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FOREST

검색결과 1,165건 처리시간 0.027초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Taper Equations for Three Major Coniferous Specie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of South Korea

  • Lee, Daesung;Seo, Yeongwan;Lee, Jungho;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315-321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stem taper functions, to figure out the best taper model by species, and to compare with previous studies by species, targeting on the stemmed tree samples collected from th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and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 stands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of South Korea. The seven widely used models were applied in this study, and Muhairwe 1999 model for Korean red pine and Korean white pine and Kozak 2002 model for Japanese larch were evaluated as the best model for each species according to the fit statistics and the predicted stem form comparison. In addition, the predicted diameter was suitably fitted when compar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values were more appropriate following stem taper according to neiloid, paraboloid, and cone parts by species. Consequently, the estimation of this study wa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stem taper well. When comparing stem taper of three species, the diameter was largest in Korean white pine. Overall, the taper models of this study are judged to be useful for estimating stem form and volume computation of Korean red pine, Korean white pine, and Japanese larch.

Effects of Dolomite Liming on Soil Chemistry in Acidic Forest Soils

  • Kim, Chang-Gi;Rhyu, Tae-Cheol;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27-333
    • /
    • 2003
  • A mixed forest of pines (Pine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and an oak forest (Quercus mongolica) in Mt. Kwanak in Seoul were limed with 1.5 t/ha and 3 t/ha of dolomite in 1993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iming on the chemical changes in the 0-5 cm and 5∼10 cm layers of soil from 1994 to 1995. Soil pH values were greater in the lim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 by the unit of 0.1-0.6 in the pine forest and 0.1∼0.2 in the oak forest. Ca concentrations in the limed plots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lots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A considerable increase in Mg concentrations in soil was observed in the limed plots. K and Na concentrations in the limed plots appeared to decrease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two years after liming. Although Al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the lim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 in the pine forest in 1994, there was a tendency of a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his metal in the limed plots in 1995. Mn concentrations also tended to decrease in the limed plots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목공예적 가치평가를 위한 수종의 국내산 목재의 물리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me Unused Domestic Woods Designed for Woodcraft Materials)

  • 장재혁;권성민;권구중;박병호;;김남훈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31-136
    • /
    • 2010
  •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qualities of the unused woods designed for art materials, Yellow pine, Pitch pine, Suwon poplar, Platanus and Cherry grown in Korea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study.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hardness, roughness, and abrasion of the woods were examined. Among the five species, Cherry wood showed the highest density in green, air-dried and oven-dried conditions. Hardness of Cherry wood was higher than those of Suwon poplar and Platanus. In softwoods, Pitch pine showed greater hardness than Yellow pine. Yellow pine and Platanus had the highest values of wood surface roughness. Abrasion value of cross,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s was the highest in Yellow pine and Suwon poplar. It has been concluded from the experiment that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ensity, hardness, roughness, and abrasion of the wood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suitability for woodcraft material.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기반 자연적 임분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의 감소 특성 평가 (Analysis of Changes in Pine Forests According to Natural Forest Dynamics Using Time-series NFI Data)

  • 김은숙;정종빈;박신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40-50
    • /
    • 2024
  • 소나무림 산림생태계의 자연적 임분 동태 변화 과정에 따라 참나무류 등 활엽수와의 경쟁에 밀려 분포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소나무림의 자연적 쇠퇴가 가시화되면서 소나무가 우리 국민들에게 제공해왔던 다양한 가치들이 함께 소멸될 위험에 처해 있으며, 지역별 소나무 쇠퇴 진행 상황에 따라 미래 산림관리 방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적 임분 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변화 특성을 이해하고, 미래 소나무림의 지역별 변화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기반 전국 소나무림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소나무림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지형, 임분, 교란, 기후)들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효변수들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미래의 소나무림의 미래 변화 모습을 예측했다. 그 결과, 과거 10년 동안 전국 산림에서 소나무류의 중요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소나무류가 대표수종인 표본점이 10년 후에도 대표수종이 유지된 비율은 75%, 나머지 25%는 혼효림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수분 조건이 좋으며 임분 내·외부의 교란 요인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10년 후의 소나무림 변화를 전망한 결과, 전국적으로 현재 기준 소나무림 순림의 약 14.2%가 자연적인 임분 동태 변화에 따라 혼효림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역적으로 보면 소나무림 변화율은 제주와 경기가 42.8%, 26.9%로 가장 높았고 경북과 강원이 8.8%, 13.8%로 가장 낮았다. 경기, 충청, 전남 지역 등 한반도 서쪽 지역에 있는 소나무림의 감소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연적 임분동태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변화 민감도 평가 결과는 전국 소나무림의 종합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Cryopreservatio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Park, Ju-Yong;Shin, Keum-Chul;Kim, Kyung-Hee;Lee, Seung Kyu;Lee, Jong Ky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34-337
    • /
    • 2005
  • Pine wood nematode isolates from Haman, Gyoungsangnam-do were cryopreserved with three different cryoprotectants (glycerol, ethylene glycol and dimethylsulfoxide), Nematode Growth medium (NGM) and M 9 buffer solution, respectively, and then survival rate, reproduction ability, and pathogenicity of stored nematodes were compared. Survival rates of juvenile was excellent in 15% glycerol solution as $72{\pm}5.3%$. The survival ability of nematodes at juvenile stage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nematodes at adult stage. Pre-incubation treatment at $4^{\circ}C$ before storing in liquid nitrogen didn't affect the survival ability of pine wood nematode. When the reproduction ability of nematodes was confirmed on Botrytis cinerea agar plates at $28^{\circ}C$ incubato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ryopreserved and non-cryopreserved. Pathogenic ability of cryopreserved nematodes was also evaluated and confirmed by artificially inoculating them on 2-year old red pine seedlings.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 이광수;이중효;김석권;배상원;정문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5
    • /
    • 2009
  •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울진·봉화 일대 금강소나무 고사 피해 특성 분석 (Risk Assessment of Pine Tree Dieback in Uljin and Bonghwa)

  • 김은숙;이기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7-128
    • /
    • 2023
  • 2010년대 이후, 보전·육성 가치가 높은 금강소나무 핵심 서식지인 봉화군과 울진군 일대에서 소나무 고사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남부지방산림청에서는 금강소나무 군락지의 고사피해 현황 파악과 추가적인 병해충 피해 예방을 위해 2020년부터 금강소나무 고사목 발생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목 발생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울진·봉화일대 금강소나무의 고사 피해발생 특성과 위험지역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울진·봉화지역 금강소나무 고사목은 해발고도가 높은 산능선부위, 건조한 남쪽사면, 연령이 높은 임분, 겨울철 기온상승이 높은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연구 대상지에 대한 고사목 발생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소나무림 약 85천ha 중 6.2%인 5,294 ha 임분이 고사발생 위험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고사발생 위험지역에서는 고온 및 가뭄과 관련된 기후변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고사 피해가 실제로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나무의 생육 스트레스를 기본적으로 낮춰주기 위한 상시적인 산림관리 활동이 필요하며, 보호 우선순위가 높은 소나무 임분에 대한 우선적인 관리조치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이상기상 및 기후변화로 인해 피해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사전에 제시함으로써 기후변화 적응 산림관리 이행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Pinus koraiensis Forests in Korea

  • Li, Xiaodong;Yi, Myong-Jong;Jeong, Mi-Jeong;Son, Yo-Whan;Park, Pil-Sun;Lee, Kyeong-Hak;Son, Yeong-Mo;Kim, Rae-Hyu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93-697
    • /
    • 2010
  • Biomass expansion factors that convert the timber volume (or dry weight) to biomass are used to estimate the forest biomass and account for the carbon budget on a national and regional scale. This study estimated the biomass conversion and expansion factors (BCEF), root to shoot ratio (R), biomass expansion factors (BEF) and ecosystem biomass expansion factor (EBEF)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forests based on direct field surveys and publications in Korea. The mean BCEF, BEF, and R was 0.6438 Mg $m^{-3}$ (n = 7, SD = 0.1286), 1.6380 (n = 27, SD = 0.1830), and 0.2653 (n = 14, SD = 0.0698), respectively. The mean EBEF, which is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the understory biomass in Korean pine forest ecosystems, was 1.0218 (n = 6, SD = 0.0090). The values of the biomass expansion factors in this study estimated the Korean pine forest biomass with more precision than the default values given by the IPCC (2003, 2006).

우리나라에서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확산 (The Spread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emiptera: Margarodidae) in Korea)

  • 임유진;이상명;김동수;김준범;최광식;이신혜;박정규;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9-65
    • /
    • 2012
  • 솔껍질깍지벌레는 우리나라 곰솔림의 주요한 해충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7개도 3개 광역시, 91개 시군구, 686 읍면동의 해송림에서 2010년 밀도를 조사하였다. 5개도 2개 광역시에서 솔껍질깍지벌레가 서식하고 있었는데 시군구별로는 조사대상의 64.8%인 59개 시군구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는 남해안 전역과 동해안의 포항, 서해안의 충남 보령지역까지 분포하였다. 충북과 대전광역시 및 제주도에서는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다. 부산지역은 16곳의 모든 구에서 솔껍질깍지벌레가 분포하였고, 시군 단위에서는 전남 해남군의 솔껍질깍지벌레 평균밀도가 1.713마리/0.785 $cm^2$로 가장 높았으며 읍면동 단위에서는 해남군 송지면이 6.36마리/0.785 $cm^2$로 가장 높았다. 곰솔 가지 내의 솔껍질깍지벌레 밀도와 솔껍질깍지벌레가 서식하고 있는 빈도와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상관계수=0.89).

농촌경관내의 삼림동물에 의한 소나무종자 포식에 미치는 모자이크형 식생구조의 영향 (Effect of Mosaic Vegetation Structure on Pine Seed Predation by Forest Animals in Agricultural Landscape)

  • 홍선기;임영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4호
    • /
    • pp.265-274
    • /
    • 1997
  • All landscapes are mosaics of habitat patches of different types. Therefore, there are always edged between habitat patches in a landscape. Forest animal has an important role in vegetatio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by seed dispersal around forest. Movement of animals depends on the spatially heterogeneous structure and pattern of vegetation landscapes because each animal has special habitats in a landscape. Especially, forast edge with high permeability and prey density is one of the important habitats to the animal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edges as a corridor connecting mosaic vegetation patches is necessa교 새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the natur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vegetation management. Under this idea, we examined the animal influenced on pine seeds as one of the method of monitoring the animal activity in mosaic vegetation. Man-made mosaic vegetations including open, edge and inner forests were carefully selected in the rural landscape. We carried out predation test on pine seeds during one year. A result was that damages on seed was more significant at forest edge than inner and open forest. Pine seed on seedbeds was mainly attacked by squirrels and mice than birds. Pine seed was damaged by squirrels in different types of vegetation by seasons. Rate of seed predation at forest edge was, in special, higher than that of other sites. According to this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 behavior and spatial vegetation structure relating to human impact such as the distance from settlement to vegetation appeares to be in the rural vegetation landsca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