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nt Woma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재독 한인여성의 생애체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노동이주여성-되기'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a Korean Woman in Germany -'Becoming-Work Migrant Woman'-)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141-1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 한인여성의 생애체험을 내부자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이주여성의 고유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재독 한인여성 A씨의 생애사를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A씨의 생애는 자신을 "식민화" 하는 '다수자'의 표준적인 기준에 균열을 일으켜 '탈영토화' 하는 '노동자-되기', '이주자-되기', '여성-되기' 등의 '배치체'로 구성된 '노동이주여성-되기'의 과정으로, 이러한 '노동이주여성-되기'도 끊임없이 새롭게 또 다른 '배치체'로 구성된 '소수자-되기'의 유동적인 과정이며, '차이의 정치', '되기의 정치' 과정이기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한국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 사회 장애 남성상 (Representations of the Korean Disabled Men Images through the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n Novels)

  • 김세령;남세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99-50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 사회 장애 남성상에 주목하여 소설적 재현이 갖는 한계와 가능성, 결혼 이민 여성과 한국 장애 남성의 결합이 갖는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다섯편의 한국소설을 분석하고 비판하였다. 그 결과, 결혼 이민 여성과 결합한 장애남성의 경우 장애로 인해 본능에만 충실하거나 사회적 제약을 받는 소수자로서 재현되고 있으며, 결혼 이민 여성에 대한 가해자나 조력자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결혼 이민 여성과 장애 남성의 결합이 가져올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과 소설 속에 재현된 '장애'와 '남성'이 갖는 의미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정형화된 표현은 다문화 사회에서 장애 남성이나 결혼 이민 여성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장애인 가정의 문제들이 개선되어 나가고, 소설 창작 속에서도 결혼 이민 여성과 한국 장애 남성이 편향된 재현을 벗어나 현실에 뿌리내린 대등한 소통관계로 온전히 그려졌으면 한다.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결혼생활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lipino Marriage and a Migrant Women's Married Life)

  • 김현경;신동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9-53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migrant women's married life. The study examined migrant Filipino women's married lives, motives for marriage and migration to Korea, and their married life experi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women get married to Korean men in pursuit of an economically better life to support their family in the Philippines through marriage migration. As for Filipino women's perceived difficulties in married life, they indicated hardships with redrawing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as well as their husbands' faults or bad habits which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expected before marriage. Other difficulties mentioned were the peculiar culture of living with parents-in-law, and general difficulties in married life. This study showed that marriage migration results not from external pressure or motives but ultimately from their own decision 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t was also implicated that Korea's superior position to the Philippines in international economic power has an effect on family relations.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are redrawn according to their married lif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Korean born children of migrant mothers who divorce because of difficulties in married life are in a very poor situation as their national identity depends on their mother's future marriage relations.

  • PDF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단독으로 상담에 참여한 중국출신 여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for Marriage Migrant Woman who Experienced Family Violence - Focusing on Chinese Woman Who Participated in Counseling alone -)

  • 문정화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91-128
    • /
    • 2017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가족치료에서의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성공적으로 상담을 종결한 전문성 있는 상담자의 상담사례를 수집하여 치료 개입 전략과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 6회기가 진행된 상담 과정에서 행한이주여성의 진술에서 의미 단위를 구분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상담자는 다음과 같은 개입 전략을 시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미해결 정서문제 탐색을 통한 정서적 분화 돕기, 둘째 가족투사과정과 삼각관계로 인한 미분화 다루기, 셋째 원가족 관계 패턴 및 대처기제의다세대전수과정 다루기를 시도하였고, 넷째 MRI의 의사소통모델을 적용한 정서적 억압에 따른비일치적 의사소통방식의 비효과성 조명, 다섯째 재구성을 통한 내담자의 인식 전환하기, 여섯째 진짜 자기로 이끄는 의사소통방식 제안을 시도하였다. 상담자의 이와 같은 시도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치료 효과로는 첫째, 인지적 통찰 및 변화 동기의 촉발, 둘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셋째 불안감소와 자기분화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남편의 상담 참여거부로 보통 혼자서 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가족치료의 효과가 낮을 것으로 우려하는 경향이 있으나 상담자의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면 부인의 갈등해결능력을 향상시켜 가정폭력과 같은 문제 해결에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그에 필요한 적절한 치료 개입 전략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 베트남여성을 대상으로- (The A Case Study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Through Marriage - Vietnamese Women in Seoul -)

  • 이애련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4호
    • /
    • pp.69-90
    • /
    • 2014
  • This study focused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for marriage. Specifically, it sought to determine how Vietnamese immigrant women understand and adapt to the culture of family life in Seoul, Korea.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2 May to 30 May 2014, with 28 Vietnamese immigrant women as participants. Personal, famil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family life and culture were considered. It was determined that Vietnamese women can easily adapt to life in Korea to provide; the results of the material analysis are described below. First, Vietnamese immigrant women are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ife in Korea. In Vietnam, women have the right to marry Korean men if they want to. Vietnamese women are encouraged to marry want to marry a Korean man. Becaus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marriage. Second, migrant women learn to adapt to South Korean culture and food. Howeve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 woman's husband and mother-in-law can become a source of conflict. Thi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easily accept Vietnamese people, since they are educated to do so through their Vietnamese mothers Vietnamese woman wants to teach their children the Vietnamese food and culture. Fourth, the Vietnamese immigrant women als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ommunities. They want to become productive members of society thr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Fifth, the cultural and welfare policies of the government should be carried on so that migrant women are able to study cultural adaptation. This case study examined difficulties that Vietnamese immigrant women have in adjusting to life and culture in Korea.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resource to help Vietnamese women living in Korea.

Negotiations in the Gendered Experiences of Transpinay Entertainers in Japan

  • Okada, Trici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2호
    • /
    • pp.40-60
    • /
    • 2020
  • Among Filipino entertainers in Japan, trans women (transgender women) or transpinay (Filipino trans woman) entertainers remain understudied compared to cisgender women. Though the number of entertainers has declined, transpinay entertainers remain relevant as transgender issues continue to be salient globally. This study explains the gendered experiences of the transpinay migrants, particularly in entertainment work and their relationships, which are different from cisgender Filipino women entertainers' experiences. Using grounded theory and drawing on concepts of performativity in interactions to analyze the narratives of transpinay entertainers, I delve into how transpinay entertainers negotiate their gender and migrant identities as they establish profession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Moreover, the transpinays' entertainment work is a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to their sense of belonging in Japan, as they form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clients, and partners who support them and, thereby, sustain their lifestyles as trans women. The transpinay entertainers' flows of migration between Japan and the Philippines reveal that they embrace various aspects of social remittances and use them to their advantage to create and enhance their transpinay identity in Japan. By examining the transpinays' migrant experience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gendered experiences of transpinay entertainers, which involve significant negotiations in their migration pathways notably different from cisgender Filipino women entertainers, reveal resilience.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Trait of Local Community Adaptation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07-3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중 Colaizzi방법론을 채택하였는데, 심층면접을 통하여 녹취한 진술을 텍스트화 한 후, 유의미한 진술내용을 코딩하여,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역량의 강화', '문화적응', '제한적 수혜자 되기', '인적네트워크 없음', '미래를 낙관할 수 없음' '지역사회 안착을 염원함', '한국을 떠날 수 있음'으로 총 7개의 주제묶음과 17개의 주제, 47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초국가적 이주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by Transnational Migration)

  • 정유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0-194
    • /
    • 2016
  •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은 특정 장소나 위치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리적 이동과 새로운 지역으로의 정착을 통해 유연적 유동적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라는 공간적 전환을 통해 구성 재구성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을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배제와 본국문화 정체성,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으로 유형화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생활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의 실행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지역적 특성과 그 속에서 주어진 역할에 따라 상이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했다. 또한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들은 본국문화 정체성의 유지 및 표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이 다른 유형보다 생활만족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전히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동화와 순응이 적응과 동일개념으로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 가정 자녀의 이문화 역량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가능하게 하며, 한국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를 상호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는 전세계적 시민성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 PDF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 2004-2018 한국의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rriage Subsidy on Marriages: Focusing o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2004-2018)

  • 박지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1-39
    • /
    • 2020
  • 이 연구는 2006년부터 한국의 일부 지자체에서 지원된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의 국제결혼을 대상으로 한 결혼보조금은 국제결혼에 대한 경제적 유인을 증가시킨다. 2004-2018년 기간의 한국의 인구동향조사의 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초지자체(시군구) 및 연도별 결혼보조금 차이 및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혼보조금은 비혼 한국 남성이 외국 여성과 결혼하는 확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국 여성과의 결혼에 대한 구축효과(crowd out effect)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결혼보조금이 전체결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으로 나타났다. 세부그룹 분석 결과 결혼보조금이 나이가 많고 학력이 고졸인 남성에게 있어 가장 뚜렷하게 국제결혼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 PDF

이주의 관점으로 본 구약성서의 여성들의 행동과 평화의 가치 (The Value of Peace and the Acts of Women of the Old Testament from the Migrational Perspective)

  • 최은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321-328
    • /
    • 2016
  • 본 연구는 자신의 고향이 떠나 이주를 경험한 구약성서의 여성들(하갈, 다말, 라합, 룻, 수넴에 사는 귀한 여성, 이름없는 어린 여종)을 중심으로 현재를 살아가는 다문화사회에서 적용할 가치를 찾는 것이다. 이들이 각각 등장하는 성서본문은 다양한 상황과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가정 안에서 여성의 역할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에 대해 비판한다. 이주의 관점으로 여성신학적 비평, 이야기 비평, 독자반응비평 등을 적용하여 새로운 해석을 도출하였다. 당시 여성에게 제약이 많은 가부장적 사회에서 서로 배경과 상황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6명의 이주여성 모두는 자신의 긍정적인 역할을 통해 주변과 평화적인 관계를 만들어낸 사례로 소개했다. 이는 인종, 성, 계급이라고 하는 이주민과 비이주민, 여성과 남성, 경제적 차이를 인정하되 이를 차별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도록 제안한다. 또한 이들 성서의 여성들을 통해 주체적이며 사회 정의와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역할 모델로서의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