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Declining Reg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Calculation of Urban Compactness Index Considering Space Syntax: Focusing on the Declining Local Cities)

  • 하지혜;강정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58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인구감소 문제를 겪으며 기존의 외연적 확산을 지향하는 개발방식은 주택, 기반시설의 공급과잉, 부동산 방치 등의 다양한 도시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도시기능을 주요 거점에 모으는 압축적이고 고밀의 공간구조로의 전환이 촉구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 물리적 압축이 아닌 오늘날의 인구구조 변화, 산업구조의 변화 등에 따른 기능적 연계성 및 연결성을 고려한 압축도시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 인구감소 등으로 인하여 소멸위기를 겪고 있는 국내 소멸위험도시들의 압축성을 측정하고 공간구조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압축성 평가지표와 더불어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결성 지표를 포함하여 6개의 지표(인구, 토지이용, 생활서비스 접근성, 교통 접근성, 연결성, 집중성)의 압축성을 비교·분석하고, 종합적인 압축지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종합 압축지수 기준 1등급 지역이 2.3%, 2등급 지역이 4.6%, 3등급 지역이 16.09%, 4등급 지역이 43.68%, 5등급 지역이 33.33%로 분류되어 전반적 압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압축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이 지역에 따라 다르므로 각 지역의 압축지표별 영향력을 고려하여 소멸위험 대책과 공간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연결성을 측정하였으며, 소멸위험도시들의 압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소멸위험도시의 공간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Evaluation of Genetic Effects of Demographic Bottleneck in Muzzafarnagri Sheep from India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Arora, R.;Bhati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09
  • Genetic variability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ability of populations to adapt in the face of environmental change. Severe human impacts reduced Muzzafarnagri sheep of India from 500,000 in 1972 to 10,989 in 1973-74. Here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e effect of this population decline on levels of genetic variability at 13 FAO recommended ovine microsatellite loci and contrast levels of variability to that in a breed from the same geographical region, which differed in numbers, by an order of magnitude (Marwari sheep). Of the 13 loci, 100% were polymorphic in both breeds. A high degree of genetic variation was observed within populations in terms of both allele diversity (number of alleles per locus, >4) and gene diversity (expected heterozygosity, >0.5), which implied that there is still a substantial amount of genetic diversity at the nuclear loci in a declining population. Nevertheless, overall low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nd relatively less abundance of low frequency alleles in Muzzafarnagri sheep suggested that genetic variability has been comparatively reduced in this population. Bottleneck analysis indicated that a genetic bottleneck did not occur during the most recent decline.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differentiation among populations was moderate ($F_{ST}$= 11.8%). This study on assessment of genetic effects of the population declines in ovines is a step towards identification of genetically impoverished or healthy populations, which could prove to be a useful tool to facilitate conservation planning in this important species of small ruminants.

지역소멸 위기감이 계속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Residents' Propensity to Stay in Their Current Residence: Focused on Aging Effect)

  • 유나영;이기훈;마강래
    • 지역연구
    • /
    • 제38권4호
    • /
    • pp.19-29
    • /
    • 2022
  • 계속거주의향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지역소멸 위기를 더 많이 느끼는 주민일수록 지역을 떠나겠다는 의향을 밝힐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이동성 제약을 고려해 본다면, 지역쇠퇴와 이주의향의 관계성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소멸 위기감이 계속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이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한겨레21>의 「인구감소 지역 주민들의 생활 실태와 인식 조사」자료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계속거주의향에 대한 지역소멸 위기감의 영향력은 나이가 많을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대응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빈집 증가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Spatial Dependence in Vacant Housing Growth)

  • 정수영;전희정
    • 국토계획
    • /
    • 제54권7호
    • /
    • pp.89-102
    • /
    • 2019
  • The growth of vacant housing has been problematic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it causes various socio-economic problems and negatively affects residential environments. Despite the importance of effectively managing vacant housing, few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regarding spatial patterns of vacant housing growth. This study aims to examine spatial dependence in vacant housing growth. We used 2005 and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employed spatial modeling.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spatial dependence in vacant housing growth. Also, the spatial clusters of growing vacant housing are present in the non-capital region and nearby cities while the spatial clusters of declining vacant housing are present in the capital regi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collaborate efforts with geographically proximate cities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vacant housing. Second, given that vacant housing is more prevalent and growing in the non-capital region, it is necessary to employ differential policies to manage housing vacancy between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Dairy goat production in sub-Saharan Africa: current status, constraint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 Kahi, Alexander K.;Wasike, Chrilukovian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_spc호
    • /
    • pp.1266-1274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dairy goat production in sub-Saharan Africa (SSA) from 2010- 2017, its current state, constraint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Since the introduction of dairy goats in SSA in pre-colonial times, their populations have continued to increase due to declining land size as a result of land fragmentation and increasing demand for goat milk. The current goat population in SSA is 372,716,040 head of which only 15.98% used for milk production. Populations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SSA have shown an increasing trend from 2010 to 2017. The Southern Africa goat population is on the decline at an annual rate of about 1.77% whereas Central Africa has had a constant goat population within the same period. Eastern Africa reported the highest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goats used for milk production. Milk production was highest in Eastern Africa and lowest in Southern Africa. However, dairy goat productivity remained constant in the Eastern region throughout the review period. Dairy goats are mainly raised under smallholder mixed crop-livestock systems.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the dairy goat, concerted efforts should be made to alleviate the constraints that stifle its growth. These constraints can be categorized into nutrition and feeding, breeding and reproduction, diseases, parasites, climate change, and underdeveloped dairy goat products market. Effective management of dairy goats requires a holistic approach and there is the need to expand the markets by further sensitization on the nutritional and medicinal advantages of dairy goat products. In order to achieve rapid development in the dairy goat sub sector, research and development initiatives should be directed towards alleviating the hurdles in nutrition and feeding, breeding, animal health and resilience as well as dairy goat markets.

글로칼시대의 해외지역 경제발전 연구 - 일본 간사이 광역경제권 사례를 중심으로 - (An Economic Role of Union of Kansai Governments in Glocalization Age)

  • 김병기;류건우;박성호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5-304
    • /
    • 2014
  •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는 급속한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치열한 국제경쟁, 인구감소, 저출산 및 고령화, 재정적자의 확대 등 대내외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외 지역과의 제휴 및 협력관계로 경제효과를 극대화하는 지역 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며 지역이 가지고 있는 인적 물적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통한 산업지원, 재정확보, 행정의 효율화 등을 목적으로 한 광역경제권 형성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간사이 광역연합은 지역산업클러스터 정책 등 광역경제권이 필요로 하는 성장전략을 통합적으로 기획하고 권역 내 자치기구의 성장전략을 조정하는 등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광역권내 투자계획 및 조정역할을 간사이 광역연합이 담당하고 있는 등 광역연합의 위상이 한층 제고되고 있다. 급속한 세계화와 정보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켜 효용극대화를 위해서는 국제교류의 주체도 중앙정부에서 지역정부로 이전될 필요가 있다. 외국의 광역지방자치단체와의 국제교류와 국제통상 그리고 산업클러스터 형성은 외부경제효과를 통한 양지역의 기술진보과 규모의 경제효과를 실현시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Korean nationwide investigation of the national trend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vis-à-vis age-structural transformations

  • Lee, Joon-Ho;Park, Suyeon;Kim, Jae Heo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4권3호
    • /
    • pp.322-331
    • /
    • 2021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employed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to explore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updated epidemiology in a Korean context. Methods: A CRPS cohort for the period 2009-2016 was created based on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codes alongside the national registry. The general CRPS incidence rate and the yearly incidence rate trend for every CRPS type were respectively the primary and secondary outcomes. Among the analyzed risk factors were age, sex, region, and hospital level for the yearly trend of the incidence rate for every CRP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via the chi-square test and the linear and logistic linear regression tests. Results: Over the research period, the number of registered patients was 122,210. The general CRPS incidence rate was 15.83 per 100,000, with 19.5 for type 1 and 12.1 for type 2. The condition exhibited a declining trend according to its overall occurrenc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ype 2 (P < 0.001). On the other hand, registration was more pervasive among type 1 compared to type 2 patients (61.7% vs. 38.3%), while both types affected female individuals to a greater extent. Regarding age, individuals older than 60 years of age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st prevalence in both types, regardless of sex (P < 0.001). Conclusions: CRPS displayed an overall incidence of 15.83 per 100,000 in Korea and a declining trend for every age group which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aging shift phenomenon.

Evaluating stock status of shortfin mako (Isurus oxyrinchus) in southern Java and West Nusa Tenggara, Indonesia, using length-based approach

  • Umi Chodrijah;Tirtadanu;Bram Setyadji;Prihatiningsih;Dian Novianto;Fayakun Satria;Lilis Sadiyah;Ririk Kartika Sulistyaningsih;Hety Hartaty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515-524
    • /
    • 2024
  • The high economic value and demand for shark fin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ulnerability of the shortfin mako shark (Isurus oxyrinchus Rafinesque, 1810) population in the Indian Ocean, particularly in the southern region of Java and West Nusa Tenggara. This study utilized a length-based assessment method to evaluate the stock status of I. oxyrinchus. Over a span of eight years (2013-2021), data on length frequency and sex composition were collected. The length-based spawning potential ratio (SPR)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stock status of the fishery. The findings revealed that I. oxyrinchus exhibited a large body size, with an asymptotic length estimated at 386.86 cm total length and a growth coefficient of 0.04/year . Females were more frequently captured than males, and evidence indicated a declining trend in the size of female sharks. A low SPR value of approximately 6% indicated the overfishing condition of mako shark.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shortfin mako shark population in the Indian Ocean, it is essential to develop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integrated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fishers, traders, shark industries, and local communities.

동족마을의 자연 환경과 사회.경제의 변화: 상곡마을과 수촌마을을 중심으로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nge of Social-economic Conditions in the Clan Villages: In Case of Sanggok and Suchon Clan Village, Kyongbuk Region)

  • 박규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70-295
    • /
    • 2010
  • 본 연구는 성주와 고령에 위치한 두 동족마을의 자연 환경과 사회 경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동족마을의 위치와 자연환경은 마을 내 외부와의 관계, 자연 재해, 생산 활동, 주민의 의식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둘째, 1970년대 이후 인구의 감소는 상곡과 수촌의 두 동족마을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두 마을의 자녀 출생과 주민의 도시이주를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는 동족마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대구광역시와 맞닿아 있는 상곡마을은 1990년대 이후 대구광역시의 외연적 팽창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이에 반해 가야산계에 가까이 위치한 수촌마을은 참외를 상업적 작물로 재배하게 됨에 따라 전통적 동족마을의 모습이 변하게 되었다. 넷째, 마을의 농업상태에 대해 상곡과 수촌마을 주민의 인식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두 마을의 주민은 농촌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자신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사회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였다.

  • PDF

인구잠재력을 이용한 광역도시 개편에 따른 공간구조변화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Metropolitan City Using Population Potential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호용;배은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3-94
    • /
    • 2020
  • 연구대상지인 부산광역시는 1995년 본격적인 지방 자치 제도의 시행과 함께 광역시로 승격하게 됨에 따라 인구와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변지역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인 변화를 맞이하였다. 현재는 광역도시로 개편된 지 25년이 지난 시점으로 공간구조차원에서 도시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공간상호작용을 위한 잠재력의 의미인 인구잠재력을 시공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공간구조 변화와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기본계획에서 도심 및 부도심으로 설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광역도시 개편에 의해 편입된 강서구와 기장군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전체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대한 지역혁신성장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시외곽에 존재하는 개발제한구역에 의해 공간의 발전축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구대상지 내에 개발제한구역이 존재하는 다른 권역은 편입된 지역과 다르게 성장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따라서 편입지역의 정체 원인을 토지이용규제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성장 관리방안 수립을 통하여 계획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