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Odor From Gestating Sow Barns and Boundary Area

양돈장의 임신돈사와 부지경계에서 발생하는 악취 연구

  • Jeong, J.W.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Park, K.H.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eu, M.Y.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i, D.Y.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Lee, M.J.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Gang, H.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정종원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박규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허미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최동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이문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강희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Civil appeals on odor from swine barn have been increa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ile basic data of odor from swine barns as civil appeals on odor have been increasing. Odor was monitored from two gestating sow barns and the boundary of those barns in Suwon and Hwaseong city from June to November, 2008. Mean ammonia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boundary of A piggery in Suwon city was 0.9 ppm with occasional breaks of permissible limit (1.0 ppm). Mean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ere 0.37 ppb and 0.01 ppb, which were lower than permissible limits of 20 ppb and 2 ppb, respectively. Mean ammonia concentration was 3.22 ppm and was maintained under 5.0 ppb. Ammonia concentration had increased since November when the barns were closed.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ere lower than the permissible limits. Mean ammonia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boundary of B piggery in Hwaseong city was 16.3 ppm and steep increase of concentration was monitored after October when the barn was sealed up.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ere 26.66 ppb and 7.45 ppb, respectively. In appropriate ventilation and raising environment would cause high ammonia concentration in swine barns. Emitted ammonia from barns and composting facilities were mixed, which would cause higher ammonia concentration on the boundary of barns. Hence improvement of raising environment, rapid manure treatment, and correct use of microbial preparation would be needed.

악취에 대한 민원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양돈장의 악취 발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 2개의 양돈장(수원시, 화성시 소재)을 선정하여 임신돈사와 부지경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조사하였다. 수원시 소재 A농장의 부지경계에서 암모니아 발생농도는 평균 0.9 ppm 였으나, 조사기간 중 부분적으로 기준치 1 ppm을 초과하였다.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은 각각 0.37 ppb, 0.01 ppb로 기준치인 20 ppb와 2 ppb 이하로 조사되었다. 돈사의 암모니아 평균 농도는 3.22 ppm 였고 5 ppm 이하로 유지되다가 돈사가 밀폐되는 11월부터는 증가하기 시작되었다.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화성시 소재 B농장은 임신돈사내 암모니아 평균농도는 16.3 ppm 였고, 10월 이후부터 밀폐상태가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증가되었다.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은 각각 26.66 ppb, 7.45 ppb로 높았다. 이와 같은 원인은 환기불량과 사육환경이 열악하여 돈사내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았으며 돈사외부로 배출된 암모니아와 돈사 옆에 있는 퇴비장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혼합되어 부지 경계에서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돈사의 사육환경 개선과 신속한 분뇨처리 및 미생물제제의 올바른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attye, R., Battye, W., Overcash, C. and Fudge, S. 1994.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ammonia emission factor.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2. MWPS. 1983. Swine housing and equipment handbook. MWPS-8. Midwest Plan Service, Iowa State University, Ames, IA. USA.
  3. O'neil, D. H. and Philips, V. R. 1992. A review of the control of odor nuisance from livestock buildings. 3. Properties of the odorous substances which have been identified in livestock wastes or in the air around them. J. Agric. Engng. Res. 53(1): 23-50.
  4. 국립환경과학원. 2005. 악취공정시험법. pp. 70-76
  5. 김두환, 김언배. 1999. 양돈시설 내부의 악취조절에 관한 기술 및 연구동향. 한국 축산시설환경학회지. 5(3):203-216
  6. 농림부, 농협중앙회. 2007. 축사시설 현황 조사결과.
  7. 농촌진흥청. 한국농업 대학. 2008. 축산시설환경. pp. 41-56.
  8. 농협중앙회. 2007. 낙농 양돈 분뇨처리 현황 조사. pp. 56-75.
  9. (사)대한양돈협회 . 2006. 양돈장 냄새 실태조사 및 냄새 저감방안 연구.
  10. 양승주, 현재석, 양창범, 고석민. 1998. 육성비육돈에 대한 생균제의 첨가 급여가 분악취 및 파리유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4(1):9-20.
  11. 유용희, 김태일, 정종원, 곽정훈, 최희철, 송준익, 양창범, 장영기, 김호정, 송기봉. 2005. 돈사 내 및 부지경계에서 악취물질 발생 조사 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11(1):45-54.
  12. 이성현, 조한근, 이인복, 김경원, 최광재, 오권영, 유명기. 2005. 자연환기식육성. 벼육돈사의 동절기 암모니아 발생특성.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발표논문집.10회. pp. 100-106.
  13. 장영기, 김관, 송기본, 김호정, 정봉진, 유용희, 양창범. 2004. 가축사육 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4. 최규홍, 손재룡, 이강진, 최동수, 최용삼, 남상일. 2001. 돈사의 환경계측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7(3):155-164.
  15. 최동윤, 서국현, 곽정훈, 박치호, 정광화, 김태일, 양창범, 조용일, 최홍림. 2005. 가축방역용 소독제 처리가 액비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11(3):161-168.
  16. 축산연구소. 2006.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 668-685.
  17. 환경부. 2005. 악취방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