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ly disabled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2초

고용주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조사 (Employers Attitude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 김미영;전성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6-5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loyer's attitude towards mentally disabled people. Methods: The Lee (1996)'s questionnaire of community people's attitude on perception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08 employers in Busan City. ${\chi}^2$-test and t-test were used to explore related factors of employer's attitude. Results: Employers having experience of hiring physically or mentally disabled people showed higher CAMI scores (p=.002). Especially, employers having experience of hiring mentally disabled people showed higher scores in four components of authoritarianism, benevolence, social restrictivenes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than any other groups. In addition, we found differences in employers' attitude on authoritarianism and benevolence according to types of industri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Conclusion: We could suggest that employers experience of employing disabled and mentally disabled people could improve their positive attitude. Therefore, we call for various efforts and programs development to encourage employers to hire mentally disabled people.

지체장애인의 관점에서 본 소규모 아파트 공간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in Small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the Physically Disabled)

  • 오찬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99-10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subjects were 135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ho lived in the rental multi-family housing apartments in Pusan.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ey were an average age of 51 years and 63% were male. They were low income families and lived in 12 pyung ($39.75\textrm{m}^2$) apartments. They were asked about what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constraints in their daily living. They pointed out that the constraints in their apartments were as follows: 1) the small amount of space in the bathroom, kitchen, bedroom, and the entrance area of housing unit, 2) the unflat floor level between the bathroom and the hallway, or the balcony and the bedroom, 3) the slippery floor finish in the bathroom, 4) lack of grab bars or handrails in the bathroom and the ramp, 5) the kitchen work centers and the electric switches at improper height, and 6) the steep ramp. Therefore, the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were the adequate amount of space, flat floor level, non-slippery floor finish, grab bars or handrails, accessible height, and ramp.

  • PDF

보건의료학생의 신체적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ttitud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toward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 김기경;김양지;채정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6
    • /
    • 2007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toward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15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in one universit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SPSS 12.0. Results: The mean score for attitude was 3.49(SD=.2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 for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major, family with disability, having social interactions and meeting as a clinical case. The attitud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correlated to the gender and having social interactions $(R^2=38%)$.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ntimate contact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for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PDF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참여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의 융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 Focused on the convergence view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박해긍;배은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615-623
    • /
    • 2016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선정하고,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매개하여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시각, 뇌병변, 발달 장애인 복지관을 제외한 장애인복지관 11개를 전수조사하여, 총 292부의 설문지를 회수․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능력은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를 위해 제언을 시도하였다.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농구 동호회 참여 동기 및 저해 요인 (Physically Disabled Persons'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and the Hindrance Factors of Participation)

  • 장철승;김두영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279-299
    • /
    • 2017
  •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이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이고,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제주 등에서 현재 휠체어 농구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회원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최종적으로 144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동기를 조사 분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건강지향형, 사교지향형 참여 동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의 경우 주거 그룹,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개발형 참여 동기의 경우 연령, 직업 유무, 주거 그룹,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저해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 구조적 요인이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고,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저해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요인의 경우 연령, 최종학력, 직업 유무,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농어촌 장애인 주택의 개조방안 연구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 거주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of Rural Housing for the Disabled - Focus on the Housing Where Live in Physically Disabled and Persons with Brain Resions -)

  • 이규일;정광호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9-48
    • /
    • 2012
  • Generally, rural housing in Korea have had target of people who are in good physical health rather than the disabl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ffer high 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modeling of rural house for the disabled. this study divides the a rural house into 7 sectors : a passage to entrance, an entrance hall, a livingroom, a bedroom, a bathroom, a kitchen, and etc. this study propose the following renovation plan that rural housing to be barrier free space. First, in passage to entrance of the hous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experience difficulties in walking, so installing ramps to remove the stepped slope grade without slip so that the floor finish should be. Second, install grab handle on the wall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disabled can lean on the handle. Third, placing the furniture in the bedroom that wheelchair can be rotated, and make to lower the height of the switchs. Forth, install a non-slip floor tile to prevent accidents in the bathroom.

우리나라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관한 분석 연구 (The Analysis Research about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

  • 장보성;서만덕;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7-107
    • /
    • 2012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현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점자 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공공도서관 768개관, 장애인도서관 36개관이며, 일반현황, 편의시설, 대체자료, 보조공학기기, 자료 및 정보서비스, 문화프로그램 6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측면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서비스의 수준과 내용에서 도서관 운영주체, 내용적 측면, 지역에 따라 다양한 편차가 나타났다. 이 가운데 공공도서관 장애인자료실과 장애인코너에 전담직원이 있는 경우, 장애인 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가구의 보건의료비 불평등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equality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for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 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39-244
    • /
    • 2014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적용하여 구성집단별 보건의료비 불평등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 가구의 보건의료 불평등 개선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행되었다. 분석결과, 지니계수에서는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미참여, 40대, 신체외부장애, 중증장애인일수록 보건의료비 지출에서 더욱더 불평등하였으며, 경북지역은 불평등이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건의료 소비가 낮은 그룹에서의 격차에 가중치를 부여한 엔트로피지수에서는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미참여, 정신적장애, 중증장애인일수록 보건의료 소비가 더욱더 불평등하였으며, 울산과 경북지역은 불평등이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성집단별 요인분해에서 집단 간보다는 집단 내의 보건의료비 불평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 PDF

뇌병변 장애인 보조기기용 노터치 카메라 마우스 시스템 (Untouched Camera Mouse System for The Disabled Person's Assistant Device)

  • 배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465-34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행동이 불편한 특히 손의 사용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이나 일반인이 자신이 원하는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컴퓨터상의 프로그램을 자연스럽게 제어할 수 있는 카메라 기반 보조기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컴퓨터 보조기기의 경우 특수한 하드웨어를 사용하거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장애인들의 이용률이 매우 낮으며 대부분 외국산 제품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저가의 웹캠을 활용하여 기존의 마우스 기능을 대신할 수 있고, 장애인들의 컴퓨터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색깔이나 특정 마크가 표시된 스티커를 임의의 기기(안경, 머리띠)나 신체 일부(이마, 코)등에 부착하여 카메라를 통해 색깔이나 마커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이 정보를 영상 처리 기술을 통해 분석 한 후 처리된 정보(좌표)를 특정 이벤트(키보드, 마우스)에 연결하여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가격이나 성능 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지체장애자의 자기간호수행정도 및 사회활동에 관한 분석적 연구 (Analytic studies on self-care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

  • 김영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3-69
    • /
    • 198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variables relevant to self-care activities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 The subjects of this analysis were 1277 person which is between 15~64 years, the data came from the 1985 National Interview Survey on Disabled Person in Korea. For this analysis, Breakdown, Oneway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self care activities was 2.57 (SD: 0.69, range: 1-3). The relevance for the self-care activities by several variables is as follows. 1. The relevance for the self-care activities by socioeconomic status is significant at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of household members variables. Especially, in the case of high age, low education level, the self-care activities are shown low score. 2. The relevance by impairment characteristics is shown high significance at all input variables. When disabled person have double impairment. paralysis, late occurance age, and is due to diseases the self-care activities score is lowered. 3. The relevance by health care services variables. is not shown significant at all input variables. Second, the relevance for social activities by sev-eral variables was conducted by discriminant analys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social activities discriminant function is 0.344 of eigenvalue. The-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activities discriminant function and 9 dummy variables is 0.51, total variance of dummy variables for social activities is shown 26 persent. The self-care activities variable represents the highest contribution of its associated variable to the function (canonical coefficient: -.56). The occurance age, the occupation of household members, the education level variables are shown comparatively high contribution to the function. To sum up, this analysis suggests that the self-care activities variable is the highest contributed to the social activities. In relation to self-care concept, this finding will be useful in rehabilitation nursing c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