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 COVID-19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23초

COVID-19 환자 간호한 간호사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 및 사회적 낙인 간의 관계 (Corelation between Nurse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Social Stigma in Nursing COVID-19 Patients)

  • 이은자;조옥연;왕금현;장명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1호
    • /
    • pp.14-2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depression and social stigma among nurses caring for Corona Virus Disease-19 (COVID-19) patients. Methods: 169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t university hospitals from March 1 to August 31, 2020.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WIN 24.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of PTSD, depression and social stigma were 25.16±16.80, 17.26±8.63 and 5.83±2.84, respectively. The PTSD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epartment (F=2.89, p=.037). Depressiv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arital status (t=2.27, p=.024) and the department (F=4.91, p=.003). Social stigma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ge (F=6.49, p=.002), marital status (t=-3.30, p=.008), having or not having children (t=3.82, p=.001), department (F=5.82, p=.001) and clinical experience (F=7.43, p=.001).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TSD and depression (r=.70, p<.001) and social stigma (r=.22, p<.004). Conclusion: Integrated assessment and management are required to addres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faced by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and active follow-up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PostCOVID-19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HyFlex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HyFlex Learn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 김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311-320
    • /
    • 2021
  • 이 연구는 Post COVID-19 시대 유아교육의 새로운 형태로써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절차로는 1) 현재 국내 유아교육의 당면과제 및 국내 원격교육의 운영형태를 살펴본 후, 2)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의 개요와 특징, 해외 기관의 적용 사례, 특히 해외 유아교육기관에서 하이플렉스 모형을 적용한 사례를 검토해봄으로써 3) 국내 유아교육 현장에서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을 적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 실시간과 비실시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모형인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은 학습자의 선택권과 주도성, 활동성을 강조하는 모형으로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에서도 활용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유아교육 현장에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물리적 환경의 구성, 둘째, 보조교사, 기술지원자 등 보조인력의 활용, 셋째, 교수법 적용을 위한 주체별(교사, 교육기관, 유아 보호자) 교육 및 공동체 운영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를 제시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정보통신업의 경영성과와 이익의 질 (Business performance and earnings quality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박수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113-119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매출이 상승한 정보통신업 기업을 대상으로 팬데믹 선언 전·후의 경영성과와 이익의 질을 비교하고 이러한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영성과는 수익성, 성장성, 유동성, 안정성의 4가지 지표를 사용하고, 이익의 질은 Dechow and Dichev(2002) 모형과 Francis et al.(2005)의 모형을 이용하여 측정한 잔차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표적인 경영성과 지표인 ROA는 팬데믹 이전 기간보다 이후 기간이 상승하였지만, 유동성은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의 질 또한 ROA와 마찬가지로 팬데믹 이후 기간이 이전 기간에 비하여 이익 지속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정보통신업 기업의 이익 수준과 이익의 질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유동성은 약화하고 있으므로 눈앞의 위기를 넘겼던 기업들이 당장 부채를 상환할 준비는 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코로나19가 진정되는 시점부터 늘어난 부채를 줄이기 위한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속 가능한 의료시스템 재건이 필요하다 (Sustainable Healthcare System Needs to be Rebuilt)

  • 이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46
    • /
    • 2022
  • Concerns about a global economic recession are rising follow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ccordingly, government entities, which are committed to overcome two barriers to severe inflation and economic recession, are showing high interest in spending management so as not to undermine fiscal soundness. Since the health care sector especially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fiscal expenditure, it should be managed in a manner that the expense is appropriately spen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Healthcare System have secur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liability by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Likewise, considerable efforts should be made to reorganize the welfare and healthcare systems so that they can be sustainable during the post-COVID-19 era and the recession.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AR(증강현실)전시 유형 연구 (A Study of AR Art Exhibitions in a Post-COVID World)

  • 연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64-273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뮤지엄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발달하고 있는 VR 전시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그 대안으로 현재까지 소개된 여러 유형의 AR 전시를 뮤지엄 중심으로 연구하여 코로나 시대에 디지털 콘텐츠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변화하고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VR/AR 전시를 코로나-19를 전후로 살펴본 결과, VR은 대부분 현실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소개하고 있어 미학적 현장감부재와 HMD 장비운영 문제를 드러낸다. 주로 보급률이 높은 모바일을 이용한 AR은 특정 실내 공간에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뮤지엄용', 개방된 실외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는 '특정 장소형', 디지털 콘텐츠와 인쇄물에 접목하여 우편형식으로 발송 가능한 '불특정 장소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 특정/불특정 장소형은 실외 공간 및 우편 발송을 통해 가장 높은 비대면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펜데믹 시대의 효율적인 뮤지엄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세계화 분석 (Analysis of Globalization After COVID-19 Based on Network)

  • 유제운;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70
    • /
    • 2021
  •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전 세계가 혼돈 속에서 보낸 한 해였다. 14세기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를 무너뜨린 흑사병(페스트), 17세기 스페인에 의해 잉카제국의 멸망을 이끈 천연두, 제1차 세계대전을 조기 종식시킨 스페인독감처럼 팬데믹은 역사 전환의 기점에 있었다. 코로나 19이후 다가올 대변환을 다양한 분야와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으나 전환에 대한 이해와 방향이 모호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세계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 다시 말해 세계화에 대한 미래를 네트워크 기반으로 핵심용어를 도출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계화, 반세계화, 코로나19 이후 세계화와 디지털화에 관한 네트워크 및 4종류를 통합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네트워크로부터 허브 용어, 응집중심성 용어, K-코어 알고리즘을 적용한 단순화 네트워크로 부터 핵심용어를 추출하여 코로나19 이후 세계화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핵심용어를 도출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uilding Back Better: Distribution Dynamics in Post-Pandemic Urban Resilience

  • Choongik CHOI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69-77
    • /
    • 2024
  • Purpose: This paper aims to tackl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cities' response to COVID-19 and provide cities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better adapting to the post-pandemic era. Cities around the world are facing new challenges and have had to adapt to maintain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ile also addressing equity and social inclusion issu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methodology relies on an examination of existing literature, coupled with trend analysis employing discourse analysis to investigate post-pandemic urban resilience. The article also attempts to employ the concepts of adaptive urbanism and spatial flexibility and their potential to address these challenges not only in response to the pandemic, but also in the long-term. Results: The article explores the impact of COVID-19 on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a public health lens and proposes actions that cities are able to take to enhance their resilience in the aftermath of the pandemic. Conclusions: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reconstructing with improved distribution dynamics and provides valuable guidance for companies and policymakers on navigating these challenges. Ultimately, it also suggests that the pandemic has initiated a worldwide restructuring of urban planning, potentiall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smart cities grounded in science and technology.

COVID-19 발생 전·후의 사회적·경제적 활력 변화 연구 -서울시 상권을 대상으로- (Analysis of the Changes in Urban Vitality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the Case of Commercial Districts in Seoul)

  • 박성희;송재민
    • 지역연구
    • /
    • 제38권3호
    • /
    • pp.51-63
    • /
    • 2022
  • 2019년 12월 시작된 COVID-19는 도시 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도시 상권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 활력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상권을 대상으로 COVID-19 발생 전과 후의 사회적, 경제적 활력 변화를 분석하고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이용하여 활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 유형별로 상권 활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활력보다 경제적 활력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COVID-19로 인한 도시 활력 변화는 주거지 비율이 높을수록 부정적 영향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통시장의 경우 코로나 이후 유동인구는 감소하였으나, 다른 상권 유형과는 달리 신용카드 매출은 소폭 증가하였다. 넷째, 팬데믹 기간 동안 지하철 접근성은 서울시 상권 지역에서 사회적 활력 및 경제적 활력 감소를 개선하는 데에 긍정적 역할을 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자가용 접근성이 사회, 경제적 활력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생활권 내의 보행 및 비동력 수단이 접근 가능한 다양한 상권의 조성과 활성화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andemic League of COVID-19: Korea Versus the United States, With Lessons for the Entire World

  • Issac, Alwin;Stephen, Shine;Jacob, Jaison;VR, Vijay;Radhakrishnan, Rakesh Vadakkethil;Krishnan, Nadiya;Dhandapani, Manju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4호
    • /
    • pp.228-232
    • /
    • 2020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s inflicting a brutal blow on humankind, and no corner of the world has been exempted from its wrath. This study analyzes the chief control measures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responses implemented by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contain COVID-19 with the goal of extracting lessons that can be applied globally. Even though both nations reported their index cases on the same day, Korea succeeded in flattening the curve, with 10 752 cases as of April 28, 2020, whereas the outbreak skyrocketed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d more than 1 million cases at the same time. The prudent and timely execution of control strategies enabled Korea to tame the spread of the virus, whereas the United States paid a major price for its delay, although it is too early to render a conclusive verdict.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number of people infected with the virus and measures instituted by the government to control the spread of COVID-19 was retrieved from the United Stat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sites and press releases. Drawing lessons from both nations, it is evident that the resolution to the COVID-19 pandemic lies in the prudent usage of available resources, proactive strategic planning, public participation, transparency in information sharing, abiding by the regulations that are put into place, and how well the plan of action is implemented.

COVID-19 and the Korean Economy: When, How, and What Changes?

  • Park, ChangKeun;Park, JiYoung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2호
    • /
    • pp.187-206
    • /
    • 2020
  • Under the on-going evolution of the COVID-19 pandemic,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the pandemic is highly uncertain and challenging. This situation makes it difficult for policymakers, governors, and economic entities to formulate appropriate responses and decision making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Korean economy, this study examined macroeconomic impact analysis stemming from the pandemic shocks with different scenarios for the Korean economy. Based on three scenarios using the growth rate of 2020 GDP and consumer expenditure patterns, the 2021 GDP by industry sector was forecast with two new approaches. First, the recovering process of the Korean economy from the shock was analyzed by applying a Flex-IO method. Second, a new forecasting approach combined with an IO coefficient matrix was applied to forecast the future GDP chan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GDP growth rate under the Pessimistic Scenario demonstrates less rebound from the shock than that of the Base Scenario. Second, agriculture, culture, and tourism-related sectors that are suffering from the severe losses of COVID-19 showed lower resilience than other different industries. Thir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ndustry maintains a stable growth trend and is expected to take the leading role for the Korean economy in the post-COVID-19 and the Industry 4.0 eras. The findings deliver that it needs to analyze how government expenditure responding the shock into the forecasting model, which can be more useful and reliable to simulate the resilience from the pan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