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구자명. 사춘기 남녀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성취동기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 김명자, 최유선, 손은령.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자기 회귀교차 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연구. 청소년학연구. 2017;24(9):205-222.
- 김미경, 조규판. 청소년이 지각한 자기애적 성향,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19(15):757-775.
- 김상우, 김지현.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 관계: 학교풍토에 대한 인식의 종단적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육교과학회. 2022;22(21):485-500.
- 김상우, 이병희.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0;27(2):48-62.
- 김상희.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학업스트레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20.
- 김선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생애목표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2019:17(2):103-113.
- 김지영, 정은화, 이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빅데이터분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0;41(6):111-123.
- 김지은, 정혜린, 박혜준, 등. 지역아동센터 지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2017;38(5):19-32.
- 김지혜. 만성질환아동 부모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 김영미.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교활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김은설, 배윤진, 김근진, 조혜주, 김혜진. 한국아동성장발달 종단연구(한국아동패널 II),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20.p.15.
- 김태은, 안윤영.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021;26(1):131-146.
- 김혜원. 신체표현활동 수업 참여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 행복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박보경, 노지운.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19;40(3):87-103.
- 박은숙, 오원옥, 임여진, 임혜상. 만성질환 아동과 부모의 치료적 제한에 대한 인식과 건강행위. 아동간호학회지 2006;12(3): 405-416.
- 박하연, 은선민, 박유경, 이강이. 학령기 여아의 성숙시기가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자아상과 어머니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2022;16(2): 183-207. https://doi.org/10.5718/KCEP.2022.16.2.183
- 성다겸, 김춘경. 초등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 효과. Korean J. of Child Studies 2015;36(4): 129-142. https://doi.org/10.5723/KJCS.2015.36.4.129
- 신효정, 이문희. 애착외상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14;21(1): 291-312.
- 안보영, 심규원, 김동석, 신의진, 엄소용. 신경외과 질환 환아의 삶의 질.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2010;3(2):1-15.
- 유빈. 만성질환아동 자녀를 둔 빈공 부모의 경험: 만성질환과 빈곤의 대물림 굴레에서 살아가기.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8.
- 이경숙, 서수정, 신의진. 학령기 아동들의 부모에 대한 애착관계가 거부민감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000;11(1): 51-59.
- 이은경. 청소년의 행복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정신건강 측면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7;71-99.
- 이재경, 조혜정.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012;(40):41-71.
- 장휘숙. 애착과 희망의 관계에서 자아상과 자아존중감의 중재역할. 인간발달연구 1998;5(1): 117-137.
- 전성희, 신미, 유미숙. 부모감독,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및 행복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2011;14(2):73-89.
- 정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2010;25: 139-170.
- 정선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2.
- 조현영. 청소년(중학생,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좌현숙.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문화포럼, 2017;85-119.
- 초록우산어린이재단, https://www.childfund.or.kr/contents/greenView.do?bdId=20031355. 2023.(2023.06.14. 인출)
- 채경선, 황현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효학연구. 2014;20:159-190.
- 최충옥.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상에 관한 연구. 문영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0. p.11-12.
- Armsden, G. C., & Greenberg, M.T. The Inva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1987;16:427-454. https://doi.org/10.1007/BF02202939
- Demir, M., Simsek, O. F., & Procsal, A. D. I am so happy 'cause my best friend makes me feel unique: Friendship, personal sense of uniqueness and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13;14:1201-1224. https://doi.org/10.1007/s10902-012-9376-9
- Diener, E., Diener, M & Diener, C. Factors predicting the subjectivewell-being of n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69:851-864. https://doi.org/10.1037/0022-3514.69.5.851
- Nichols, M. L.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young adolescents with cancer. Pediatric nursing. 1995;21(3):235-240.
- Nickerson, A. B., & Nagle, R. J. The influenc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s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Quality-of-life research o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4; 35-60.
- Ryan, R. M., Stiller, J. D., & Lynch, J. H.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to teachers,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94;14:226-249. https://doi.org/10.1177/027243169401400207
- Shin, D. C. & Johnson, D. M.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1978;5:475-492. https://doi.org/10.1007/BF00352944
- Shrout, P. E., & Bolger, N.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2002;7(4):422-445.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 Yang, Yang. Long and happy living: Trends and patterns of happy life expectancy in the U.S. Social Research. 2008;37:1235-1252.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7.07.004