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it of Local Community Adaptation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 성향숙 (부산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1.10.26
  • Accepted : 2011.11.28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some specific features that were found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to their local community, and also to elicit certain practical implications to facilitate their adaptation, based on the findings.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migrant women by marriage and the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for transcription. For analysis, phenomenological method, particularly, Colaizzi method was adopted, by which meaningful statements in the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emes and theme clusters. A total of 7 thematic unts, 17 themes and 47 meanings were elicited from the analysis and these 7 thematic units were "reinforcement of inner capability"; "cultural assimilation"; "to be a limited benefit receiver"; "no human network"; " impossible to be optimistic about future"; "hoping to reside in their local community"; "possible to leave Korea."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s to facilitate the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by marriage in their local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중 Colaizzi방법론을 채택하였는데, 심층면접을 통하여 녹취한 진술을 텍스트화 한 후, 유의미한 진술내용을 코딩하여,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역량의 강화', '문화적응', '제한적 수혜자 되기', '인적네트워크 없음', '미래를 낙관할 수 없음' '지역사회 안착을 염원함', '한국을 떠날 수 있음'으로 총 7개의 주제묶음과 17개의 주제, 47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앤서니 기든스, 한상진.박찬욱 역, 제3의 길, 생각의 나무, 1998.
  2. 설동훈, 국제결혼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 이선주 외,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4. 양애경 외,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5. 이오복,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을 통한 정착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제4호, pp.25-56, 2009.
  6. 이용재.배화숙, "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및 정보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 pp.479-504, 2008.
  7. 황정미,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 현황과 증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9.
  8.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소통과 갈등: 다문화가족 갈등예방과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2006.
  9. J. W. Berry,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pp.291-326 in Handbook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Vol.3 (2nded) edited by Berry ,Segall and Kagitcibasi, Allyn & Bacon, 2005.
  10. 김현숙,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유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2007.
  11. C. Ward, Acculaturation,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edited by D. Landis and R. Bhagat, Newbury Park, pp.124-147, 1996.
  12. L. V. Newman, The expatriate adjustment proc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2007에서 재인용.
  13. 이용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39권, 제4호, pp.479-504, 2007.
  14. 정천석, 강기정,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3권, 제1호, 2008.
  15.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8권, 제2호, 2005.
  16. 양애경,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사회수용성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7. 김승권,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18. Crang, "Transnationalism and the space of commodity culture, Progress," Human Geography, Vol.27, No.4, pp.438-456, 2003. https://doi.org/10.1191/0309132503ph443oa
  19. 고민경,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자료집, pp.91-93, 2009.
  20. 이용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보은과 양평을 사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39권, 제4호, pp.479-504, 2007.
  21. 조용환, 질적 사회복지연구: 현상학적 ,임상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워크샵 자료, 2010.
  22. 데보라 K. 패짓, 유태균 역, 사회복지 질적 연구 방법론, 나남출판사, 2001.
  23. 에드먼드 셔먼, 위리엄 리드 편, 유태균.이선혜.서진 환 역,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의 이론과 활용, 나남출판사, 2003.
  24. 원희목 국회의원 국감보도자료, 2010.10.8.
  25. 윤혜미, "결혼이민자 가족을 위한 임파워먼트 기반의 사회복지실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4호, pp.85-108, 2009.
  26. B. Atca and J. W. Berry,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37, No.1, pp.13-26, 2002. https://doi.org/10.1080/00207590143000135
  27. 이혜경,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5권, 2009.
  28. 김승권,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9. 이숙진, "다문화가족에 대한 몇 가지 오해", 복지동향 5월호,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1.
  30. 김영혜,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지원방안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