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mercapta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5초

머캅탄류 검출을 위한 Thiobacillus thioparus가 생산하는 메칠머캅탄 산화효소의 분리 및 정제

  • 김상준;신현재;양지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5-488
    • /
    • 2000
  • Thiobacillus thioparus TK-m에서 메칠머캅탄(MM) 가스를 기질로 메칠머캅탄 산화효소(MMO)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DEAE-Sephacel과 Superose 1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때 얻어진 각 효소의 비활성은 각각 374과 1240.8 units/mg-protein이었으며 효소의 최적 온도는 $55\;^{circ}C$였다. 상기 정제된 효소액은 SDS-PAGE상에서 66.1 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20 mM $(NH_4)_2SO_4$ 혹은 200 mM NaCl의 첨가에 대해 최대 활성을 보였다. 글리세린, 에탄올, 아세톤의 첨가에 대해 효소활성은 부분적으로 불활성화되었으며 메탄올에 대해서는 저해받지 않았다. Purpald 발색법을 이용한 흡광도의 변화는 구강내 존재하는 MM 가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수 십 nmol의 범위의 포름알데하이드에 대해 눈으로 인지가능한 발색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우엉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생활악취물질 제거효율 조사 (Removal Efficiency of odor substance Using Arctium Lappa Root extract)

  • 이동섭;박진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953-1961
    • /
    • 2014
  • Increasing public concerns over odors and air regulations necessitates the remediation of a wide range of odor substances for industrial and indoor purpose. Currently, the wet scrubbing technique by neutralization using oils is being used to treat odor substances such as Ammonia($NH_3$), Methyl Mercaptan($CH_3SH$), Hydrogen Sulfide($H_2S$), Methylamine($CH_3NH_2$), Acetaldehyde($CH_3CHO$). The chem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an Arctium Lappa Root extract by VOC analyzer(Phocheck 5000Ex, ION SCIENCE co.) The objectives of the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the neutralization of odors sprayed in the fixed bed and determine the removal efficiencies for different input odor concentrations. It is found that Ammonia($NH_3$), Methyl Mercaptan($CH_3SH$), Hydrogen Sulfide($H_2S$), Methylamine($CH_3NH_2$), Acetaldehyde($CH_3CHO$) are significantly removed and their removal efficiencies are higher than 98%. The kitchen detergent with Arctium Lappa Root extract showed excellent removal efficiencies of odor substances and high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kitchen detergent with odor removal.

GNC용액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악취 규제물질 제거 효과에 관한 연구 (By the GNC Solution, Removal Effect Offensive Odorous Compounds Generated from Food)

  • 홍종순;김재우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2호
    • /
    • pp.35-40
    • /
    • 2007
  • It disposes positively in the air pollution damage which is serious, in order help period the place where it improves the quality of existence and life of the local residents. It removed the offensive odor regulation material and the technique it will be able to prevent to sleep it researched it did. After scattering the GNC solution which develops the offensive odor regulation material which occurs from the food and trash treatment plant which is located to the S from the H, company after scattering the GNC solution which it develops collection it did a control criminal record control kind air and it analyz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mission concentrations of offensive odorous compounds of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and dimethyl disulfide, trimethylamine,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hylaldehyde, iso-valeric aldehyde, n-valeric aldehyde, ammonia. The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a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HPLC and uv-vis spectroscopy.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and dimethyl disulfide were not detected at any point examined.

폐기물 처리시설에서의 악취 및 환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dor and ventilation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 서병석;전용한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4권2호
    • /
    • pp.28-33
    • /
    • 2020
  • Recently, as the income level and quality of life have improved, the desire for a pleasant environment has increased, and a deodorization plan is required through thorough prevention and diffusion of odorous substances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recognized as hateful facilities, appropriate collection, and selection of the right preven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a waste disposal facility was modeled and computerized analysis for odor and venti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Numerical analysis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y was performed at the size of the actual plant. CATIA V5 R16 for numerical model generation and ANSYS FLUENT V.13 for general purpose flow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tools. The average air-age of the internal was 329 seconds, and the air-flow velocity was 0.384m/s. The odor diffusion analysis inside the underground pump room showed congestion-free air circulation through streamline distribution and air-age distribution. This satisfies the ASHRAE criteria. In addition, the results of diffusion analysis of odorous substances such as ammonia,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and dimethyl sulfide were all expected to satisfy the regulatory standard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waste loading area, the air-flow velocity was 0.297m/s, and the result of meeting the regulatory standards with 0.167ppm of ammonia, 0.00548ppm of hydrogen sulfide, 0.003ppm of methyl mercaptan, and 0.003ppm of dimethyl sulfide was found.

2-Methyl-5,5'-gem-Disubstituted-${\Delta}^2$-Thiazoline系 化合物의 合成 (The Synthesis of 2-Methyl-5,5'-gem-Disubstituted-${\Delta}^2$-Thiazolines)

  • 한치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0-237
    • /
    • 1963
  • 2-Methyl-5,5'-gem-disubstituted-$\Delta^2$-thiazoline系 化合物의 合成을 1,1'-gem-dusubstituted thiiranes의 三員環을 ammonis로 開環하여 骸當하는 N-또는 S-acetyl-amino mercaptan을 얻고 그것을 다시 閉環하는 方法과 또 하나는 같은 三員環인 gem-disubstitutes imines을 thiolacetic acid 로 開環하고 그것을 直接 다시 閉環하여 얻은 두가지 方法에 의하여 硏究하엿다. 前者는 thiirane ring은 gem-disubtitution의 compression 效果에 의하여 極히 安定化되어 여러가지 强力한 反應條件下에서의 sodium amide를 利用한 ammonia nuclephile에 頑强한 抵抗을 나타냈으며 反對로 後者의 三員環 imine은 같은 gem-disubstitution 效果를 받음에도 不拘하고 容易하게 開環하였다. 이 gem-disubstitution 效果에 의한 環狀化合物의 開環阻止性과 閉環促進性을 立體化學的인 見地에서 考察하였으며 本硏究로서 環狀化合物의 安定性에 미치는 gem-disubstitution의 compression 效果는 所謂 Thorpe-Ingold bond angle deformation에 緣由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gem-dusubstituents와 異節環狀化物內의 hetero atom(s)이 미치는 bond interaction에 起因하다는 結論을 얻었다.

  • PDF

Urine 시료 중 지정악취성분에 대한 분석연구: 시료의 보관방법과 채취조건의 연계성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Offensive Odorants in Urine Samples in Relation to Sample Treatment Conditions)

  • 이민희;김용현;조상희;최시온;사인영;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92-503
    • /
    • 2014
  • In this study,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dorant species released from urine sample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wo key variables: [1] storage conditions before sampling and [2] incubation conditions during sampling. To this end, 20 offensive odorants were quantified by four different analytical systems and then sorted according to seven functional groups. It is indicated that benzene (B), styrene (S), isobutyl alcohol (i-BuAl), butyl acetate (BuAc), butyraldehyde (BA), isovaleraldehyde (IA), and valeraldehyde (VA) did not contribute to urine odor because their concentration levels were measured below detection limits in all samples. On the other hand, emission concentrations of toluene (T), methyl ethyl ketone (MEK), methyl mercaptan ($CH_3SH$), carbon disulfide ($CS_2$), and ammonia ($NH_3$) were generally higher than other compounds. In terms of odor intensity (OI), $CH_3SH$ and $NH_3$ showed the largest OI values in the range of 2~4. According to t-test (storage approach and urine temperature), the results of T, $CS_2$, and $NH_3$ were statistical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differences in sampling temperature. Likewise, the emissions of certain odorants from urine samples were affected by changes in sample treatment conditions to a degree.

구취농도와 흡연 및 음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Oral Malodor and Smoking, Drinking, Oral Health Behavior)

  • 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3-220
    • /
    • 2011
  • 구취발생과 흡연 및 음주,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 10월 1일에서 2007년 3월 30일까지 만 30세 이상부터 59세까지의 성인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Oral $Chroma^{(R)}$(CHM-1, ABILIT Corp., Japan)를 이용한 구취농도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ydrogen sulfide($H_2S$)는 치면세마를 규칙적으로 시행하는 군이 가끔 하는 군보다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hydrogen sulfide($H_2S$) 농도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치과 방문목적, 음주량, 음주 중 흡연량, 흡연기간, 현재 흡연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Methyl mercaptan($CH_3SH$)은 과거흡연군이 비흡연군과 흡연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5), 20년이상 흡연한 군이 20년 미만 군보다 높았으며(p<0.05), 음주 중 10개비 이상 흡연 군이 10개비 미만 흡연 군 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음주 특성에서는 주 5회 이상 음주 군이 주 1-2회 이하 음주 군들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냈고(p<0.01), 잠자기 전 잇솔질을 하지 않는 군이 잇솔질을 하는 군보다 농도가 높았으며(p<0.05), 가끔 스켈링을 하는 군이 규칙적으로 스켈링을 하는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5). methyl mercaptan($CH_3SH$) 농도와 관련도가 높은 요인으로는 치면세마 경험과 음주 중 흡연량으로 나타났다. 3. Dimethyl sulfide($(CH_3)_2S$)는 소주 2병 이상 군이 소주 1/2병 이하 군과 소주 1병 정도 군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p<0.01). 이 결과 구취감소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 잠자기 전 잇솔질 실천과 규칙적인 치면세마의 필요성은 강조되어야하며, 금연 및 절주에 대한 지도를 포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고정층 흡착 반응기에서 폐감귤박 활성탄의 표면 화학적 특성과 세공구조에 따른 아세톤, 벤젠 및 메틸메르캅탄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etone, Benzene and Methyl Mercaptan according to the Surface Chemistry and Pore Structure of Activated Carbons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in the Fixed Bed Adsorption Reactor)

  • 감상규;강경호;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9권2호
    • /
    • pp.237-243
    • /
    • 2018
  • 활성화제 KOH, NaOH 및 $ZnCl_2$를 사용하여 폐감귤박으로부터 제조한 활성탄인 WCK-AC, WCN-AC, WCZ-AC의 표면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대상가스인 아세톤, 벤젠 및 메틸메르캅탄(MM)에 대한 흡착량과 활성탄의 비표면적, 세공부피 및 세공크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들 활성탄에 대한 XPS 분석결과에 의하면 graphite 및 phenolic이 C1의 주요 표면 작용기였으며, 작용기인 phenol, carbonyl 및 carboxyl의 합은 WCK-AC > WCN-AC > WCZ-AC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고정층 흡착반응기에서 3가지 대상가스에 대한 흡착실험으로부터 얻어진 파과곡선은 Yoon과 Nelson에 의해 제안된 경험식에 의해 잘 모사되었다. 작용기의 합이 큰 값을 갖는 활성탄일수록 아세톤, 벤젠 및 MM에 대한 흡착능이 더 컸다.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가 크고 세공크기가 작은 활성탄일수록 흡착성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활성탄들의 흡착성능을 가장 잘 나타내는 기준은 비표면적이었다.

양돈장의 임신돈사와 부지경계에서 발생하는 악취 연구 (Study on Odor From Gestating Sow Barns and Boundary Area)

  • 정종원;박규현;허미영;최동윤;이문주;강희설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7-114
    • /
    • 2009
  • 악취에 대한 민원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양돈장의 악취 발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 2개의 양돈장(수원시, 화성시 소재)을 선정하여 임신돈사와 부지경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조사하였다. 수원시 소재 A농장의 부지경계에서 암모니아 발생농도는 평균 0.9 ppm 였으나, 조사기간 중 부분적으로 기준치 1 ppm을 초과하였다.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은 각각 0.37 ppb, 0.01 ppb로 기준치인 20 ppb와 2 ppb 이하로 조사되었다. 돈사의 암모니아 평균 농도는 3.22 ppm 였고 5 ppm 이하로 유지되다가 돈사가 밀폐되는 11월부터는 증가하기 시작되었다.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화성시 소재 B농장은 임신돈사내 암모니아 평균농도는 16.3 ppm 였고, 10월 이후부터 밀폐상태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되었다.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은 각각 26.66 ppb, 7.45 ppb로 높았다. 이와 같은 원인은 환기불량과 사육환경이 열악하여 돈사내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았으며 돈사외부로 배출된 암모니아와 돈사 옆에 있는 퇴비장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혼합되어 부지 경계에서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돈사의 사육환경 개선과 신속한 분뇨처리 및 미생물제제의 올바른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김치재료의 주요한 냄새성분과 김치숙성중의 냄새성분 및 관능적특성의 변화 (Major Odor Components of Raw Kimchi Materials and Changes in Odor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During Ripening)

  • 정혜승;고영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7-614
    • /
    • 2010
  • Changes in major volatile odor components (VOC)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during ripening for 4 days were investigated, and major VOCs of the raw materials of kimchi were also analyzed. Seven of eight major VOCs of kimchi originated mainly from garlic, while one originated from ginger. During 4 days of kimchi ripening, the amount of ethanol, which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OCs, increased continuously but decreased slightly on the fourth day. The amount of diallyl disulfide decreased during ripening, while that of allyl mercaptan decreased on the first day and increased slightly thereafter. The amount of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and methyl trisulfide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ripening, while that of dimethyl disulfide and methyl propyl disulfide increased until the second day and decreased thereafter. Scores of overall acceptability, taste, and odor for kimchi ripened for 2 da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overall acceptability and the amount of dimethyl disulfide or methyl propyl disulfide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VO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