Also, 48 items were reduced to 31 items. Through the main test, from the 34 items were extracted 4 factors with 24 items, And then teacher-efficacy scale was developed, which included the subscales of instruction efficacy, health-service efficacy, task-interpersonal efficacy, and community connection efficacy. Conclusion: Different from that for other subject teachers, the factor structure for health teachers had 4 factors with 24 items.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health teachers' work areas, and for this reason, has significance as a adequate and valid scale to measure teacher-efficacy of health education teachers.

  • PDF

초등예비교사들의 지구분야 수업동기 유발 전략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tructional Motivation Strategy on Earth Sector)

  • 김순식;이용섭;남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58-26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 University of Education 11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cience materials study course 1 in spring semester 2011. Students have taken the course pre-servi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classes to target elementary school earth science field, they selected one of the sections to create a class and the students have fulfilled 15-minute classes in respectively from the first week of May 2011 to until end of that course. In this class, colleagues evaluated the classes and we used evaluated scores to determine level of instructional motivation strategy. The obtained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al strategies used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 were questions, presentation of pictures and photographs, storytelling, presentation of contradictory concepts and phenomena, pilot experiments Second, among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motiva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in the field of the earth storytelling, presenting contradictory phenomena and concepts, pilot experiment, presentation of contradictory concepts, questions got higher scores in the order. Third, storytelling received the highest scores by the evaluators. So we can consider storytelling as a good strategy for the next class. In particular, storytelling used by animism were more effective. Fourth,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life knowledges and dairy experiences as instructional motivation.

영양교사의 자질 및 업무에 대한 인식도 분석 (The Perception of Nutrition Teacher's Competency and Duty)

  • 이해영;이은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16-326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a nutrition teach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as a nutrition teacher and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for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54 preliminary teachers and a total of 468 usable data were collected with 84.5% of response rate from August to October 2006.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by using SPSS Win (ver. 10.0)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chi}^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reliminary nutrition teachers expected that conversion of a school dietitian into a nutrition teacher could lead to systematic and constant nutrition education and come into synergic effect by doing meal service with nutrition education. For a teacher's competence, all three paradigms were perceived as important. It was evaluated to be high for a knowledge factor in the empirical analytic paradigm, a personality factor in the practical interpretive paradigm and an attitude factor in the critical emancipatory paradigm. And 'a knowledge for nutrition and sanitation (4.59)' and 'an ability to raise a self-management capacity for right food habit and dietary life (4.59)' were showed as most important in a nutrition teacher. It appeared that both important and difficult duties of nutrition teachers were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counseling and sanitation quality of nutrition education; the most necessary solution was to develop a reference and program for nutrition education (37.4%). In conclusion, the systematic supports of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associated institutions as well as sustained efforts of preliminary nutrition teachers for themselves should lead to establish a successful system of nutrition teachers.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Programming Learning for Non-science Major Preliminary Teachers'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 한영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1-52
    • /
    • 2018
  • 컴퓨팅 사고력은 디지털 사회에서 핵심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 학습 능력으로서 강조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컴퓨팅 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우리 정부도 컴퓨팅 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켰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예비교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컴퓨터 활용 능력의 수준이 높아지고, 디지털 사회에 맞추어 컴퓨팅 사고력 지도자로서의 역할이 교사들에게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예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부터의 다양한 프로그래밍 학습을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개발한 설문 도구를 통해 비전공자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함양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미래 대응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Alternatives to Improving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 Enhance Future Responsiveness)

  • 신민혜;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47-4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에 대비하여 예비 교사의 현장성을 강화하고, 학령기 인구 감소로 인한 교원양성체제의 구조적인 변화 대응 및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미래 지향적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2020년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2021년 7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 시안 및 4차에 걸친 토론회 내용에 근거하여 미래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는 다(多) 교과 역량 함양과 미래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의 교원과 예비 교사에 대한 역량 함양을 위해 메타버스의 도입, 일반교수법, ICT 활용 교수법 등을 통한 교수자 역량 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에서는 예비 교사양성을 위해 학교 현장 중심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실습생 교사 담임제', 선후배 중심 '전담 멘토-멘티', 대학 교수자 주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수습 교사제' 등의 도입 및 강화이다.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the Practice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 채영란;박희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71-58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practice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382 kindergarten teachers in G province. Kim A Young(1996)'s questionnaire which is modified and improved after preliminary research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teaching careers, teacher's kindergarten types, children's age, learning experience in preservice curriculu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teaching careers and kindergarten types.

다문화수학교사교육모델 개발연구 : 수학교육 현장 상황분석 기반 예비모델 탐색 (Development Research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Model: Exploring Preliminary Model Based on Situational Analysis)

  • 송륜진;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27-25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이 다문화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예비모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실태'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후 국내외 다양한 문헌 고찰 및 상황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다문화 수학교사교육 원리'를 도출하고, '목표'를 선정한 이후 그에 따르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조직하여 우리나라 교육 상황에 적합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사례를 구성하여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예비모델은 어떤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 이후 모델 개발연구의 완성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PDF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학교현장실습경험 분석: NVivo 10 활용 (Research on School Health Prelimin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to the Use of NVivo 10 in Analyzing)

  • 정미자;문희;선춘자;이동매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74-589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for understanding their experien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what the trainee school health teachers experience during teaching practice period, the first experience as a teacher. Metho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2012-2014, using the student teaching practice self-reports. Participants included 43 school health prelimin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from G colleges. The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by utilizing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CAQDAS), NVivo 10. Results: The trainees experienced that tension, excitement and fear was changed to joy, rewarding and gratitude. They defined the practice as a standard of the possibility in the capacity of a future teacher. It was a hard job without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y thought that too much works in school health teacher and thanks to the school and teacher for the teaching opportunities. They think teaching as a hard job to endure without a sense of accomplishment.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allow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rainees. It was investigated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 teaching practice. The challenge need to the expand school health teacher placement and more research.

특성화고 예비교사 대상의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The Effect of Social Emotion Learning on Teacher character of Specialized Pre-service teacher)

  • 김민웅;박제영;최진선;김민정;김태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47-66
    • /
    • 2017
  • 최근 사회적으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에 교원양성 단계에서는 교직 적 인성 검사를 실시하여 인성적 역량을 갖춘 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일반고에 비해 부정적 자아개념이 강하고 일자리 조기진입 비중이 높은 특성화고학생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특성화고 교사는 일반고 교사에 비해 학생의 인성교육 함량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예비교사 대상의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C 대학의 특성화고 예비교사 57인이며, 실험집단 27명에게는 사회정서학습을 통제집단 30명에게는 일반 교과교육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업 내용은 1~2차시의 경우 '자기인식'을, 2~3차시의 경우 '자기관리'를, 4차시의 경우 '관계조율'을, 5차시의 경우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6차시의 경우 '대인관계'를 다루었으며 평균적으로 90분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집단 간 사전 점수의 차이가 사후 점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사전 점수를 동일하도록 보정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교직인성 사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