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초

Impact of Teachers’ Overcoming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 Chemistr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Development

  • Park, Eun Jung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08-319
    • /
    • 2015
  • As a follow-up study to identify references for threshold concepts in science, 20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were interviewed. Seven concepts were identified as threshold concepts. The data revealed that teachers overcome the thresholds while they are teaching as well as learning during their school years. This explains that the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volve not only the process of creating subject matter knowledge of a learner but also the reflection on or preparation for teaching. Hence,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at a strong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is regard,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reshold concepts and suggests the value of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 terms of PCK development.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ass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CK)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53-56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그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속 초등학교 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부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해 '중요함'과 '조화열정'은 높은 수준, '시간/에너지 투자'와 '강박열정'은 보통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과학 내용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교직 경력보다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른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는 과학 PCK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개인의 관심 및 흥미', '고등학교 계열',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 '과학 관련 대학원 진학 여부',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과학 전담 교사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 연수', '과학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과학 및 과학영재 관련 업무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공동체 참여 경험' 등을 골고루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 선택 비율에서는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 - 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489-514
    • /
    • 2008
  • 그동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내용 교수 지식(PCK)에 관한 연구를 교과별 여건과 진도에 따라 자율적으로 진행해 왔으나, 2007년부터는 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은 차별화하면서도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연구틀을 정립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에서 다뤄지는 함수 관련 내용에 대한 수업 관찰 및 면담, 수업 노트 작성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PCK를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PCK 연구 과정과 결과는 수학 교사 개개인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실제적 도움을 주고, PCK에 기초한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게 될 차기 년도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 탐색 연구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69-285
    • /
    • 2016
  •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은 수학교육학 분야에서 다각도로 활발하게 탐구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는 PCK의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내용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KCS)'에 주목하고, 예비수학교사들의 KCS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예비교사들로부터 다양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는 내용을 자유응답형으로 구성하였으며,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답변을 기술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연구 문제로 설정한 학습자의 전형적인 오류, 학습자의 내용 이해, 학습자의 발달 계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사고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 결과, 예비교사들은 설문에 대한 응답에서 수학적 관점 혹은 교육적 관점을 갈등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학교수학을 구성하고 있는 개념 중 여러 학교급과 학년 혹은 여러 영역에서 중층적으로 설명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교사양성 과정에서 각 주제들이 학교급과 학년을 관통하여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종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69-593
    • /
    • 2008
  •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실 수업 살리기의 핵심에는 교사가 있다는 인식에 따라 교수 활동에 전문성을 부여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용 교수 지식(PCK)은 Shulman(1986)에 의해 교수 활동의 기반 지식으로 제기된 이래 교사의 전문성 논의에서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교수학습연구센터(KICE-TLC)에서는 2007년부터 내용 교수 지식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한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 계획을 수립하고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모든 교과가 공유할 수 있는 기본 연구의 틀을 마련하여 이를 토대로 참여 교과별로 구체적인 PCK의 구성 영역이나 접근 방법을 차별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수학 교과의 경우, 국내 외 PCK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PCK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단, 본 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일차적으로 PCK 분석틀을 설정하는 과정과 절차까지를 다루었다.

  • PDF

A Review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Earth System Concepts

  • Roehrig, Gillian H.;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4-503
    • /
    • 2011
  •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earth science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n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entitled Earth System Science (ESS), which is based on knowledge of the physical earth system and human impact on the earth. While there is increasing effort to teach earth as a system in K-12 education, teachers' preparedness of to teach earth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article focuses on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s and of how teachers'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ffects their teaching practic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a literature of PCK in general as well as in science teaching. Then this study duscuss what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is and what it means to be in teaching earth system science. Third, a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 was reviewed. Finally, a number of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re made as to what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do to better prepare future teachers to teach earth systems.

별과 우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 이기영;맹승호;박영신;이정아;오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93-406
    • /
    • 2014
  • PCK는 본질적으로 영역-특이적이며 주제-특이적인 교사 전문성 지식이라는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현직 중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지식 및 실행 측면에서 천문 내용에 대한 주제-특이적 PCK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8학년 '별과 우주' 단원의 3개 주제(별자리와 별의 위치, 연주시차와 별의 거리, 우주의 팽창)에 대한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녹화 후 참여교사의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업 녹화 및 교사 면담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양적 및 질적으로 통합된 수업 분석을 위한 PCK분석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PCK 수준과 구성요소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교사들은 주제에 따라 구성요소에 따라 다양한 PCK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과학 교수 지향이 참여교사 PCK의 특징을 형성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천문 영역에 특이적인 실행인 천문학적 사고(공간적 및 시스템 사고)가 가르치는 핵심 개념에 적절하게 조합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사 전문성 계발을 위한 PCK 발달과정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A Met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PCK in Mathematics)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93-105
    • /
    • 2009
  • Considering the fact that PCK(pedogogical content knowledge) tends to guarantee the ident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PCK i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research on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PCK in mathematics.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identified 3 knowledges which consist PCK; knowedge of mathematic content, knowledge of learne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eaching. Then this study provided some examples of PKC in the topic, the limit of sequences, and introduced the LMT and TEDS-M item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teacher's PCK.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items o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e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administered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based on PCK.

  • PDF

TPACK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 분석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PACK)

  • 장봉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93-300
    • /
    • 2021
  • 이 연구는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충청북도에 위치한 A대학교의 재학생 307명이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 척도에 응답한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IBM SPS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Enter 방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 결과, 교수 지식(PK), 교수 내용 지식(PCK), 테크놀로지 교수 지식(TPK),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서 여학생 평균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 평균 차이 분석 결과, 내용 지식(CK)의 경우 1학년, 3학년과 4학년의 평균이 2학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 대해 β값이 교수 지식(PK)은 .11, 교수 내용 지식(PCK)은 .11, 테크놀로지 교수 지식(TPK)은 .71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TPACK 실행 매뉴얼 및 워크북 개발과 다양한 테크놀로지 실습 기회 제공 등의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초등 교사의 수학과 교수법적 내용 지식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Fost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 방정숙;김상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29-148
    • /
    • 2007
  • 최근의 수학교육 개혁은 교육과정의 개발이나 평가의 변화에 국한하지 않고, 교사의 학습이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저변에 깔려 있는 요소 중의 하나는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을 망라한 교수법적 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PCK 정립을 위해서 수학과 내용 전반에 걸쳐서 핵심적인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비와 비율 주제와 관련하여 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 및 학습에 대한 지식,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교과서 재구성 및 적용으로 나누어 개발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