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ltiple-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Body-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만성질환 아동의 또래애착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자아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Sangwoo Kim (S/W Convergence Education, Sahmyook University) ;
  • Byoung-hee Lee (Dept. of Administration, Korean organization of Private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
  • Minsol Jo (Gaon Elementary School)
  • Received : 2023.07.19
  • Accepted : 2023.09.18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le-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body-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supporting psychological services alongside therapeutic services as a way to increase the overall happiness of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Desig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0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Methods: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as a survey by investigators, and the number of cases used in the study was 363. Results: First, children's peer attachment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overall happiness. Second, it can see that peer attachment not only increases self-esteem, but also leads to a positive perception of one's own body-image. Third, it can be seen that peer attachment, high self-esteem, and positive perception of body-image increase children's overall happiness. Finally, it can be seen that peer attachment can increase children's happiness through self-esteem and body-image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a more positive prognosis can be expected when psychological support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rapeutic treatment in providing medical services for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Keywords

References

  1. 구자명. 사춘기 남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성취동기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2. 김명자, 최유선, 손은령.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자기 회귀교차 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연구. 청소년학연구. 2017;24(9):205-222.
  3. 김미경, 조규판. 청소년이 지각한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19(15):757-775.
  4. 김상우, 김지현.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 관계: 학교풍토에 대한 인식의 종단적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육교과학회. 2022;22(21):485-500.
  5. 김상우, 이병희.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0;27(2):48-62.
  6. 김상희.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학업스트레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20.
  7. 김선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생애목표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2019:17(2):103-113.
  8. 김지영, 정은화, 이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빅데이터분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0;41(6):111-123.
  9. 김지은, 정혜린, 박혜준, 등. 지역아동센터 지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2017;38(5):19-32.
  10. 김지혜. 만성질환아동 부모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11. 김영미.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교활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2. 김은설, 배윤진, 김근진, 조혜주, 김혜진. 한국아동성장발달 종단연구(한국아동패널 II),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20.p.15.
  13. 김태은, 안윤영.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021;26(1):131-146.
  14. 김혜원. 신체표현활동 수업 참여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 행복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 박보경, 노지운.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19;40(3):87-103.
  16. 박은숙, 오원옥, 임여진, 임혜상. 만성질환 아동과 부모의 치료적 제한에 대한 인식과 건강행위. 아동간호학회지 2006;12(3): 405-416.
  17. 박하연, 은선민, 박유경, 이강이. 학령기 여아의 성숙시기가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자아상과 어머니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2022;16(2): 183-207. https://doi.org/10.5718/KCEP.2022.16.2.183
  18. 성다겸, 김춘경. 초등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 효과. Korean J. of Child Studies 2015;36(4): 129-142. https://doi.org/10.5723/KJCS.2015.36.4.129
  19. 신효정, 이문희. 애착외상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14;21(1): 291-312.
  20. 안보영, 심규원, 김동석, 신의진, 엄소용. 신경외과 질환 환아의 삶의 질.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2010;3(2):1-15.
  21. 유빈. 만성질환아동 자녀를 둔 빈공 부모의 경험: 만성질환과 빈곤의 대물림 굴레에서 살아가기.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8.
  22. 이경숙, 서수정, 신의진. 학령기 아동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관계가 거부민감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000;11(1): 51-59.
  23. 이은경. 청소년의 행복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정신건강 측면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7;71-99.
  24. 이재경, 조혜정.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012;(40):41-71.
  25. 장휘숙. 애착과 희망의 관계에서 자아상과 자아존중감의 중재역할. 인간발달연구 1998;5(1): 117-137.
  26. 전성희, 신미, 유미숙. 부모감독,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및 행복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2011;14(2):73-89.
  27. 정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2010;25: 139-170.
  28. 정선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2.
  29. 조현영. 청소년(중학생,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0. 좌현숙.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문화포럼, 2017;85-119.
  31. 초록우산어린이재단, https://www.childfund.or.kr/contents/greenView.do?bdId=20031355. 2023.(2023.06.14. 인출)
  32. 채경선, 황현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효학연구. 2014;20:159-190.
  33. 최충옥.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상에 관한 연구. 문영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0. p.11-12.
  34. Armsden, G. C., & Greenberg, M.T. The Inva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1987;16:427-454. https://doi.org/10.1007/BF02202939
  35. Demir, M., Simsek, O. F., & Procsal, A. D. I am so happy 'cause my best friend makes me feel unique: Friendship, personal sense of uniqueness and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13;14:1201-1224. https://doi.org/10.1007/s10902-012-9376-9
  36. Diener, E., Diener, M & Diener, C. Factors predicting the subjectivewell-being of n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69:851-864. https://doi.org/10.1037/0022-3514.69.5.851
  37. Nichols, M. L.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young adolescents with cancer. Pediatric nursing. 1995;21(3):235-240.
  38. Nickerson, A. B., & Nagle, R. J. The influenc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s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Quality-of-life research o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4; 35-60.
  39. Ryan, R. M., Stiller, J. D., & Lynch, J. H.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to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94;14:226-249. https://doi.org/10.1177/027243169401400207
  40. Shin, D. C. & Johnson, D. M.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1978;5:475-492. https://doi.org/10.1007/BF00352944
  41. Shrout, P. E., & Bolger, N.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2002;7(4):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42. Yang, Yang. Long and happy living: Trends and patterns of happy life expectancy in the U.S. Social Research. 2008;37:1235-1252.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7.07.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