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on Effects

검색결과 973건 처리시간 0.025초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voidance Motiv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Organizational Silence)

  • 김주현;정우진;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67-86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9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현적 자기애,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동기를 측정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동기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관계에서 모두 적절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를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 모형 검증을 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회피 동기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조직 침묵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 변인 사이에서의 이중매개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매개모델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the Nursing students Using a Mediation Model)

  • 김순구;서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83-291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 간에 인과관계를 알아보고, 감성지능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0월 14일부터 11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18.0 program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감성리더십이 은행원의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중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of Bankers: Analysis of Double Mediation Effect)

  • 임광민;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07-118
    • /
    • 2019
  • 본 연구는 은행원을 대상으로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를 통해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들을 설정하고 은행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294부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심리적 우울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는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6학년 학업성취에 대한 4학년 학업성취의 예측: 5학년 자아존중감 및 학습행동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Predic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t 6th Grade from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t 4th Grad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Learning at 5th Grade)

  • 장영은;성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37
    • /
    • 2017
  • Objective: The current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learning betwee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t $4^{th}$ grade and $6^{th}$ grade. This article proposes that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boosts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learning and both in turn, influence subsequent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We especially attempted to empirically prove that a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learning between the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t two time points exists. Methods: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data of 1,881 children from the $4^{th}$ to the $6^{th}$ wave data of the '2010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by means of a Hayes's PROCESS(2012) progra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t $4^{th}$ grade influenced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learning at $5^{th}$ grade. Children'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learning subsequently predicte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t $6^{th}$ grade. Children's self-esteem significantly predicted self-control in learning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serial multiple mediation.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learning behaviors both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t $4^{th}$ grade and at $6^{th}$ grade. The findings imply the importance of consideration of both psychosocial and behavioral aspects in understanding the academic performance during childhood.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linquency through a Dual-mediation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이래혁;장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02-515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과 충동성을 이중매개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에서 1차 조사 당시 학업중단 상태였던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for SPSS의 모델 6을 활용하여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우울과 충동성을 통한 매개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은 비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했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녀의 우울과 충동성은 부정적 사건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희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동자녀 지위의 조절매개 모형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Hope on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Only-Child Status)

  • 마팅팅;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211-21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외동자녀 지위가 조절 매개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광둥성의 한 대학에서 의도적으로 표집한 302명의 대학생이다.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적용된 통계 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적지지, 희망, 삶의 만족도 간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외동자녀가 그렇지 않은 자녀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희망을 경유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공급자 개발에서 공급자의 학습역량은 기술혁신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What is the Role of Supplier Learning Capacit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upplier Development?)

  • 박진한;김진한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255-286
    • /
    • 2015
  • 본 연구는 구매자-공급자 간 협력에 기반을 둔 기술혁신 성과창출에서 공급자 조직 학습역량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는 중소기업 221개사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검증 결과, 공급자의 기술혁신 성과에 대한 구매자의 직접지원(기술인력 지원, 기계도구 및 검사장비 지원, 설비사용 교육)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구매자의 간접지원(지식, 노하우, 가치, 정보 공유)은 긍정적이며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분석을 위한 추가 검증 결과, 공급자의 학습역량과 구매자의 간접지원 사이에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한 반면에 구매자의 직접지원과 공급자의 학습역량 간에는 완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구매자의 간접지원이 공급자의 기술혁신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진성리더십과 그릿이 사회적기업 구성원의 행복과 직무재창조에 미치는 영향 - 충청북도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Grit on the Happiness and Job Crafting of Social Enterprise Employee - Focused on Social Enterprise in Chungbuk -)

  • 하덕천;엄성준;리신호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117-12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uthentic leadership of social enterprise leaders on the happiness and job crafting of employees, the 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leader and the happiness of the employees, and the coordination effect by the Grit of the employees. For ver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crafting, happiness and grit and seven research theories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47 questionnaires were drawn through prior research on happiness, authentic leadership, job crafting, and grit, and five executives and workers of social enterprises in Chungcheongbuk-do(Province) were survey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and AMOS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The Macro Process of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regulated effects. This study has conduct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through the survey results and the analysis results verify the hypothesizes. The study found that authentic leadership affects the happiness and job crafting of employees, and that job crafting affects the happiness of employe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 and employees affects job crafting.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 Grit of its employees affects their job crafting and happiness and also has a mediation effect on job crafting and happiness. In the policy environment of the changing rural development project, the social economy establishment plan for the virtuous circle of resources in the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leaders.

만성질환 아동의 또래애착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자아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Multiple-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Body-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 김상우;이병희;조민솔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7-28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le-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body-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supporting psychological services alongside therapeutic services as a way to increase the overall happiness of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Desig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0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Methods: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as a survey by investigators, and the number of cases used in the study was 363. Results: First, children's peer attachment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overall happiness. Second, it can see that peer attachment not only increases self-esteem, but also leads to a positive perception of one's own body-image. Third, it can be seen that peer attachment, high self-esteem, and positive perception of body-image increase children's overall happiness. Finally, it can be seen that peer attachment can increase children's happiness through self-esteem and body-image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a more positive prognosis can be expected when psychological support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rapeutic treatment in providing medical services for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Mediation analysis of chronotype, sleep-related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 Seo Young Kim;Hyo Jeong Kim;Seong-Sik Cho;Min Young Park;Mo-Yeol Kang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5권
    • /
    • pp.47.1-47.14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hronotype 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pre-sleep cognitive arousal, and social jetlag in a sample of wage earners. Methods: A total of 3,917 waged workers were surveyed online in July 2022. Logistic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morningness, intermediate, and eveningness) and depressive symptom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5),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Pre-Sleep Arousal Scale (PSAS). All analyses were adjusted fo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marital status, coffee consumption,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occupation,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hours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Results: The chronotypes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morningness (4.7%), intermediate (93.5%), and eveningness (1.8%).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in the eveningness chronotype (OR: 2.96; 95% confidence interval [CI]: 1.51, 5.86). Regarding the mediation analysis, ISI mediated 28.44% (95% CI: 16.39-40.5), PSQI for 31.25% (95% CI: 19.36, 43.15), and PSAS-Cognitive Score (PSAS-C) for 23.58% (95% CI: 10.66, 36.50)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social jetlag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is relationship. (percentage mediated = 0.75%, 95% CI: -3.88, 5.39) Conclusions: Evening chronotypes exhibit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symptoms, which ISI, PSQI, and PSAS-C par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o improve sleep quality and maintain adequate sleep habits may effectively prevent and treat depression in employees with an eveningness chrono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